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생활자의 수기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2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이동현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도스토예프스키가 시베리아 유형 생활을 통해 느낀 것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라고 한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시베리아 유형을 통해 사회주의의 열렬한 지지자에서 탈피하게 됐다고 하는데, 1부에서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이런 시각이 잘 반영돼 있다. 2부에서 지하생활자는 경멸하는 친구의 환송회에 참가하여 모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창녀에게 잔인한 말을 퍼붓는 등 비이성적이고 모순적인 행동을 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묘사했다. 아마 인간이 이토록 변덕스러우며 비합리적인데 어떻게 그런 이상주의적인 사회주의가 실현될 수 있겠는가, 라는 근거로서 이런 장면을 연출한 게 아닌가 싶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고, 다른 동물과는 달리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라는 교과서식 가르침을 믿었던 때라면 아마 이 책을 읽다가 중간에 덮어버리거나, 읽고도 꽤 불쾌하게 여겼을 것이다. 하지만 인간을 바라보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시각에 나는 몇 번이고 "맞아, 맞아"를 외쳤다. 그의 말처럼 인간은 아무리 무사안일이 보장된 생활 속에서도 권태를 못이기며 고통을 추구하기도 하고, 자신에게 마땅히 이득이 될 일만을 선택하는 법도 없다. 주인공처럼 자신은 누구보다 현명하고 지적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충동적으로 남에게 잔인하게 대하기도 하며, 변덕스럽게 굴기도 한다. 상대방은 아무렇지도 않은데, 상대방은 자신을 멸시한다고 생각하면서 속을 부글부글 끓이는 어리석은 인간. 인간은 '생각을 할 수 있는 대단한 존재'인 동시에, 분수에 넘치는 것을 원하고, 별것 아닌 것에 목숨을 거는 '바보스러운 존재'이기도 하다. 단지 사회 속의 한 구성원으로서 제역할을 해내야 하기에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라는 면이 부각된 것뿐이다. 도스토예프스키가 그려 낸 '지하생활자의 모습'은 여차저차한 이유로 드러내지 못한 우리 안의 모습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