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최종 배송 중인데, 벌써 알라딘에서는 발빠르게 메일이 와서 평가를 해 달란다. 유감스럽게도 아직 책이 도착하지 않았다는 항목은 없더라.

   요즘 여러 가지로 학교에서 답답한 일이 많다. 나는 근본주의자는 아니지만, 학교의 상황을 보면 학교라는 존재 자체에 근본적인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지금과 같이 학생들을 개똥보다 귀하게 여기지 않는 학교의 시스템과 교사의 마인드를 가지고 운영되는 이곳은 엉터리고 사기다. 여기서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일까? 너무 멀리 지나온 것은 아닐까?하는 두려움이 든다. 

   조심해야겠다, 앞으로 얼마나 추한 모습으로 늙을지 그 누구도 알 수 없는 곳이지 않은가! 그래도 아쉬움이 남는다, 이렇게 의심하며 한 자국씩 내딛다가 문득 옆을 보면 아무도 없는 것이. 이미 사람들은 멀리 가 버렸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빨간사과 2005-06-24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요즘 학교에서 오히려 선생님들의 지위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학생이 먼저 선생님을 무시하니 선생님깨서 우리에게 그렇게 대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요.아무리 우리가 먼저 선생님께 예의를 지키자고해도, 귀하게 자라서 그런지 자기가 다 잘랐다고 생각하는지 제 말을 무시하면서 선생님 욕을 하고 인사를 하지도 않지요.학생들을 개똥보다 귀하게 여기지않는다...학교에서 마저 아이들의 응석을 받아주면 사회에 나간 우리는 계속 사회에 응석을 부리는 응석받이가 되지 않을까요?

해콩 2005-06-24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응석이라..
제 개인적인 경험이긴 합니다만...

숫자로 이야기할 부분은 아니지만 그래도 훨씬 많은 숫자의 아이들이 어른이라는 이유만으로 먼저 교사에게 머리 숙여 인사를 하는 곳이 학교랍니다. 아이들이 뒤에서 무슨 말을 하던, 그건 교사들이 모르는 상황에 하는 말이니까, 없는 곳에서는 나랏님 욕도 한다는데.. 별로 탓할 것이 못 된다고 생각합니다.
선후의 문제로 따진다 하더라도.. 실은 교사들이 먼저 아이들을 무시하지 않나요? 어리다는 이유로, 단지 배우는 입장이라는 이유로 동등한 대화상대, 의논 상대로 잘 보아주질 않지요..
그리고 사실.. 면전에 대고 욕하는 학생은 별로 없어요. 학교에서는 늘 약자의 입장인 아이들이 욕까지 하며 대드는 경우는 그렇게 많진 않더군요. 교사 입장에서 정말 억울한 경우도 있긴 했는데.. 그 아이가 이전에 어른에게, 교사에게 받은 상처가 너무 커서 다른 어른들, 교사들에게 방어기제를 작용시킨 경우였어요. 그건 생존본능이 아닐지.. 다른 많은 경우엔 아이들은 상황이 너무너무 억울할 경우 그 '화'를 폭발시키더군요. 질풍노도기잖아요. 스스로 감정이 통제가 안되는 시기.. ^^

머리 길다고, 악세사리 한다고 그 인격에 흠집을 내는 곳,
자율권도 없는 보충수업을 마치 선택한 것인 양 쓰도록 거짓을 가르치는 곳,
개인적 정보인 성적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붙여놓고 공개적을 열등감을 심어주고 은근히 옆에 앉은 친구와의 경쟁을 조장하는 곳,
그러면서도 이런 행동들이 잘못인지조차 전혀 모르는 곳,
애석하게도 제가 보는 학교는 아직 그런 곳입니다.

'인간에 대한 예의'를 이야기하고 싶네요.
'인간이라면 기본적을 보장받아야 할 권리-인권'의 사각지대...
그러면서 공부만 잘 하면, 또는 졸업만 하면 그 모든 것들을 한 방에 보장받을 수 있다고 암암리에 쇄뇌시키는 곳.. 제가 느끼는 학교는 여전히 이런 곳입니다.

너무 시니컬하고 부정적인가요?
그래도 저는 이런 학교를 떠나지않을 겁니다.
느티나무님처럼 생각하는 교사들이 제 곁에는 많이 계시니까요.

해콩 2005-06-24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참, 응석!! 그 응석은.. 어른들이, 교사들이 아이들을 어른으로 존중하며 상대해주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부작용이 아닐런지..

2005-06-24 17: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빨간사과 2005-07-02 1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사회라는 곳에 법이 있듯이 학교라는 곳에는 규칙이라는 것이 있지요. 그 규칙을 깨고 그 틀을 벗어나려고 한다면 우리가 사는 사회의 틀 또한 부정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그 최소한의 틀에서 융화도 이해도 적응도 안된다면... 그런 작은 사회를 부정적으로 보신다면 해콩님이 보시는 우리의 사회는 도대체 무슨 색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