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변동 : 위기, 선택, 변화 -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9년 6월
평점 :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6년 만의 신작 <대변동>. 한국 독자에게 보내는 특별한 서문부터 흥미진진한 입담을 발휘하고 있어 더 재미있게 읽었던 것 같아요.
<대변동>은 개인의 위기 해결 사례를 국가 위기를 해결하는데도 적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국가의 위기라 하면 너무 먼 이야기 같은 느낌부터 드는 게 사실이라 개인의 위기와 비교했을 때 우리는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죠.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개인의 위기와 국가의 위기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 비유를 통해 개인의 위기 해결 요인을 국가의 위기 해결 기준틀로 확장합니다.

개인, 팀, 기업, 국가, 전 세계까지 규모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위기가 닥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IMF 사태를 겪어봤듯 이런 위기를 해결할 때는 '선택적' 변화로 대응해나가게 됩니다. 개인이든 국가든 위기 전에 확립한 정체성을 완전히 변화시키지는 않지요. 보존할 건 보존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면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지 찾아내는 용기를 냈을 때 선택적 변화는 성공에 한 걸음 가까워집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국가의 위기를 어떤 접근법으로 해결하자고 제안할까요? 현대의 일곱 국가에서 일어난 위기와 그에 대응한 선택적 변화를 비교 분석해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들려줍니다. 개인적 경험에서 도출한 기준틀, 비교 연구적 방법론, 살아가며 겪은 경험에서 얻은 시각을 중심으로 말이죠. 최소한 10년 동안은 관심이 식지 않을 중대한 쟁점을 <대변동>에서 다룹니다.
다른 국가가 야기한 충격파에 격변맞은 사례로 핀란드와 일본을, 내부적 요인에 의해 위기 맞은 사례로 칠레와 인도네시아를, 점진적으로 확대된 위기에 시달린 사례로 독일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과거를 살펴봅니다. 왜 그런 위기가 찾아왔는지 근대사를 알게 되고, 국가의 위기와 선택적 변화가 끼친 영향까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형인 위기와 관련해서는 현대 일본과 미국 그리고 범세계적 문제를 향합니다. 강점이라 여겼던 부분들이 실은 문제가 되는 것도 많았습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국가 위기의 기준틀 12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위기와 변화의 기준틀에서 문제들을 분석하고, 선택적 변화를 시도할 때 효과적인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장래에 세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인류와 생활수준을 위협하는 위기들, 더 나아가 세계적 문명의 실존을 위협하는 것들에 관한 겁니다. 핵무기, 기후변화, 세계적 자원고갈, 세계적 차원의 생활 수준 불평등 역시 위기의 기준틀에서 이 문제들이 해결 가능한지 살펴보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겁니다.
뻔한 역사 이야기가 아닌 제가 모르고 있었던 나라들의 과거사를 알게 되면서 낯선 충격감을 받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만 파란만장하게 힘들었던 게 아니었어!라는 기분이었다고나 할까요.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대변동>은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을 들려줍니다. 뻔한 말처럼 들리는 해답이라 생각되는 것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 당연한 것들을 무시했기에 문제는 심각해지는 겁니다. 그 과정에 닥칠 다양한 장애물은 어떻게 넘어서야 하는지 그의 애정어린 일침을 귀 기울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