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멩이 하나
하늘과 땅 사이에
바람 한점 없고 답답하여라
숨이 막히고 가슴이 미어지던 날
친구와 나 제방을 걸으며
돌멩이 하나 되자고 했다
강물 위에 파문 하나 자그많게 내고
이내 가라앉고 말
그런 돌멩이 하나
날 저물어 캄캄한 밤
친구와 나 밤길을 걸으며
불씨 하나 되자고 했다
풀밭에서 개똥벌레즘으로나 깜박이다가
새날이 오면 금세 사라지고 말
그런 불씨 하나
그때 나 묻지 않았다 친구에게
돌에 실릴 역사의 무게 그 얼마일 거냐고
그대 나 묻지 않았다 친구에게
불이 밀어낼 어둠의 영역 그 얼마일 거냐고
죽음 하나 같이할 벗 하나 있음에
나 그것으로 자랑스러웠다 (김남주)
1994년 2월 13일, 시인 김남주가 죽은 날이다. 지금에야 고백하지만 그 때는 시인이자 전사인 김남주를 잘 몰랐다고 해야할 것 같다. 대학 동기가 생일 선물로 준 '솔직히 말하자'를 읽었지만, 내게는 그 당시 흔하디 흔한 전투적인 시인중의 한 명일 뿐이었다. 아마 1994년 오늘도 남다른 허전함을 느끼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다가 부대에서 휴가 나왔다가 들어가는 길에 서점에서 우연히 눈길이 닿았던 시집이 시인의 유고집인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이었다. 소심했던 나는 김남주라는 이름이 박힌 이 시집을 가방에 넣고 복귀하면서 약간의 마음졸임을 겪었는지도 모르겠다. 부대에서 마음이 답답한 틈틈이 그 시집을 읽었다. 다시 휴가 나와서 사들고 들어간 시집이 '조국은 하나다'인 걸로 기억한다. 내 책장 한 쪽 귀퉁이,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 시집 속표지에는 아직도 '검열필'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
그랬다. 나는 김남주의 시를 너무 늦게 알게 되었다. 아니, 아직도 잘 모른다는 게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하지만 가끔씩 시인의 서늘하게 가슴을 찍어누르는 말의 화살은 가슴에 콱 박혀서 제대로 살고 있지 못하는 내 자신을 뜨끔하게 만든다.
안치환의 '돌멩이 하나'는 시인 김남주를 위한 안치환의 헌정 앨범인 6.5집에서 자주 들었다. 앨범의 모든 곡이 김남주 시인의 시에다 곡을 붙인 노래들이다. 이 노래와 앨범은 참 자주 들었었다. 학교에서도, 다른 선생님들께도, 아이들에게도... 우리 동기들은 드라이브를 다녀오면서도 차안에 안치환 6.5집을 틀어놓고 다녀서 우리끼리 좋아서 하는 말로 '뭐, 이래 칙칙하노?''우린 역시 안 돼, 놀러가면서도 이런 노래를 듣다니!' 는 투정아닌 투정을 하곤 했다.
앨범에 수록된 노래는 모두 좋아하는 노래이긴 하지만, 그 중에서도 '돌멩이 하나'라는 노래가 참 마음에 든다. 전에 학교에서 마음이 심란한 날은 이 노래를 들으면서 마음을 다스리고는 했다. 그러면서 내 삶도 돌멩이 하나에 불과하지만, 돌멩이도 존재의 이유는 있을 터! 열심히,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고 애써야겠다고 스스로를 다독였던 기억이 새롭다.
그렇지 않아도, 이 시와 노래를 올릴까 말까 했는데, nrim님의 글을 보고 나도 기억해 두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끄적거려 본다.
시인이 죽은 지 10년이 지난, 2004년 2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