딸은 애도하지 않는다 - 아버지의 죽음이 남긴 것들
사과집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적인 이야기이자 사회적인 이야기 <딸은 애도하지 않는다>. 장례를 치르며 경험한 오랜 여성 혐오의 증거와 죄책감 앞에 무력감을 느꼈던 딸의 기록이 담담히 그려진 에세이입니다.


협심증 환자이자 비정규직 노동자로 업무 중 갑작스레 세상을 떠난 아빠. 죽음을 앞두고 삶을 고찰하는 특권조차 누리지 못했던 아빠의 죽음은 슬픔보다 분노, 절박함을 불러일으킵니다.


복잡한 장례 절차 속에 내던져진 엄마와 딸 둘. 궁금한 건 많은 아는 건 없었지만 결정은 딸의 몫이었습니다. 고인을 잘 보낸다는 기준도 모르겠고 가부장적 '정상' 가족이 얼마나 잘 살아왔는지를 평가하는 마지막 관문으로서의 관습적인 장례를 경험합니다. 여성의 자리는 그림자로서만 존재했습니다. 미망인(未亡人)이라는 단어가 남편과 함께 죽었어야 했는데 아직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이라는 걸 알고 있나요? 오랜 여성 혐오의 잔재는 장례식장 전광판에서도 고스란히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한 집안의 장녀였음에도 아빠를 보내주던 마지막 날까지 앞에 설 수 없었다. 단지 내가 여자였기 때문에." - 딸은 애도하지 않는다 


사소한 것에 과도하게 집착한다는 의미의 '사과집'으로 활동하는 저자는 시사PD로 일하는 저널리스트이자 에세이스트로서의 시각을 <딸은 애도하지 않는다>에 드러내고 있습니다. 목격하고 체험한 장례는 애도의 본질과는 거리가 먼 장례였습니다. 불합리한 허례허식이 보일 때마다 애도에 집중하기 힘들었다고 고백합니다. 상업화된 장례 의식을 치르는 내내 애도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한 부채감과 죄책감이 찾아옵니다. 그저 나의 존재는 '결제'하는 사람에 그쳤습니다.


그리고 이런 생각에 이릅니다. "내 장례식은 이러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말이죠. 주체적인 경험을 박탈당하며 나의 장례식은 바꿔야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러려면 미리 죽음에 대한 가치관을 세워둬야 합니다. 내가 어떻게 죽을지 고민하고 내 주변에 있을 사람과 공유해야 합니다.


1인 가구, 비혼 가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족이 없거나 혼자 사는 사람도 걱정 없도록 정상 장례 문화도 바뀌어야 합니다. 그리고 고인을 가장 잘 애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우리나라 장례 서비스 기업들도 요즘은 서서히 작은 장례식을 추구하는 기업이 생기며 애도가 중심이 되는 간소화된 장례식이 있다는 걸 이번에 알게 되었어요.


언제든 어떤 형태로든 맞이하는 죽음. 죽음을 회피하지 않으면 오히려 담담해집니다. 최악을 상상하면 어떤 상황이 닥쳐도 그럭저럭 헤쳐나갈 수 있습니다. 아빠의 삶을 정리하는 나날들을 보내며 살아간다는 것은 지나치게 많은 것을 남긴다는 걸 깨닫습니다. 죽는 것도 신경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현실의 관계뿐만 아니라 디지털 관계도 있습니다. 부고 소식을 알릴 때도 사이버친구들에게는 어디까지가 적정선인지 고민해 봅니다. 내 장례식에서 소외되지 않는 디지털 관계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소셜 네트워크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안겨줍니다.


비혼주의자로 사회적 돌봄 시스템에 대한 생각도 이어집니다. 연명의료 거부 등 죽음을 선택하지 않아도 나를 위해 사회가 최선을 다하겠다는 확신이 들 수 있는,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확신이 들도록 보장된 사회를 꿈꾸는 저자의 목소리에 공감합니다.


처리해야 할 행정업무도 만만치 않았지만 아빠의 죽음은 세 여자만 남은 이 집의 미래를 재설계하도록 자극하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아빠와의 이별을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기록하기 시작한 <딸은 애도하지 않는다>. 일어서는 법을 천천히 배워가는 사과집의 애도 여정은 계속될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