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화를 이해하는 12가지 열쇠 ㅣ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생 시절부터 나는 이상하게 그리스 로미신화를 굉장히도 좋아했다. 그리스 로마신화는 여러가지 신과 사람과 괴물들이 얽힌 이야기를 표현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제우스가 바람을 피우거나 그것에 헤라가 보복을 한다는 등의 여러가지 사건들을 바라보면서 자신도 모르게 그리스 로마신화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될 것이다.
나도 그런사람들 가운데 한명이다. 여기저기의 그리스 로마관련 서적은 무턱대고 읽어나갔다. 역시 한참 오래된 이야기이다 보니 전해져 내려오는 갈래가 너무 많아 한 이야기에 수십가지의 설이 난무하고 딱 하나 어디 정해진 내용이 없어 수권, 십수권을 읽어대도 새롭고 또 새로운 이야기가 그리스 로마 신화였다.
그러다가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를 보게되었다. 당연히 첫장부터 흥미롭게 읽어내려갔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는 객관적으로 훑어내려간 다른 서적들과는 다르게 작가의 주관적인 개입이 상당히 많았다는것이 특징이다.(나는 그렇게 느꼈다.)특히 2권에서의 앞부분에는 상당히 두드러진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에는 그림이 상당히 많다. 이 때문에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라는 책을 좋아한 친구도 내 주위에 상당하다. 내용이 작을뿐만 아니라 글씨크기도 적당하게 크고, 거기다 수록된 그림들을 보면서 그때 그때의 상황을 머리속에서 다시한번 떠올려 정리할 수 있다.(라는 점에서 한표를 더 주고싶다)
작가는 상당히 다양한 각도에서 그리스 로마신화를 바라본다. 그 예는 2권에서 잘 나타나 있는데, 하다못해 우리나라 강의신도 등장하는 부분에서는 작가가 존경스럽다는 생각도 들기까지 했다. (도대체 어느누가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을때 우리나라의 강의신을 떠올리겠는가...) 하지만 그 부분에서 나는 약간의 실망도 있었다. '사랑'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쓴 내용들을 읽다보면 작가가 너무 다양한 각도에서 둘러보아 정작 쓰여져야 할 그리스 로마신화는 되려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거기다 등장인물들 하나하나가 누구였는지 상기시켜 주기위해 등장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가 다시 빠져나올때는 조금은 머리에 혼란이 오기도 했다.(이 부분에서 같은 내용이 많이 겹치기도 하였다) 내용이 반복되어 확실하게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좋기는 하지만 독자가 바보가 아니라는 것을 작가는 알아야한다.
누군가의 생각을 안다는 것은 굉장히 흥미로운 일이다. 거기에 이윤기라는 작가의 그리스 로마신화에 대한 정의는 전문적인 사람의 지식이라서 그런지 더더욱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즐겁기까지 하다. 혹자는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를 보면서 신화는 독자의 주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말하지만 내 생각에 그리스 로마신화라는 수많은 이야기들의 묶음은 한권의 책으로서 뭔가 단정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유형의 이야기들을 알아가면서 각자의 머리속에서 어느정도의 형태를 잡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은가. 신화는 뭔가 딱 하고 정의된 것이 아니라 사람마다 다를 수가 있다는 것이다.(왜냐! 신화이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어느정도 많은 이야기들을 접해본 사람이다면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는 상당히 흥미로울 것이다.(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행복했다. 항상 그게 그 이야기이던 신화가 이렇게도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서) 이런 이유들 때문에 그리스 로마신화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를 별로 추천하지는 못하겠다. 하지만 그리스 로마신화를 꽤 많이 읽어 어떤 책을 봐도 그게 그 이야기라 싫증이 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정말 '강력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