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최근에 글쓰기 수업을 듣기 시작했다. 인강으로 듣기도 하고 주말에는 교수님께 지도를 받기도 하는 수업이다. 처음 시작했을 때만해도 글쓰기 수업을 받기에는 나이가 너무 많은 것은 아닌가하는 고민을 하였었다. 그런데 수업을 받으러 간 첫날 글쓰기 강의를 들으러 오신 분들을 보니 반대로 내가 가장 어린 학생이었다. 나처럼 글쓰기에 재미를 붙여 강의를 들으러 오신 분들도 있지만 나름 글 꽤나 쓰시는 분들 틈에서 나름 고투를 벌이며 열심히 수업에 참여하는 즐거움으로 사는 요즈음이다.
그동안 나도 블로그를 하면서 글쓰기 책을 꽤나 읽어왔지만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은 유난히 간결 명료해서 읽기 좋았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문장을 쓰는데다가 주로 인문계열의 글쓰기를 해 온 이유라 본다. 글쓰기 책은 시중에 넘쳐나지만 하나같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있다.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 이라하여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것 외에는 글을 잘쓰는 비결이 없다고, 사실 그 말이 정답이기도 하다.
유시민도 그와 다르지 않다. 다른 점이 있다면 유시민은 이 책에서 다독과 다작 , 다상량을 위한 워밍업과 같은 기초를 조목조목 짚어준다는 점? 좋은 책을 선별하는 방법과 기술, 좋은 책을 기르는 기준과 논리적 글쓰기를 위한 최고의 꿀팁을 알려준다는 점이다.
누구나 글을 잘 쓰고 싶어하고 글쓰기에 대한 욕망이 있다.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글쓰기는 궁극적으로 타인과의 소통이 목적이다. 타인과의 소통을 잘 하려면 상대를 설득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때 필요한 기술은 사실과 주장을 구별하는 것이다. 사실은 그저 기술하는 데 그치지만 주장은 반드시 근거를 제시하여 옳은 주장이라는 것을 논증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바로 이 과정이 논증의 미학이다.
저자는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논증의 미학이 살아있는 글을 짚어주며 그 가운데에는 한때 논쟁의 대상이었던 백승우 전 사무총장의 유시민 아메리카노를 두고 폭로한 사설도 들어있다. 완벽할 뻔했던 사설은 감정에 치우치는 바람에 논리에서 벗어난 글이 되어버렸는데 저자는 논증의 미학이 살아있는 글을 쓰려면 감정까지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주제에 집중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다고 조언한다.
첫째, 취향 고백과 주장을 구별할 것
둘째, 주장은 반드시 논증한다
셋째, 처음부터 끝까지 주제에 집중한다.
이 세 가지 규칙을 잘 따르기만 해도 어느 정도 수준 높은 글을 쓸 수 있다
몇가지 저자가 알려주는 글쓰기 조언은 책을 읽고 텍스트를 요약하는 기술을 터득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한다. "남들이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글을 쓰고 싶다면, 내가 먼저 남이 쓴 글을 이해하고 공감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말로든 글로든 타인과 소통하고 싶으면 먼저 손을 내미는 게 바람직하다."(p65) 는 것이다.
또한 "훌륭한 글을 쓰기 위해서 첫째는 텍스트 독해, 둘째는 텍스트 요약, 셋째는 사유와 토론이다.이 모든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 경로는 책이다. 책을 많이 읽을수록 아는 것이 많아진다. 아는 게 많을수록 빠르게 독해할 수 있고 정확하게 요약할 수 있다."
"글을 잘 쓰고 싶다면 독서광이 되어야 한다. 책을 읽지 않고 타고난 재주만으로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없다, 글쓰는 기술만 공부해서 잘 쓰는 사람도 물론 없다."
' 붓은 무기가 될 수 있지만 총은 붓 역할을 못한다.' 중국이 일본과의 전쟁중에서도 교육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유는 '붓'의 힘이 총칼의 힘보다 더 위대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 글쓰기가 일상으로 자리잡아 가면서 글쓰기가 무기가 된다는 사실을 새삼 실감하곤 한다. 정치나 사회적으로 민감한 사안이 나오면 온라인에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는 것이 다반사이다보니 글쓰기가 말하기보다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이다.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은 논리적인 글쓰기나 인문사회계열의 글쓰기를 쓰는 분들께는 지침서나 다름없지만 문학적인 감성의 글쓰기를 원하는 분들은 패쓰해도 좋다.
* 책을 고르는 기준
첫째는 인간, 사회, 문화, 역사, 생명, 자연, 우주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개념과 지식을 담은 책이다. 이런 책을 읽어야 글을 쓰는 데 꼭 필요한 지식과 오휘를 배울 수 있으며 독해력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다.
둘째는 정확하고 바른 문장을 구사한 책이다. 이런 책을 읽어야 자기의 생각을 효과적이고 아릅답게 표현하는 문장 구사 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한국인이 쓴 것이든 외국 도서를 번역한 것이든 다르지 않다,
셋째는 지적 긴장과 흥미를 일으키는 책이다, 이런 책이라야 즐겁게 읽을 수 있고 논리의 힘과 멋을 느낄 수 있다. 좋은 문장에 훌륭한 내용이 담긴 책을 즐거운 마음으로 읽으면 지식과 어휘와 문장과 논리 구사 능력을 한꺼번에 얻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