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부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6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암사에서 출간되는 나쓰메 소세키의 2차분 전집은 [우미인초], [산시로],[그후], 이후 [갱부]이다. 이번 2차분 전집의 공통분모는 '청춘'이라 할 수 있다. 사춘기라는 터널을 지나 사랑이라는 관문을 통과하게 되는 의례에서 한 번쯤은 겪어 보았던 일말의 감정들을 공감할 수 있었던 책이었다.

 

《갱부》는  누구나 한 번쯤은 떠올려 보는 죽음에 대한 관조적 성찰이다. 이제 막 열아홉인 주인공 ''가 죽기 위해 가출한 것도 계획적이거나 오랜 시간 고민하여 행동에 옮겼다기보다는 10대 청소년들이 다 그렇듯이 충동에 의한 것이다. 부잣집 도련님으로 유복하게 살았던 ''가  죽고 싶어 집을 뛰쳐나왔지만 그런 '나'에게 다가온 현실은 '갱부'라는 직업을 소개하는 브로커와의 만남이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던 사회적 보호막이었던 집을 뛰쳐나온다라는 것은 막연한 가출이 아니라 보호막을 걷어 찬 성인으로서의 성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부잣집 도련님과 갱부, 이 어마어마한 직업의 간극에서 보듯 세상물정 몰랐던 도련님은 순진하게 (물론 죽음앞에서 이것저것 가릴 형편은 아니었겠지만) 브로커를 따라가는데 이틀 동안 기차를 타고 산을 올라 깊고 깊은 광산으로 들어가는 길은 순례의 길과 다름없다.  힘든 일이라고는 해 본 적이 없던 '부잣집 도련님'이 겪는 생전 처음의 배고픔과 굶주림이라는 고통이다.  그렇게 해서 찾아 간 구리 광산에서 만난 갱부의 얼굴은 뼈인지 뼈의 얼굴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각진 얼굴을 하고 있으며 짐승과도 같은 느낌이었다. 주인공 '나'는 처음으로 자기가 떠나온 세계와는 전혀 다른 세계라는 것을 직감한다. 반대로 짐승 같은 갱부들은 풋내기와 같은 어리숙한 모습의 신참을 보며 적개심을 드러낸다. 그들의 적개심 가득한 얼굴은 흡사 해골을 연상케 했고 그들의 대화는 동물들의 은어와 같이 알아들을 수도 없다.  그런 분위기에서 목격하게 된 갱부의 장례식 행렬은 '나'를 당혹스럽게 한다. '나'는 갱부가 되기 위한 테스트를 거친다.  갱 입구에서부터 지옥의 냄새를 맡은 '나'는 갱부가 될 수 있을까?

 

 

 

 

순식간에 생명이 확실해진다죽음에 다가가면서 좋은 기분으로 삼도천앞까지 간 사람이 수로를 터벅터벅 돌아오는 과정을 생략한 채 불쑥 속세의 한가운데에 출현한 것이다. 나는 그것을 죽다 살아난 경험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철모르는 십대때 나도 가출을 한 적이 있었다. 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한 준비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집을 나선 댓가는 혹독했다. 돈도 없었고 잘 집도 없었다. 다행히 갱부의 주인공 '나'처럼 브로커 같은 유형의 사람을 만나지 않았다는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겠다. 하루도 채 넘기지 못하고 기어 들어간 집의 안도감은 두번 다시 가출을 떠올리지도 못하게 했다.  주인공 '나'가 가출하여 사회의 새로운 면모에 눈을 뜨게 되는 것처럼 나와는 다른 세계를 살짝 맛 본 것으로 족했던 것 같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 세계란, 시비와 인정에는 문외한이었을 것 같았던 갱부들에게서 삶의 진경을 배우게 되면서 열린 세계이다.  죽음의 입구와도 같았던 갱 앞에서 '죽다 살아난 경험'을 했던 '나'는 카뮈가 말하였듯 죽음이란 생명이 가진 시간적 한계에 불과함을 깨닫는다. 죽음으로 인해 새 빛을 얻는 갱부의 삶, 어쩌면 그것은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사로서의 영감을 주는 수원지가 아니었을까. 마치 모든 소설의 첫 시작이자, 나쓰메 소세키의 첫 소설 같은 느낌의 갱부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5-02-02 1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집을 나오려고 하는 사람은
누구나 `새로운 길`을 찾고 싶은 마음일 테지요.
비록 `몸은 준비가 안 되`어 다시 집으로 돌아가더라도요.
<갱도>에 흐르는 이야기를 가만히 헤아려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