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무덤, 박노해
올 어린이날만은
안사람과 아들놈 손목 잡고
어린이 대공원에라도 가야겠다며
은하수를 빨며 웃던 정형의
손목이 날아갔다
작업복을 입었다고
사장님 그라나다 승용차도
공장장님 로얄살롱도
부장님 스텔라도 태워 주지 않아
한참 피를 흘린 후에
타이탄 짐칸에 앉아 병원을 갔다
기계 사이에 끼어 아직 팔딱거리는 손을
기름먹은 장갑 속에서 꺼내어
36년 한많은 노동자의 손을 보며 말을 잊는다
비닐봉지에 싼 손을 품에 넣고
봉천동 산동네 정형 집을 찾아
서글한 눈매의 그의 아내와 초롱한 아들놈을 보며
차마 손만은 꺼내 주질 못하여싸
훤한 대낮에 산동네 구멍가게 주저않아 쇠주병을 비우고
정형이 부탁한 산재관계 책을 찾아
종로의 크다는 책방을 둘러봐도
엠병할, 산데미 같은 책들 중에
노동자가 읽을 책은 두 눈 까뒤집어도 없고
화창한 봄날 오후의 종로거리엔
세련된 남녀들이 화사한 봄빛으로 흘러가고
영화에서 본 미국상가처럼
외국상표 찍힌 왼갖 좋은 것들이 휘황하여
작업화를 신은 내가
마치 탈출한 죄수처럼 쫄드만
고층 사우나빌딩 앞엔 자가용이 즐비하고
고급 요정 살롱 앞에도 승용차가 가득하고
거대한 백화점이 넘쳐흐르고
프로야구장엔 함성이 일고
노동자들이 칼처럼 곤두세워 좆빠져라 일한 시간에
느긋하게 즐기는 년놈들이 왜이리 많은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고
바라는 것은 무엇이든 이룰 수 있어---
선진조국의 종로거리를
나는 ET가 되어
얼나간 미친 놈처럼 헤애이다
일당 4,800원짜리 노동자로 돌아와
연장노동 도장을 찍는다
내 품속의 정형 손은
싸늘히 식어 푸르뎅뎅하고
우리는 손을 소주에 씻어 들고
양지바른 공장 담벼락 밑에 묻는다
노동자의 피땀 위에서
번영의 조국을 향락하는 누런 착취의 손들을
일 한하고 놀고먹는 하얀 손들을
묻는다
프레스로 싹둑싹둑 짓짤라
원한의 눈물로 묻는다
일하는 손들이
기쁨의 손짓으로 살아날 때까지
묻고 또 묻는다
5월 1일 노동절, 사실 며칠 전만 해도 노동절엔 무엇이라도 해봐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정작 오늘은 잊어버리고 있었다. 나에게 올 우편물이 우체국 노동자들의 휴식으로 배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야 오늘이 노동절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무신경이라니!
작년까지만 해도 아이들에게 오늘은 노동절이라고 어설프게 이 시를 읽어 주었던 기억이 난다. 매년 그랬다. 여기 이 학교의 아이들은 이 시 속의 이야기가 달나라 속 이야기보다도 더 비현실적으로 들렸는지라 별다른 감흥 없이 지나가버렸지만, 전에 있었던 공고(工高)에서는 달랐다.
뭔가 공포감 같은 것이기도 하고, 아릿한 슬픔이기도 한, 어쩌면 패배감 같은 것이었을 지도 모를 숙연한 분위기가 평소엔 한정 없이 낄낄대는 녀석들에게도 느껴졌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숙연한 분위기의 농도는 더욱 짙었다. 대한민국에서 '2등 국민' 취급을 받던 그 아이들도 앞학교 밖 세상이 만만치 않다는 것을 가슴으로 체득한 것일까? 그 아이들의 숙연함 앞에 아무 것도 해 주지 못하는 내가 부끄러웠다.
이것은 분명히 의식의 퇴보다. 이런 시 한 편을 교실에서 읽으면 불온(不溫)한 교사라고 생각하시는가? 이 시가 너무 과격하다는 느낌을 먼저 받으시는가? 그런 질문을 하기에 앞서 '이 시가 현실을, 삶의 진실을 왜곡하고 있는가'를 물어야 하지 않을까?
아이들에게 이런 시 한 편 읽어줄 여유를 잃어버리고 서 있는 교단, 나는 무엇을 위해, 어디에 서 있는가? 이 부끄러운 자문(自問)에, 늦었지만 다시 박노해의 '손무덤'을 읽는다. 내가 아는 한 이 시는 아직도 현실이다. 이 현실의 근처에도 안 가 본 사람은 잘 모르겠지만... (그런 사람일수록 세상은 변했다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