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시의 거짓말 - 워렌 버핏의 눈으로 한국 언론의 몰상식을 말하다
최경영 지음 / 시사IN북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예전 권력은 총구에서 나왔다. 그 권력을 무력화한 것은 시민의식과 행동에 있었다. 요즘 권력은 언론에서 나온다. 언론은 권력을 제 입맛에 맞게 요리한다. 권력과 언론은 똘똘 뭉쳐 살아간다. 점점 더 공룡화 되고 있다. 돈도 그 속에서 삼각편대를 그리고 있다.
9시 뉴스는 어떤가? 깨어 있는 집단 지성들은 KBS와 MBC가 정권의 나팔수로 변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전두환 정권 시절과 현 정권, 그리고 지난 10년의 정권을 비교하면 알 수 있지 않을까. 요즘은 정부의 뜻을 반영하는 보도가 많다. 그 전에는 대부분 반박하는 투였고. 전두환 정권 때는 어땠을까? '땡전뉴스'가 주류였지 않던가.
언론은 말 한 마디로 백성을 요리한다. 더욱이 방송 언론은 무지몽매하다는 백성을 극단적인 생각으로 치닫게 만든다. 모두가 그들이 꾸며내는 전투적인 언어나 미사여구 때문이다. 누가 뭐래도 가장 큰 것은 경제문제에 관한 것이다. 경제대통령, 서민을 위한 대통령이란 것도 그 일환이다.
그래서일까? 한국의 보수 언론사들이 '대량감원'이나 '대규모 실직'이란 말을 안 쓰는 게. 그 보다는 '구조조정'이란 말을 곧잘 쓴다. 왜 그럴까? '해고'와 '가난'이라는 가혹한 현실을 물타 보려는 이유일 것이다. 노무현 정부 때 쓰던 '세금파탄'도 이 정부 들어선 없다. 모두 언론에서 조작하고 있고, 권력에 기생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최경영의 〈9시의 거짓말〉은 워렌 버핏의 눈으로 들여다 본 한국 언론의 현 주소를 들여다 보게 한다. 주식 투자의 귀재로 알려진 버핏의 발언과 9시의 뉴스 보도가 얼마나 엇갈리고 있는지 비교 분석해 준다. 그걸 통해 알리려는 게 뭔가? 한국 언론사의 심각한 상황과 그 돌파구이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버핏은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한국 언론은 항상 미래를 알고 있는 것처럼 말한단다. 버핏은 자신이 얼마나 모르는 것을 짐작하고 있지만, 한국 언론은 자신들이 많이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다는 거다. 버핏은 이상하면 질문을 하지만, 한국 언론은 이상해도 권위를 의심하지 않는다는 거다. 버핏은 자신이 보는 재무제표도 사실이 아닐 수 있다고 말하지만, 한국 언론은 그들이 쓰는 기사는 사실만 있다고 강조한단다.
"도대체 무엇이 '국가의 이익'인가요? 대기업의 사주나 집권 여당의 이익이 항상 국가의 이익과 등치 관계인가요? 정부에 대한 시위는 항상 국익을 저해하나요? 그럼 1987년 6워 항쟁 역시 국익에 반했던 것이고 그로 인한 대통령 직접 선거 쟁취도 국익에 치명타였겠군요?"(36쪽)
어떤가? 한국의 주류 언론사들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지 않는가. 요즘도 국가의 이익과 사주의 정책에 무조건 뒤따르라고 말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 죽음뿐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이는 내 말이 아니라 이 책에서 지적하는 걸 그대로 토해 내는 것 뿐이다.
그런데 한국의 방송 언론들이 예전보다 더 앵무새 노릇하고 있지 않을까. 한국 방송 언론은 김탁구처럼 완연한 제빵사 보다는 노점상의 풀빵사 노릇에 더 제격이고, 기득권층의 애완견과 확성기로 확실하게 자리 잡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미국의 방송사들이 보여준 태도를 배워야 할 것 같다. 한때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하는 걸 두고 미국의 방송사들이 부시 행정부의 주장을 검증하려 했다고 한다. 그가 숨겨온 것들을 파헤치려는 이유였는데, 그때 부시는 그들이 무례하다며 나가버렸다고 한다. 물론 그 방송사들은 부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도했다고 한다. 얼마나 감동스런 모습이며, 또 얼마나 망신살 뻗친 노릇이라고 이야기할까?
그런데 더 놀라운 게 있다. 미국의 부자들이 한 해 기부하는 금액이 3천억 달러라고 하는데, 우리 돈으로 약 350조 원이라 한다. 미국의 주식부자들도 그들의 배당금에서 20%는 세금으로 내고 있고, 거기의 20%는 양도소득세로 낸다고 한다. 진짜로 멋진 부자들 아닌가. 우리나라의 주식부자가 과연 그런 정책의 동의할까? 그걸 두고 우리 방송사들은 또 뭐라 말할까? '부자세'라고 하며 야단법석이지 않을까.
KBS 기자 출신인 최경영은 그래서 그런 주장을 한다. 1980년대의 방송뉴스를 디지털화해서 인터넷에 공개해야 한다고. 그 때에만 일반 대중들이 한국의 방송 언론이 걸어온 길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그걸 만들려면 약 10억 정도 든단다. 그런데 그것이 있어야만 한국의 방송 언론은 권력과 분리된 바른 역사적 소임을 다할 수 있지 않을까?
아울러 그는 일반 대중들이 좀 더 똑똑해졌으면 하고 주문한다. 언론사들이 선점하는 언어도단에 대중들이 놀아나지 않았으면 하는 게 그것이다. 제 아무리 똑똑한 대통령이라도 결코 한국의 경제를 예측하거나 책임질 수 없다는 것도 그런 차원이다. 그만큼 한국의 방송 언론은 대중의 필요 사안보다 대중의 관심사에 집중하고 있으니, 일반 대중들은 그것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