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 감독의 詩 보다.  

시를 쓰기 위한 첫 강좌에서 김용탁(시인 김용택)은 '보다'에 대한 설명을 한다.   

"사과라는 것을 정말 알고 싶어서,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싶어서, 대화하고 싶어서 보는 것이 진짜로 보는 거예요." 

주인공 미자는 시를 쓰기 위해 열심히 아름다운 것만 찾고 찾아서 본다... 아무리 찾아다녀도 시는 오지 않는다... 사람들은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말하는데 행복하지 않는 슬픈이야기를 한다... 시란 현실에서 아름다움만 쏙 빼낸 것이 아니라  아픔과 슬픔이 함께 어우려서 공감할 때 탄생된다.

사람을 사물을 현실을 정말 알고 싶어서, 관심갖고 이해하고 싶어서, 대화하고 싶어서 보는 것이 진짜로 보는 것이다. 그곳엔 아름답고, 슬프고, 아픔이 함께 있는 곳이다... 진짜로 볼 수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관을 기웃대다 그냥오다. 노래를 아주 크게 따라 부르다. 미드(미국드라마)를 보다. 수박을 먹다. 맥주도 한잔 마시다. 책도 펼치다. 구경만해도 기분이 좋다. 행복하다...변덕이 죽 끓는 하늘만큼 나 또한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계의 재구성
하지현 지음 / 궁리 / 2006년 10월
품절


한 사람과 한 사람 사이에 최적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 그리고 그걸 유지할 줄 아는 것, 그 안에서 만족할 줄 아는 것이 바로 성숙한 독립된 개체 사이의 친밀함의 요체다.-144쪽

진심으로 미안해할 줄 알아야 한다. 아니 미안해질 일이 없도록 배려하는 관계가 진짜 친구다.-162쪽

함께 있는 동안에도 상대방을 간섭하기보다 내가 원할 때 또 그가 원할 때 딱 그만큼의 자리에서 있어주는 것을 견딜 수 있는 사이여야 한다. -168쪽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고 물이 흐르듯 유연한 물결 속에 소통을 지속하는 것이다.-187쪽

잘함과 못함, 옳음과 그름의 잣대가 아니라 나와 너는 다르다는 것을 진심으로 인정하는 것, 내가 원하는 상대방의 부분만 보고 내 일부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나와 상대방 전체를 인정하고 안는 것이 사랑이다. -198쪽

내 안의 가능성을 이해하고 긍정해주는 사람, 자신의 불안과 약점을 드러내도 수치심을 느끼지 않게 해주는 사람, 자신을 내맡긴다는 불안이나 감정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게 해주는 사람이 바로 사랑하는 사람이다. -221쪽

프로이트는 '애도와 우울'의 두 감정을 이렇게 구별하여 설명했다. 애도는 대상을 잃은 것인 데 반해, 우울해진다는 것은 자아가 가난해지고 결국 자아를 잃어버린는 것이다. 점차 사랑했던 대상에 대한 비난이 자기 자아로 그 목표물을 옮긴다. 그러면서 자해적으로 자아를 소모하는 일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심한 열등감을 느끼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후 생기는 우울감에는 애증의 쌍곡선이 교차한다. 한편으로는 그를 사랑하는 마음이 남아 있는데 다른 한편으로는 먼저 가버린 사람에 대한 분노와 미움으로 견딜 수 없다. 그런 혼란감은 자아를 더욱 힘들게 하고 현실세계에서의 퇴행을 부추긴다.-3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비는 부슬보슬하고 가만히 내려야 하는데... 애매모호한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 그사이 잠깐 여름도 본 거같다... 너무 많은 아이들을 만나고 있다. 에너지 소진, 아이들의 말이 양쪽귀로 빠져나가고 있다...오마이갓! 내가 이말을 했던가, 아니 들었던가...애매모호하게 어정쩡하게 지나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영원히 철들지 않는 남자들의 문화심리학
김정운 지음 / 쌤앤파커스 / 2009년 6월
구판절판


우리는 실제 일어난 사실을 기억하지 않는다. 사실에 대한 '해석과 편집'이 실제 내가 기억하는 내용이다. 우리의 삶을 지탱해주는 의미는 해석과 편집의 결과다. 실제 일어났던 사실과는 그리 큰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그 일부의 사실을 근거로 만들어낸 내 '의미부여'다.-49쪽

결과만 중요시하고 과정을 생략한 삶을 산다는 것은 넋을 놓고 정신이 나간 상태에서 산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까닭 없이 불안한 것이다. 내가 남은 세월 이뤄낼 수 있는 결과라는 것도 불 보듯 빤하다. 그래서 이유 없이 막 화가 나는 것이다. -110쪽

사람은 안 바뀐다. 피부살갗의 경계 안에 들어있는 나는 절대 안 바뀐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자신을 둘러싼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 즉 맥락적 사고는 '재미', 더 나아가 성공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는 사실이다. 삶의 재미는 바로 이 맥락을 바꾸는 능력에서 나온다. 사는 게 재미있는 사람만이 맥락에 따라 자신을 바꿀 뿐만 아니라 세상을 바꿀 줄 안다. -160쪽

이야기가 있는 삶은 행복하다. 골프 이야기는 즐겁다. 낚시 이야기는 가슴 설렌다. 그러나 골프 이야기, 낚시 이야기 외에는 달리 나눌 이야기가 없는 남자들의 삶은 참 슬프다.
이야기는 풍부하고 다양할수록 좋은 것이다. 남의 이야기는 백날 해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 그러니 갈수록 자극적이고 파괴적인 이야기만 난무하는 것이다. 더 늦기 전에 다른 이야기를 찾아야 한다. 내 피부로 느끼는 삶의 기쁨이나 슬픔에 관한 이야기, 내 가족,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자잘한 즐거움과 설렘에 관한 이야기가 많은수록 행복한 삶이다. -181쪽

내 삶에서 기억해야 할, 의미 있는 일들을 꼼꼼히 챙기는 일만이 내 삶의 속도를 낮춰준다. -264쪽

감탄은 인간만의 욕구다. 식욕, 성욕은 인간의 욕구가 아니다. 개나 소나 다 가지고 있는 동물적 욕구다. -274쪽

충족되지 않는 감탄의 욕구는 욕구좌절이 된다.욕구좌절은 심리학적으로 뒤집어져 분노가 된다. 적개심이 되고 공격성이 된다. -288쪽

내가 지금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가의 기준은 아주 간단하다. 하루에 도대체 몇 번 감탄하는가가. 사회적 지위나 부의 여부와 관계없다. 내가 아무리 높은 지위에 있다 할지라도, 하루 종일 어떠한 감탄도 나오지 않는다면 그건 내 인생이 아니다.-29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