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랩 걸 - 나무, 과학 그리고 사랑 ㅣ 사이언스 걸스
호프 자렌 지음, 김희정 옮김 / 알마 / 2017년 2월
평점 :

뿌리와 이파리
'불교의 소위 윤회설이 참말이라면 나는 죽어서 나무가 되고 싶다.'
- 이양하의 '나무' 중에서
다시 태어난다면, 나무가 되고 싶어요. 퇴계 이황 할아버지께서 아끼신 매화, '어린 왕자'가 사랑한 장미. 나무에는 덕(德)과 미(美)가 있어요. 그러니, 나무가 되고 싶어요. 예부터 아치고절(雅致高節), 빙자옥질(氷姿玉質)인 매화. '그 꽃은 나를 향기롭게 해주고 내 마음을 밝게 해주었어'라고 한 '어린 왕자'의 장미. 정말 되고 싶어요.
나무와 옹이
다시 태어난다면, 나무가 되고 싶을 사람의 이야기예요. 그 사람은 식물학자예요. 여성이고요. 이름은 호프 자런이에요. 이 이야기는 '랩' 안의 '걸'로 시작해요. 호프의 아버지는 과학자예요. 그래서 호프는 아버지의 실험실에 있고는 했지요. 어머니의 정원에 있기도 했지만요.
'대학 생활은 문학 전공으로 시작했지만 얼마 가지 않아 나는 과학이야말로 진정으로 내가 속한 분야라는 것을 깨달았다. 너무도 대조적인 두 분야를 비교해보면 내가 어느 쪽에 더 가까운 사람인지가 한층 분명해졌다.' -32쪽.
'과학을 선택한 것은 과학이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을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가장 기본적인 의미의 집, 다시 말해 안전함을 느끼는 장소를 내게 제공해준 것이 과학이었다.' -33쪽.
'내가 확실히 안 유일한 사실은 언젠가 내 실험실을 갖게 된다는 것뿐이었다.' -34쪽.
'내 실험실은 대학 청사진에 표시된 'T309'호실이 아니라 '자런 실험실'이고, 어디에 자리하든 언제나 그렇게 불릴 것이다. 내 집이기 때문에 내 이름을 담을 것이다.' -34쪽.
호프 자런은 자신만의 실험실을 갖고자 했어요. '불이 항상 켜진 곳', '내가 하지 않은 일에 대한 죄책감이 내가 해내고 있는 일들로 대체되는 곳', '교회와 같고', '내가 글을 쓰는 곳'인 실험실. 그런 실험실을 갖고자 나아가는 길이 평탄하지만은 않았아요. 대학을 다니며 부족한 돈을 벌기 위해 여러 일을 해야 했고요. 실험실을 갖게 된 후에도 연구비를 지원받기 위해 노력해야 했어요. 그러다가, 호프는 학회에 가기 위해 무리한 일정으로 몇 명과 자동차로 장거리를 가게 돼요. 그런데, 전복 사고가 났지요. 그래도 학회에서 발표를 하고 왔어요. 고투(苦鬪) 안에서 빛나는 열정이네요.
'모두의 얼굴에는 이제 내게 익숙한 표정이 떠올라 있었다. “저 여자가? 그럴 리가. 뭔가 실수가 있었겠지.” 전 세계 공공기관 및 사립 기구들에서는 과학계 내 성차별의 역학에 대해 연구하고 그것이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결론지었다. 내 제한된 경험에 따르면 성차별은 굉장히 단순하다. 지금 네가 절대 진짜 너일 리가 없다는 말을 끊임없이 듣고, 그 경험이 축적되어 나를 짓누르는 무거운 짐이 되는 것이 바로 성차별이다.' -262쪽.
그리고 과학계에서 여성이기에 받는 차별을 이야기해요. '유리천장', '새는 파이프라인',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불리는 그 차별. 호프 자런은 담담하게 들려줘요. 영화 '히든 피겨스(Hidden Figures, 2016)'가 떠오르네요. 나사에서 근무한 흑인 여성 수학자, 과학자로서 받은 차별을 이야기하지요. 그렇게 차별 받은 여성 수학자, 과학자의 이야기를 더 찾아봤어요. 두고두고 기억하고 싶네요.
또, 호프 자런의 아픔도 이야기해요. 긴 가시인 조울증, 출산으로 실험실을 떠났을 때의 절망, 엄마로서 아들에게 부족함에 대한 불안. 그 아픔을 보듬은 것은 믿음과 교감(交感)이에요. 자신과 일에 대한 믿음과 교감. 또 실험실의 지기(知己)인 빌과 남편인 클린트의 믿음과 교감. 그리고 아들의 믿음과 교감이에요.
꽃과 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