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로 사랑하고 수시로 떠나다 - 낯선 길에서 당신에게 부치는 72통의 엽서
변종모 지음 / 꼼지락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 출처: 꼼지락)


 여행자의 엽서다. 설레는 만남이다. 누군가 여행하면서 엽서를 보내 주면 좋겠다는 상상을 하고는 했었다. 먼 곳에서도 나를 생각한다는 느낌. 그 느낌을 향유하고 싶었다. 그 상상이 반은 현실이 되었다. 비록 우체국 소인은 없지만, 정확히 나를 생각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여행자의 엽서를 책으로 만났다. 오래도록 여행자였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그. 그의 72통의 엽서. 바다, 산, 강, 사막, 도시 등. 세상 곳곳의 낯선 길에서 보낸 그의 엽서. 그에게서 직접 엽서를 받은 이들이 부러워졌다. 여행지의 감성이 가득 담긴 여행자의 숨결 하나하나. 포근하게, 찬란하게 왔을 테니. 그 곁에서 나도 살짝 들이마셔 본다.


 '그 미소를 보는 것만으로도 좋아졌다. 좋은 것을 마주하는 일은 항상 그렇다. 작게 웃고 있는 얼굴 하나가 모든 풍경을 빛낸다. 따뜻한 봄의 강가나 화려한 사원에서도 아이의 웃음 한 뼘이 가장 빛나고 좋은 풍경이 되어 자꾸만 발목을 잡는다. 아이는 분명 봄이겠지.' -'봄이겠지' 중에서. (14쪽) 


 '멀리 떠나와서야 가까운 것들을 알겠다.' -'먼 곳의 정오' 중에서. (32쪽)


 '때론 아침 출근버스 안에서 그런 생각을 자주 했었지. 이대로 멈추지 않고 달리다가 몇 개의 국경을 넘고 대륙을 지나 몇 번의 계절이 바뀔 때, 누군가가 누른 붉은색 하차 벨이 울리면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낯선 플랫폼이었으면 좋겠다고. 내린 곳에 당신이 서 있다면 더욱 좋겠다고.' -'여행자의 출근길' 중에서. (38쪽)


 '함부로 사랑하고 수시로 떠나기도 하겠지만 그마저 사랑 아니겠나.' -'나도 알고 있다' 중에서. (76쪽) 


 '아무리 멀리 돌아도 끝내, 그대가 원하는 그곳에 도착할 것을 안다. 언젠가는.' -'버스를 기다리다가' 중에서. (110쪽)


 '문득 뒤돌아보며 웃게 되거나 자주 내 마음속을 간질이는 것. 제일 많이 생각나는 따뜻함이나 소소한 행복. 그것으로 견고한 집을 짓고 살자. 허무의 넓이도 공허의 깊이도 작은 따뜻함을 이길 수는 없다. 그것만 끌어모아도 커다란 행복이다. 굳이 떠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들이 제법 많다.' -'여행자가 여행자에게' 중에서. (138쪽)


 여행지에서 느낀 그의 조각들. 작지만 따뜻하다. 그 조각 모음이다. 모으니, 또 커다란 행복이 된다. 사실, 일상이 힘겨울 때, 떠나고 싶다. 그러나 현실은 그런 나를 잡아맨다. 요즘에는 감염병의 대유행으로 여행은 더 머뭇거리게 되고. 다행히 우리나라는 감염병이 힘을 잃고 있는 것 같지만, 여전히 조심해야 하고. 이런 때, 이런 여행자의 엽서가 더 소중하게 다가온다.

 웃는 아이에게서 봄을 보았고. 나도 내가 내린 곳에서 꿈 속의 당신이 서 있다면 좋겠다고 상상했다. 함부로 사랑하고 수시로 떠나는 것도 사랑일까. 그렇게 작게나마 물음표를 가져 보고. 사랑했다면 사랑이겠지. 그렇게 또 작게나마 느낌표를 남겨 본다. 그리고 여행은 아무리 멀리 돌아도 끝내 내가 원하는 그곳에 도착할 것임을. 그 앎. 다시 한 번 환기하게 됐다.

 그가 여행에서 할 말과 사진들로 그의 바람처럼 할 수 있을 것 같다. 팍팍한 일상의 간격을 넓힐 수 있을 것 같고. 또, 나의 일상을 힘껏 껴안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기쁨이나 슬픔 또는 사소한 모든 것들까지도 사랑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오래도록 여행자가 아니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런 내가 오래도록 여행자였고, 앞으로도 그럴 것일 이의 숨결을 느꼈다. 솔직히 처음 들었다. 그의 이름을. 변종모라는 이름을. 이제, 기억하리라. 그의 이름도, 그의 숨결도. 그저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보았다가 아니었다. 그가 직접 느끼게 된 작지만, 따뜻한 숨결들. 감성적이고 인상적인 글과 사진으로 된 그 숨결들. 나에게 스며들었다. 사진 한 장, 엽서 크기의 글. 그 안에도 많은 것이 담겨 있었다. 그는 그것을 할 수 있는 여행자였다. 과시적인 여행이 아닌, 담백한 여행. 그가 하는 여행이 그랬다. 그러니, 그런 함축이 있었으리라. 소중한 이다.

 그가 정말 앞으로도 여행자이길 빈다. 그리고 이렇게 작지만, 따뜻한 숨결이 담긴 엽서를 계속 보내기를 소망한다. 나의 이런 마음의 등불이 올라가 별이 되면, 그도 보고 웃어 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월 29일.

한 권을 만났어요~^^*

'나의 할머니에게'예요~^^*

서평 도서지요~^^*

다산북스에서 하고 있는 매3책(매주, 1권씩 3권 책 읽기)의 세 번째 책이에요~^^*

우리나라의 여섯 작가가 지은 단편집인가 봐요~^^*

그나저나 할머니 생각이 나네요...

깊이 대화를 하고 싶어지는 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월 27일.

두 권을 만났어요~^^*

'천사와 악마 일러스트', '요괴를 빌려 드립니다'예요~^^*

중고 도서지요~^^*

알라딘 직배송 등록 알람에 또 이렇게 됐네요...^^;

만나면 반가운 책!

그러나 제 지갑은... 제 통장은...ㅜㅜ

그래도 마음은 채워지고 있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구도 혼자가 아닌 시간
코너 프란타 지음, 황소연 옮김 / 오브제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 일기를 썼던 기억이 있다. 초등 학교를 다닐 때였으리라. 꼬마인 내가 나름 정성스레 썼던 그림 일기. 어렸지만, 내 느낌, 내 생각. 그 단편(斷片) 하나하나가 고스란히 담겨 있던 그림 일기. 시간이 흘러, 대학교 다닐 때도 일기를 썼다. 청춘의 시기. 방황과 고뇌의 흔적을 남기며. 더 게을러진 요즘은 일기를 잘 안 쓰게 된다. 간혹 블로그에 남기는 정도. 여전히, 삶은 그려지고 있음에도. 며칠, 누군가의 공개된 일기 같은 글을 보게 됐는데, 일기를 더 쓰고 싶어졌다. 사진이 곁들인 그 일기. 공감했기에.


 '우리는 누군가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지 헤아릴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다. 우리는 그런 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것이 우리의 접합점이다. 열여섯 살짜리가 예순다섯 살 노인과 대화할 수 있고 공통분모를 찾을 수 있는 이유다. 인생은 감정의 경험이니까. 우리가 누구든 어디서 왔든, 뭔가를 어떤 수준으로 느끼게 되어 있다. 그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위안이 된다. 아무도 혼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무언의 끈' 중에서. (33~34쪽)


 나의 감정을 누군가가 공감한다는 것. 소중하다. 그렇게 위안을 얻는다. '울고 있는 사람에겐 손수건 한 장보다 기대어 울 수 있는 한 가슴이 더욱 필요한 것임을'1이라는 시도 있듯이. 기대어 울 수 있는 한 가슴. 공감하며, 진실로 보듬을 수 있는 그것. 있다. 아무도 혼자가 아니다. 가수 서영은도 '혼자가 아닌 나'라는 노래를 하지 않던가.


 '모두들 왜 이리 바쁘다고 난리지? 왜 항상 바쁜 걸까? 왜 사람들은 항상 늦은 상태인 걸까?' -'충만한 마음' 중에서. (65쪽)


 '전자기기는 우리 사이를 갈라놓는 휴대용 장벽이다. 우리는 기계를 집 안에, 식당 테이블 주변에, 차 안에, 심지어 연주회장에도 세워놓는다! 원래 이 기기들은 우리를 연결하려고 존재하는데, 어떤 면에서는 장벽이 되어버린다. 특히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과 교감을 가로막는다. ...... 더 이상 테크놀로지에 의존하지 않고 '너무 바쁘다'는 핑계를 밀어내면 더 반짝거리는 순간, 깨달음, 나 자신과 세상에 대한 쓸 만한 통찰을 얻곤 한다. ...... 나 자신을 더 잘 알기 위해서는 전자기기를 끄고 나 자신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필요가 있다.' -'충만한 마음' 중에서. (68쪽)  


 너무 바쁘고, 전자기기에 너무 의지하는 우리들.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말하는 그. 이 글에 공명(共鳴)했다. 불가(佛家)참선(參禪)이 살짝 떠올랐다. 넓게 보니, 묵상(默想), 명상(冥想)도 좋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도 '명상록'을 남기지 않았던가. 원제는 '타 에이스 헤아우톤(Τὰ εἰς ἑαυτόν)'으로 '자기 자신에게'를 의미한다는 그 책을. 나도 묵상, 명상과 가까이할까.


 '나는 젊은 게이로서 가벼운 우울감과 불안, 잦은 자학, 걱정, 불안정, 패배주의적 사고에 시달리며 살아왔고 한때는 나락에 떨어져 허우적거리기도 했다.' -'시작하는 글' 중에서. (15쪽)


 '이 책은 차라리 공개된 일기장에 가깝다. ...... 여러분을 위해서 이 책을 썼다. 하지만 사실, 이 책은 나를 위해 쓴 것이기도 하다.' -'시작하는 글' 중에서. (17쪽)


 스물네 살의 동성애자. 그는 우울감에 시달리기도 했다. 나도 지우려던 시름이 즐거움의 잔을 들어도 쌓여만 갈 때가 있다. 그때, 곁을 지키는 참다운 벗이 나에게도 있다는 진실. 벗과 진실된 사귐. 공감. 그 울림으로 시름을 씻으려 한다. 지은이의 도움말처럼. 또, 자기 성찰의 중요성. 잊고 있었다. 진정으로 나와 마주한 적이 얼마나 있었나. 이 공개된 일기장 같은 책으로 다시 깨달았다. 장벽이 되는 것을 손으로 불안하게 붙잡고 있기보다는 놓아야 할 때, 놓아야 한다. 그리고 내 안의 나를 찾아야 한다.

 그밖에도 공감이 되는 지은이의 감각적인 여러 사진과 솔직한 글들. 나와 따스하게 이어지기도 했다. 감정을 함께 하고, 나를 올바르게 바라보게 했다. 서로 다독이는 느낌이다. 그나저나 나도 이렇게 공개 사진 일기를 더 쓰고, 많은 이와 서로 다독이고 싶어졌다.   




 덧붙이는 말.


 지은이인 코너 프란타는 2020년 4월 현재, 500만 명 이상이 구독하는 미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이자 기업가, 베스트셀러 작가라고 한다. 또한 LGBT(성소수자 즉,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인권 운동가라고 한다.      


 

  1. 이정하, '기대어 울 수 있는 한 가슴'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월 25일.

아홉 권을 만났어요~^^*

'올재 클래식스 34차 세트(유림외사 1, 2, 데카메론 1, 2)'은 새 책이에요~^^*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 '사쿠라코 씨의 발밑에는 시체가 묻혀 있다 4, 5',

'언유주얼 An Usual 2019.6 Vol.1(창간호)', '절반의 중국사'는 중고 도서지요~^^*

올재 클래식스는 될 수 있으면 구매하고 있답니다~^^*

그리고 알라딘 직배송 중고 도서 등록 알림!

그 유혹!

참으려고 해도, 안 되는 건 안 되네요...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