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부다처제는 허용돼도, 왠지 일처다부제는 미개종족 사이에서 필요에 의해서나 가능할 것 같은, 그런 사회 분위기 속에 있다고 생각하는 나는, 남편의 바람은 수컷의 본능상 당연한 것이고, 여자의 바람은 가정을 파탄으로 몰고가는 용서받을 수 없는 행위로 비난받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고 믿는 나는.

이미 결혼한 여자라는 의미를 가진, 그 '아내''결혼했다'고 하는 이 흥미로운 제목을 가진 책에서 속시원하고 통쾌한 그 무엇을 기대했다, 사실.

하지만 가벼운 문체와 축구 이야기의 절묘한 결합(축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아도 즐길 수 있는), 그로 인한 흡인력에도 불구하고 '비현실적인 주인공들'에게 싫증이 나버렸다. 뭐든 완벽한 아내 인아는 여신이고, 두 남편은 그 여신에게 복종하는 신하 같았다.

작가는 이 소설이 무엇보다도 행복에 관한 이야기라고 했다. 하지만 이 소설은 두 사람, 아니 세 사람이 서로의 합일점을 찾아서 끊임없이 싸우고 화해하며 이뤄가는 하모니가 아니라, 두 사람과 다 결혼하고 싶은 인아, 그 인아에게 마지못해 끌려가는 첫번째 남편 덕훈과, 인아의 의견을 잘 따르는 두번째 남편 재경이 내는 불협화음이다. 두 남자와 다 결혼하고 싶은 인아의 생각이 존중돼야 한다면, 한 여자하고만 살고 싶은 덕훈의 생각도 존중돼야 하는 것 아닌가. 일처다부제고 일부다처제고, 집단혼이고 그런 문제를 떠나서 애인을 둬도, 동거를 해도 좋다는 덕훈의 관대함에도 끝까지 결혼을 하겠다고 고집을 부린 인아의 행동은 설득력 없고 억지스럽다.

뭔가 알맹이가 빠진 느낌이다. 기존의 틀을 깬 가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그 속에서 어떤 이해와 타협, 사랑이 만들어지는지, 현 가족제도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나 생각을 엿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일처다부제가 뭐가 나쁘냐'는 설득을 끊임없이 당하고 끝난 기분이다.

新 가족이라면, 그것이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건 간에. 가족 구성원들 모두가 서로에게 깊은 신뢰와 사랑을 갖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영화 「가족의 탄생」처럼. 피도 섞이지 않은 사람들이라도 서로를 진정으로 보듬고 아껴줄 수 있다면, 그것이 자신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울타리가 돼 줄 수 있다면. 그것이 가족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