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빠요 바빠 - 가을 도토리 계절 그림책
윤구병 글, 이태수 그림 / 보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접한 것은 10년 쯤 전이다. 기혼인 직장 동료가 아이에게 줄려고 사 온 것을 보았던 기억이 난다.
'도토리 계절 그림책'이란 이름을 달고 사계절의 농촌의 모습을 네권의 그림책에 담아내고 있는데, 이 책은 가을에 해당하는 책이다.
이 책들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특히 우리가 매일 매일 먹고 있는 '먹을 거리'가 어떻게 생산되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농촌에서 사는 아이들이 아닌 아이들의 경우 대부분은 생산과정은 생략되어진 채 마트에만 가면 살 수 있는 공산품과 하등 다를것이 없어 보이는 게 농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구구절절하게 말로 설명하거나 하진 않는다. 그냥 책장을 넘기면서 그림을 따라 가면 된다. 이 점이 이 그림책의 가장 큰 미덕이다.

표지를 보면 농가의 처마에 감과 옥수수가 가득 매달려 있다. 아마 말리고 있는 것이리라. 한 해 농사의 결실인 걷어들인
곡식들이 담겨 있을 것만 같은 자루들도 눈에 띈다. 이 집에서 마루가 가족들과 살고 있다. 이곳은 산골이다.  가을이 오면 모두 바쁘다.


  

 

 


붉게 익은 고추를 따서 햇볕에 말려야 하고, 옥수수도 말려야 한다.  참깨도 털어야 되고, 참새들이 낟알을 쪼아 먹지 않게 쫓아야 한다.  

 

  

알밤도 주어야 하고, 콩도 털어야 한다. 벼베기에 곶감 만들기, 겨울 김장 등 가을 걷이에 온 가족이 동원된다. 

 

 

 



페이지마다 사람말고도 제비, 닭, 참새, 청설모, 생쥐, 까치, 들쥐, 기러기 등 가을을 맞는 동물들의 여러 모습들이 눈에 띈다.
사람은 다른 여러 동물들과 이렇게 어울려 살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움직이는 다양함 때문인지 책이 활기가 있다. 

 



책이 출판된지도 10년이 넘어서 지금의 농촌보다 더 옛스러운 모습으로 다가올수도 있겠지만, 책을 읽어주는 어른들은 정겨운 모습으로 아이들에게 읽어주며 설명해 줄 것 같다. 그림의 배경이 마치 고향 같은 포근함이 전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는 1등만 했대요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16
노경실 지음, 김진화 그림 / 시공주니어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식이 무엇이든지 잘 하기를 바라는 것은 모든 부모의 공통된 희망사항일 것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 부모가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며, 자식에게 실질적으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는가라는 방법론에 들어가게 되면 부모에 따라서 극과 극에 이르는 차이를 보여주게 된다.

이 책에서는 아빠는 뭐든지 잘했고 일등만 했다면서 자식도 그래야 된다고 불도저식으로 밀어 붙이는 입장과 그래서는 오히려 자식의 기만 죽는다는 온건론적 입장이 살짝 내비춰지고 있다. 자식들은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본능적으로 부모와 어른들을 따라한다. 이것은 자식을 길러 보거나 어린 조카들을 아주 갓난 아이때 부터 옆에서 지켜본 사람들이라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본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아이들이 그때 그때 따라할 수 있을 정도로 단계적으로 아이들 눈높이와 키높이에 맞춰주어야 한다. 부모가 어린 시절에 학업이나 다른 방면에서의 성취에 있어서 성공적이었던 사람들은 오히려 자식에게 여유로울 수 있고 조급해 하지 않으나, 부모 스스로 그런 성취와 성공의 경험이 없었던 사람들이 욕심만 앞세워서 자식들을 불도저식으로 내몰곤 한다.

이 책은 이런 불도저식이면서 위선적인 부모들의 억지와 욕심을 재미있게 꼬집고 있다. 비단 아이들 교육뿐만 아니라 무슨 일에서든지 불도저, 진짜 짜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원 그림책은 내 친구 1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장미란 옮김 / 논장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약간 괴기스럽고 음침한 그림책이다. 어른들이 읽으면 나름 재미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어린이용으로는 별로라고 생각된다.
그림책의 이야기 내용은 그저 그런 답답한 한 가족의 동물원 나들이를 묘사하고 있다. 주위 사람들에게 둔감하고 뻔뻔스럽고, 일방적인 아버지와 휴일 나들이 이후에 또 다시 저녁 준비와 설겆이가 기다리고 있는 어머니, 그리고 그 사이에서 먹을 일만 머리 속에 담겨져 있는 나와 동생. 씁쓸한 현시대의 겉도는 한 가족의 이야기이며, 사실 우리 주위의 거의 모든 가정들이 이런 식으로 삭막하게 살아가고 있다.

그림책의 그림은 여러가지 재미있는 숨은 그림들을 갖고 있다. 사람들의 모습을 동물의 형상으로 집어 넣기도 하고, 아버지를 화면 가득히 묘사한 것에는 흰 구름이 뿔로 나타나고, 심지어 웃도리 가운데 위로 보이는 가슴의 털은 여성의 치모로까지 묘사해 놓았다. 어른인 나는 이런 그림들을 보면서 낄낄거리고 웃고 말지만, 아이들에게 이런 그림이 과연 얼마만한 재미와 의미를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나라면 이렇게 오랜만에 나들이 나가서 아빠하고 엄마하고 툴툴거리고 자기들 멋대로 다 하면서 그럴거라면 차라리 안나가고 집에서 혼자 노는게 더 좋을 것 같다. 그렇지만 내가 어렸을 때 우리 부모님은 이 정도는 아니었다. 나도 우리 아이에게 자상하고 싹싹한 부모가 되서 아이가 언제나 즐겁고 명랑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토마토 절대 안 먹어 (팝업북) 찰리와 롤라 13
로렌 차일드 글 그림, 조은수 옮김 / 국민서관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은 자라면서 자아 발달 과정에서 무조건 부정을 하고 거부 의사를 나타내는 시기가 있다고 한다. 
20개월된 우리 아이도 무슨 말을 하면 먼저 머리부터 흔들며, 아직 제대로 된 말을 못하지만 "안~으" 란 소리를 낸다.
"무조건 싫어", "아냐", "안 할래", "안 먹어" 소리부터 먼저 한다는 것이다. 이럴 때 아이들을 달래서 음식을 골고루 먹게 하는 것은 꽤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바로 이런 장면을 포착해서 그림책으로 만든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어린 동생에게 그럴 듯하게 꾸며서 여러가지 음식을 골고루 맛있게 먹게 한 그림책의 내용은 재미와 미소를 함께 주고 있지만, 이 책을 보면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선의의 거짓말에 대한 허용여부와 유용성에 대한 문제이다. 만약 이 부분이 꼼꼼히 생각되지 못한 상태에서 이 책을 아이들에게 읽어 준다면, 아이들은 ’결과만 좋다면 적당히 거짓말을 하고 넘어가도 괜찮은 것이구나’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동생에게 거짓말을 하는 오빠의 모습에 대한 평가나 토론이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을 보면서 반찬투정하는 아이를 둔 부모들은 나름대로 어떤 해결책을 얻을 수도 있을 지 모르겠다. 단조롭고 상투적인 식단을 식재료나 조리 방법, 음식의 구성 등을 바꿔봄으로써 아이들의 입맛을 유혹해 볼 수 있지 않을까도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읽는 나무 국민서관 그림동화 67
디디에 레비 지음, 최윤정 옮김, 티지아나 로마냉 그림 / 국민서관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책 읽는 나무>를 읽으면서 어른인 나도 책이 나무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읽는 도중에 문득 책이 더 많이 생산될 수록 그만큼 나무가 많이 훼손되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두가지 생각이 드는데, 우선 첫째로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한정된 수명이 있지만, 그 수명이 다 된 이후에도 새로운 형태로 바뀌어 우리 곁에 또는 세상에 계속 존재해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단절되고 파편화 된 것들이 아니라 시간적으로 과거가 현재와 이어지고, 또 현재도 미래로 이어져 나갈 것이라는 것을 알게 모르게 이 책을 통해서 은유적으로 아이들에게 가르쳐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이 책은 좋은 책이라고 생각이 된다.

그러나 또 다른 면이 생각되어 지는데, 그것은 그러한 변화와 영속의 과정이 너무 사람 멋대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번개에 탄 나무를 종이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그 나무 자체의 의사나 의지는 전혀 보여지고 있지 않다. 물로 그 나무가 평소 책을 좋아했다고는 하지만, 그 나무를 책으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은 사람들의 일방적인 개발이요, 이용일 뿐이다. 이런 측면에서 어쩌면 자연은 사람 뜻대로 아무렇게나 다루어도 괜찮다는, 더 나아가서는 그렇게 개발되고 이용되는 자연도 그렇게 되서 좋아할 것이라는 그릇된 관념을 알게 모르게 아이들에게 심어주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