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사회학자가되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 - 피터 버거의 지적 모험담
피터 L. 버거 지음, 노상미 옮김 / 책세상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을 본 순간부터 자꾸 귓가에 맴돌던 책이다.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었다고 하는 것은 후회한다는 뜻 아니면, 재치가 있거나, 둘 중 하나로 생각했었다. 물론 후회하지 않았으니까, 사회학과 관련된 책을 냈겠지. 했는데 역시 작가의 재치와 유머가 곳곳에 넘쳐난다. 사회학에 대한 애정이 넘치기도 한 학자이기도 하고, 사회 탐구에 관련하여 수많은 저작을 출간한 다작가로 미국에서는 가장 명망있는 사회사상가이다. 이런 학자들의 단점은 자신들의 이론에 갇혀 책을 재미없게 쓴다는 것이 단점이라 하면 단점인데 피터 버거는 자신의 학력이나 지위에 갇히지 않고 매우 위트 있게 사회학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나의 지적 이력은 착각에서 시작됐다.

 

 

사회학을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사회학의 대상에 따라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하는 가에 따라 학문의 정의가 달라지기도 하고 학자들의 주장에 따라 의견이 분분한 학문이기 때문이다. 피터 버거가 군대에 가서 사회학자라고 하자 상관이 그게 뭔데?” 라고 묻는 걸 보고 웃음이 터져 나왔는데 대부분이 사회학자에 대한 반응이지 싶다.  피터 버거는 그런 사회학에 대한 모든 것을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를 통해 아주 유쾌하게 설명해주고 있는데 그의 궤적을 따라가다 보면 사회학이란 이런 것이구나, 하는 감이 조금 온다. ^^

 

좋은 사회학은 좋은 소설과 유사하다. 좋은 소설을 읽으면 사회에 관해 많이 알 수 있으니까.

 

저자는 뉴욕의 뉴스쿨에서 대학원을 다니면서 만난 세 명의 은사가  그에게 미친 영향으로 사회학자로서의 영구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세 은사에게 배운  사회학의 이론이 그의 기초 이론을 확립해주었다고 한다. 세 명의 은사( 잘로몬, 쉬츠,마이어) 중 한명인 잘몬에게서는 관념사에서 사회학이 차지하는 위치를 이해하게 되었고, 쉬츠에게서는 현상학을 마이어에게서는 종교사회학과 베버에 관하여 철저하게 배웠다고 한다. 이런 이론을 통해 탄생한 책이 현재의 사회적 구성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회학을 두가지 의미를 내포하여 저술했다고 하는데

첫째가 사회학이 학대와 억압을 정당화하는 신화들의 정체를 폭로함으로써 인간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고,

둘째가 사회학은 곧 인문학의 하나로 역사와 철학과 가까울 뿐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이 갖는 직관적 통찰과도 밀접하다는 것이다.

 

불완전한 비전을 저술하면서는 종교인이었던 저자가 종교와 사회와의 관계를 가치 중립적으로 저술한 다음 다시 종교적인 관점으로 두 가지 관점으로 설명해야 했던 이유를 저자는 사회학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허구에 부여되는 종교적 정당성의 정체를 폭로하지 않으면 안되기때문이라며 , 종교가 가지고 있는 자기기만의 정체를 폭로하게 해야 하는 것이 사회학이라고 한다.

 

사회에 종교가 필요한 것은 인간에게 자기기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회학은 사회적 허구의 실체를 폭로하기 때문에 코미디와 유사하다. 그래서 우리를 해방할 수도 있다.

 

사회학에의 초대에서는 사회학을 하나의 학문이라기보다는 의식의 한 형태, 즉 인간 조건을 바라보는 하나의 독특한 관점이라고 밝히는데 우리가 맺고 있는 관계 즉, 사회적 역할 바깥에 설 수 있게 해줌으로써 우리가 자유를 깨닫게 해주는 것, 이 발견이 자유를 향한 첫걸음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뉴욕으로 독일로 다시 뉴욕으로 뉴스쿨 대학원의 정교수가 되었을 때, 저자는 다작의 책을 내고 그 사이 사회학에 대한 특정한 접근 방식의 토대를 탄탄히 하게 되었으며, 이론적 토대 또한 장족의 발전을 한 상태였다. 사회적으로나 지위면으로 보나, 평온하기 그지 없는 삶에서 그는 모든 지루함은 악마를 불러들이는 법이라며 소설 엔클레이브스를 집필한다. 모든 첫 소설은 자전적이라고 했듯이 그는 이 소설에 자신의 사회상을 투영해 넣었다고 하는데 뭐. 쉽게 절판되어 아쉽다고 하는 거 보니 , 피터 버거는 작가로도 꽤 성공을 이룬 듯 하다. ^^

   

저자는 베버에 많은 영향을 받았고 베버에 대한 충심이 대단하다. 그러나 사회학자로서 그동안 사회현상을 연구하다보니 베버에 대한 충심을 거스르게 되는 반대되는 이론을 내놓게 되는데 ( 마음아파도 어쩔 수 없다나) 베버의 세계의 탈주술화라는 이론이다. 주술은 사라지고 근대인은 만연한 합리성의 철창에 갇혀버렸다는 것인데 거기에 저자는 근대 세계의 특징은 세속화가 아니라 다원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베버의 세속화 이론은 유지할 수 없다고 한다. 이 다원성에 대해서는 저자가 온몸으로 부딪혀 얻은 경험 때문이었는데 그는 제 3세계와 반체제 문화, 그리고 복음주의와의 만남으로 인해 더 확신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가 이런 사회를 연구하기 위해서 다닌 나라만해도 수십 군데이다. 온몸으로 체험하고 느끼며, 사회학과 연결지어서 자신의 책에서 주장한 이론을 설명해주는데 타고난 이야기꾼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저자는 사회학자로서 중국에 갔을 때 중국 경제의 급부상한 이유를 유학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의도를 조금 내비치기도 한다. 인상적인 것은 저자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모습이었는데 학생들이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며, 그것을 한국 경제 기적의 비결로 보고 우스개 소리로 독일 백 년전 모습이라고 한다. (한국이 아무리 경제 성장을 했다 해도 독일과는 한참 뒤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이어서 베버의 현세적 금욕주의로 이 현상을 설명해준다. 그러면서 부유한 나라는 버릇없는 아이들을 낳는다나.... ....

 

그러고 보니 며칠 전에 읽은 필 주커먼의 신 없는 사회에 피터 버거의 말이 인용이 많았던 것이 기억이 난다. 신 없는 사회는 듣기 나름이겠지만. 덴마크와 스웨덴을 무척 살기 좋은 나라로 보며  종교라는 틀에 갇히지 않은 유일한 사회로서 두 나라를 사회학 관점에서 연구한 책이다.필 주커먼은 종교에  의지하는 것보다는 이성적이고도 합리적인 사고가 사회를 더 살기 좋게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어쩌다 사회학자가 되어에서 저자 피터 버거는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사회학이란 학문과 더불어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  미국이란 사회에서 종교는 워낙 밀접한 관계라 그가 저술한 책과 사상의 바탕은 거의 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어서 앞서 말한 필 주커먼의 주장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마지막 에필로그에 고백처럼 실려 있는 말은 저자의 인간적인 면모가 느껴져 가장 인상 깊게 읽었는데 저자는  자신을 처음 가슴 뛰게 만들었던 사회학과 현재  전문분야로서 사회학을 연구하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기에 전문분야를 의식적으로 멀리하고 있다고 고백한다.  (사회학이 이상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한다.) 그래도 자신이 하고자 했던 사회학에 대한 첫마음은 아직도 자신의 가슴을 뛰게 한다는 고백을 통해 사회학에 대한 깊은 애정과 열정이 느껴졌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인생을 아주 재미있었다라고 표현하는 부분에 대해서 내 인생 마지막에  내 인생을 돌아보며 아주 재미있었어... 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하는 부러움으로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