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스카프 아침이슬 청소년 2
지앙지리 지음, 홍영분 옮김 / 아침이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 문화혁명에 대해서 굉장히 피상적으로 알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린, 마오쩌둥의 오류라고 일컬어지는 실패한 혁명. 하지만 문화혁명을 경험했던 한 소녀의 이야기를 통해서 나는 그 시절의 공포와 슬픔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공산주의와 마오 주석에 대한 충성심이 당연시 되던 시절, 열세 살이었던 지앙지리도 '빨간 스카프'를 두르고, 공산 소년소녀단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평범한 소녀였다. 1966년 네 가지 구악(오랜된 악습- 낡은 사상, 낡은 문화, 낡은 풍속, 낡은 습관)을 깨자는 문화혁명이 시작되고, 지앙지리도 그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지앙지리의 할아버지는 지주계급이었기에, 출신성분이 불순하다는 점이 온 마을에 알려진다. 혁명 전까지 헌신적이고 좋은 분으로 알려진 선생님이 비난받고, 출신성분이 나쁜 사람들의 집은 수색을 당하고, 재산이 많은 사람은 부르조아로 불리며 재산을 빼앗기는 등 하루하루가 마음을 놓을 수 없는 공포의 연속으로 변해버린다. 언제나 마오 주석에게 충성할 준비가 돼 있던 지앙지리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출신성분으로 인해 고통받으며, 심지어는 개조가능한 학생이니 부모와의 연을 끊으면 얼마든지 새출발할 수 있다는 유혹까지 받는다.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분노와 공포,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가 없었다. 고작 열셋, 열다섯인 소녀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도 가혹한 현실. 아니, 성숙한 어른이라 할지라도 견뎌내기 힘든 하루하루들. 어떤 것이 정의로운 것인가 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로지 공산주의에 대한 충성만이 중요할 뿐. 그런 고통을 당하면서도 권력과 공포에 무릎 꿇을 수밖에 없는 나약한 민중들. 하지만 지앙지리는 끝까지 가족을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이념보다 더 소중한 걸 지킬 수 있었다.

흡인력이 강한 소설이다. 읽으면서 나라면 어땠을까, 하는 마음에 손에 땀을 쥐게 된다. 역사물로서도, 소설로서도, 손색 없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