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에 가기로 한 메르타 할머니 메르타 할머니 시리즈
카타리나 잉겔만 순드베리 지음, 정장진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아버지께서 책 몇 권을 손에 들고 오셨다. 그 가운데 한 권이 '오 헨리 단편선'이었다. 꼬마였던 나는 그 책이 좋았다. 웃음 안에 따뜻함이 있었다. '마지막 잎새', '크리스마스 선물'은 많은 분들도 아시리라. 지금, 여기에서, 그의 작품 가운데 하나를 생각해본다. '경찰관과 찬송가'라는 이야기. 거리에서 생활하는 소피. 그는 감옥에 가려고 한다. 추운 겨울에 섬의 피난처라 부르는 그곳에서 지내려고 한다. 그 소피와 동병상련인 할머니가 계시다. 이분은 노인 요양소에 계신 분. 친구분들과 함께 감옥에 가고자 하신다.


 오 헨리의 '경찰관과 찬송가'에서 소피는 감옥에 가는 법으로 여러 가지를 실천한다. 음식점에서 돈 없이 식사. 거리에서 치한 수작. 길에서 풍기 문란 행위. 어느 신사의 우산 절도까지 모두 실패. 음식점의 웨이터는 내쫓기만 하고. 희롱을 당한 여인은 유녀(遊女)였고. 풍기 문한 행위는 승리 축하 소동이라 여기고. 절도한 우산은 원래 주운 우산이었고. 그런데, 우연히 들어간 교회. 그곳에서 찬송가를 듣는다. 찬송가의 울림으로 소피는 마음을 바꾸게 된다. 열심히 살겠다고. 일자리를 얻겠다고. 바로 그 순간, 경찰관은 그를 잡아가고. 결국 감옥에 가게 된다.


 79세의 메르타 안데르손 할머니는 스웨덴의 다이아몬드라는 노인 요양소에 계신다. 요양소의 원칙은 8시 취침, 간식 금지, 산책은 어쩌다 한 번만. 이것이 불만인 할머니. TV에서 감옥을 보게 된다. 하루에 한 번씩 산책을 시키는 감옥. 그 매력에 감옥에 가고자 하신다. 혼자가 아니라 요양소 합창단 친구분들과 함께. 그렇게 5인조 노인 강도단이 된 노인분들. 계획은 국립 박물관의 미술 작품 가져오기. 그림값 천만 크로나를 받으면 돈을 잘 숨겨 두었다가 그림을 돌려주기. 출소 후, 그 돈으로 행복한 노후 보내기. 그분들, 용감하게 모네와 르누아르의 작품을 가져온 후, 모작으로 위장. 그림을 호텔 방에 두신다. 그런데, 폭풍우에 돈의 절반을 소실. 게다가 호텔 방에 둔 그림은 행방이 묘연. 노인분들은 아연히 계시다가 경찰서에 자수. 그러나 아무도 믿는 이는 없고.


 '낙엽 지는 황혼기를 맞아 인생을 조금 즐겨 보고 싶은 노인들이 강도가 되는 것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면 그 사회는 분명 뭔가 잘못된 사회임에 틀림없다.' -208~209쪽.


 나무들 다 가을빛 지니는 이때. 삶에도 가을빛을 지니는 때가 온다. 그리고 오늘처럼 비바람이 있는 날. 낙엽이 지고. 그 낙엽 지는 황혼기를 맞은 노인분들. 메르타 할머니와 그 친구분들. 그 개성으로 해학이 묻어나는 이야기를 들려 주신다. 오 헨리가 지은 '경찰관과 찬송가'의 소피도 웃음을 짓게 하고. 닮은 이 두 이야기의 큰 이야기는 감옥에 가는 법 실천. 그 웃음 안에 따뜻함을 남긴다. 그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함께 나누며, 도움을 주게 되는 따뜻함. 어릴 적, 할머니께서 꼭 쥐어 주시던 손으로 이어지는 그 따뜻함. 소중히 간직하게 된다. 메르타 할머니. 그리고 친구분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스웨덴의 노인분들은 그분들이 됐다. 아, 미국의 소피 아저씨도 잊지 않겠다.

 

 

김정희, <대팽고회> 1856년(71세), 129.5x31.9cm, 간송미술관 소장.

 

 푸짐하게 차린 음식은 두부, 오이, 생각, 나물이고 大烹豆腐瓜薑菜

성대한 연회는 부부, 아들딸, 손자라네 高會夫妻兒女孫

 

 추사 김정희 할아버지의 대련이 있다. '대팽고회'라는 대련. 중국 명나라 문인 오종잠(吳宗潛)의 「중추가연(中秋家宴)」이란 시에서 연유한 것이라 한다. 성대한 연회는 부부, 아들딸, 손자라고 말씀하시는 추사 할아버지. 여백에는 이것이 시골 서생에겐 제일가는 즐거움이라 하셨고. 이런 것이 소확행. 즉, 작지만 확실한 행복이 아닐런지. 그것이 최대의 행복이고. 추사 할아버지도 깊게 느끼셨을 듯. 이런 행복을 많은 노인분들이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메르타 할머니와 그 친구분들이 감옥 가기 계획을 세운 건 소박하지만 큰 행복에 닿을 수 없었기 때문이리라. 웃음 안에 따뜻함으로 이런 행복에 다가가기 위해 달리는 메르타 할머니와 친구분들. 나도 힘차게 응원을 한다. 이분들의 외침을 들으며. 언제까지나.  

 

'우리를 위하여! 최대한 행복해지려고 하는 우리 모두를 위하여!' -576쪽.

 

 이 글의 마지막에 갑자기 사진첩에서 외할머니 사진이 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