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여자들 - Dear 당신, 당신의 동료들
4인용 테이블 지음 / 북바이퍼블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7 타임지 올해의 인물, '침묵을 깬 사람들' (사진 출처: 네이버 이미지)


 2018년 1월 29일. 서지현 검사. 8년 전, 장례식장에서 당한 성추행한 여성의 용기 있는 목소리1. 깊이, 높이, 또 멀리, 모두에게 새겨졌다. 2017년 계간 '황해문화' 97, 겨울호에 최영미2 시인은 시 '괴물'을 기고했다. 고은3 시인의 문단 내 성폭력을 폭로한 시였다. 앞서 미국에서도 하비 와인스틴의 성범죄 파문이 있었다. 2017년 10월이었다. 그리고 시작된 Me Too 운동. 성폭력 피해 공개 운동이다. 모두 침묵을 깬 사람들이다. 그런데, 그 사람들 대부분이 일하는 여성들이다. 마침, 일하는 여성 열한 명을 인터뷰한 이야기가 담긴 글 모음이 있다. 그들도 침묵을 깨고 있다.     


 '엄청 많지. 술자리라든가 전시 뒤풀이에서 나이 많은 작가나 갤러리 관계자들이 젊은 여성 큐레이터나 작가를 성추행하는데 본인들은 그게 추행인지도 모른다. 대놓고 잠자리를 요구하거나 작품을 팔았는데도 돈을 주지 않을 때도 있다. 여성 '아티스트'라서 겪는 일에 더해, '여성'이기에 당하는 일도 많다. 그건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니까.' -'내가 나를 컨트롤하는 게 중요하다' 중에서, 양자주 아티스트. (93쪽.) 


 '내 또래 작가들 상당수가 성희롱이나 성추행을 당해서 고민했지만 해결책이 없었다. 나 역시 당시 있던 팀의 부장이 내 손을 잡는다거나, 담배를 피울 때 옆에 앉혀놓고 자기가 젊은 여자 작가랑 데이트를 했었다며 자랑하기도 했고. 그런 걸 듣는 게 너무 싫었다.' -'내가 먼저 했던 고민을 알려주고 싶다' 중에서, 최지은 작가. (108쪽.)


 일하는 여자들. 집안일만 하는 여자들이 아닌 바깥일도 하는 여자들이다. 배우전문기자 백은하, 영화감독 윤가은, 일러스트레이터 임진아, 아티스트 양자주, 작가 최지은, GQ 에디터 손기은, 공연 연출가 이지나, 극작가 지이선, 기자 · 방송인 이지혜, 뉴프레스 공동대표 우해미, N잡러 홍진아. 그들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그 하나하나가 소중하다. 때로는 소곤소곤 속삭임, 때로는 처절한 절규. 귀를 기울이게 된다. 그 목소리를 당긴 인터뷰어와 민 인터뷰이. 모든 우여곡절(迂餘曲折)이 고이 담겨 있다. 일하는 여자들의 모든 우여곡절이.


 '계속 꾸준히 일하며 자신을 정확히 바라보는 삶의 원칙과 태도를 추구하는 모든 일하는 여성들에게는 영감과 용기를, 그리고 이들과 함께하는 모든 이에게는 이해와 공감을 전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된다면 기쁘겠다.' -'꾸준히 일하며 자신을 정확히 바라보는 삶의 원칙과 태도를 추구하는 모든 여성들에게' 중에서, PUBLY, CEO 박소령. (8쪽.)


 중학생 때, 나는 등교하고 있었다. 버스를 타고. 버스는 만원이었다. 등교하는 학생들. 출근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운이 좋게 좌석에 앉았던 나. 내 좌석 주위에서 한 여성이 서 있었다. 아마 출근하는 직장인이었을 거다. 즉, 일하는 여성이었다. 성추행을 당했는지 항의를 했다. 그리고 그렇게 버스는 달렸다. 당시, 내가 그 여성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던 걸 후회한다. 잠이 부족해서 잠깐씩 졸기도 했지만, 좀 당황해서 그저 앉아 있었다. 성추행이 계속됐는지는 모르겠다. 아마 다른 눈들이 모이니, 그쳤을 거라 생각한다. 그래도 그 일하는 여성을 보호했어야 했다. 이제는 하려고 한다. Me Too를 넘어, With You, Me First로 나아가야겠다.

 

 '일하는 여성들'의 물음표와 마침표를 만나며, 중학교 때의 이 기억이 떠오르게 됐다. '일하는 여성들'. 각자의 색채와 온기를 갖고 침묵을 깨는 여성들. 그 목소리에 담긴 간절한 소망. 함께 하고, 또, 먼저 하고 싶다. 중학교 때 행동하지 못했던 내가 행동하고 싶다. 물음표에서 나온 마침표. 그 마침표가 또 다른 물음표가 되었고, 나는 느낌표로 잇고 싶다. 그렇게 이해하고, 공감하고 싶다. 이것이 페미니즘이다. 그 페미니즘이 꽃과 열매를 맺으면, 괴물이 하나하나 잡힐 거고.



 덧붙이는 말.


 장경진, 윤이나, 황효진, 정명희로 구성된 ‘4인용 테이블’은 쓰고 만드는 네 사람이 모여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크리에이티브 프로젝트 팀이라고 한다. 

  


 

  1. 서지현 검사가 올린 안태근 성추행 폭로 글, 황춘화 기자, 한겨레 신문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0046.html )
  2. 최영미 시인. ( https://namu.wiki/w/%EC%B5%9C%EC%98%81%EB%AF%B8 )
  3. 고은 시인. ( https://namu.wiki/w/%EA%B3%A0%EC%9D%80(%EC%8B%9C%EC%9D%B8)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