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베스 호가스 셰익스피어 시리즈
요 네스뵈 지음, 이은선 옮김 / 현대문학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영화 '동방불패(笑傲江湖 之 東方不敗: Swordsman II, 1992)' 중에서. (사진 출처: 네이버 이미지)


 옛 무림에 동방불패라는 분이 계셨다. 절대 고수셨지. 김용 선생께서 만드신 인물. 일월신교의 교주로 규화보전을 익힌 마성의 인물. 영화에도 나오신 동방불패. 그때의 많은 남정네들은 임청하 누님의 그 동방불패를 잊지 못했지. 충격이었고, 동경이었던 동방불패. 그렇게 많은 날을 설레며 보냈고. 지금, 맥베스를 그리며, 옛 동방불패, 그분이 다시 다가온다. 빗나간 야망을 품었던, 맥베스와 동방불패. 그 둘은 닮았다.  


 맥베스. 빗나간 야망의 상징이다. 그리고 파멸의 상징이고.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도 그렇고, 요 네스뵈의 맥베스도 그렇다. 사실, 옛 기억으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는 얼개만 남아 있었다. 이제, 요 네스뵈의 '맥베스'를 통해 다시 조각이 이어졌다. 그렇게 '맥베스'의 흐릿한 얼굴이 분명해졌다.  


 ''맥베스'의 무대는 실업과 마약 조직, 부패한 정부, 산업 오염으로 신음하는 1970년대의 어느 도시다.' -'작가의 말' 중에서. (5쪽).


 그 도시에 새로운 경찰청장이 앉는다. 그 이름은 덩컨. 강직한 그는 부패와의 전쟁을 시작하고, 특공대장이었던 맥베스를 조직범죄수사반장에 앉힌다. 이때, 이 도시의 큰 암흑인 헤카테는 덩컨을 없애려고 하지. '약쟁이나 도덕주의자보다 더 예측하기 쉬운 부류가 딱 하나 있다면 그건 사랑에 홀딱 빠진 약쟁이 겸 도덕주의자야(131쪽)'라고 말하며, 맥베스의 칼을 덩컨에게 향하게 하려고 한다. 세 자매를 보내, 맥베스가 경찰청장이 되리라는 예언을 듣게 해서. 그 예언으로 맥베스의 애인인 레이디를 움직이게 해서. 결국, 덩컨은 맥베스의 칼에 쓰러지고, 맥베스는 경찰청장이 된다. 그러나, 공포, 불안과 악몽으로 무너지며 파멸하는 맥베스. 물론 레이디도 함께.  


 동방불패. 이 또한 빗나간 야망의 상징이다. 그리고 파멸의 상징이고. 일월신교의 교주인 임아행을 가두고 새로운 교주가 되지. 그가 익힌 규화보전의 위력으로. 그런데, 규화보전을 익히기 위해서는 남성을 버려야 했다. 거기에 더해 동방불패는 여성이 되었고. 성 정체성의 혼란. 그리고 영호충에 대한 사랑. 동방불패 또한 무너지며 파멸하게 되고.


 '"여자의 몸에서 태어나지 않은 사람만 나를 해칠 수 있어! 버사만 나를 청장 자리에서 밀어낼 수 있어. 나는 불사신이다! 맥베스는 불사신이다! 죽은 인간들아, 나가거라!"' -430쪽.


 '동쪽에서 해가 뜨는 한 난 절대 지지 않는다.' 영화 '동방불패'에서 동방불패의 대사 중에서.


 맥베스와 동방불패. 많이 닮은 두 사람. 가장 강력했던 그 둘. 그러나 그런 그 둘에게 가시가 있었다. 맥베스에게는 예언과 애인인 레이디. 동방불패에게는 규화보전. 그 가시는 빗나간 야망을 이루게 했지만, 계속 자라나 파멸을 불렀다. 불안의 씨앗이었다. 그렇게 비극이 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글은 질서와 안정에 가치를 둔다.1 그의 '맥베스'도 그렇고, 요 네스뵈의 '멕베스'도 그렇다. 욕망과 배신으로 뭉친 자는 자멸한다는 그것. 그런데, 셰익스피어의 세 마녀, 요 네스뵈의 세 자매는 혼란, 무의식의 얼굴이다.2 모호한 언어로 예언을 전하며, 맥베스의 빗나간 야망에 기폭제가 되는 그들. 질서와 안정, 혼란과 무의식. 그 다름의 어울림. 그것이 우리에게 깨끗함을 더해 준다. 영화 '동방불패'도 그렇다. 규화보전은 동방불페에게 혼란, 무의식의 얼굴이었다. 그 얼굴을 그리며, 다다른 건 질서와 안정이고.


 '검정 혹은 빨강. 탐욕 혹은 공포. 밤빛 혹은 핏빛.' -'작가의 말' 중에서. (6쪽).


 요 네스뵈의 '맥베스'는 정말 '검정 혹은 빨강. 탐욕 혹은 공포. 밤빛 혹은 핏빛'이었다. 그 바탕은 새하얀 눈. 그렇기에 더욱 도드라진다. 새하얀 눈 위에 내린 깊은 어둠. 새하얀 눈 위에 핀 새빨간 꽃. 그것이 요 네스뵈의 '맥베스'였다. 가히,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를 아름답게 변주하여 연주해냈다. 그 선율이 영화 '동방불패'와 어울려 나에게 다가왔고. 그 무늬가 깊게 새겨졌다. 나의 곳곳에.





 덧붙이는 말.


 이 요 네스뵈의 '맥베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을 맞아 그의 대표작을 재해석하는 호가스 셰익스피어 프로젝트의 일곱 번째 책이다.  

        


 

  1. 셰익스피어 정치적 읽기, 테리 이글턴 지음, 김창호 옮김, 민음사, 2018, 11쪽.
  2. 같은 논조. 셰익스피어 정치적 읽기, 테리 이글턴 지음, 김창호 옮김, 민음사, 2018, 12~13쪽.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