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5일은 친구 생일날이었다. 며칠 전에 사고를 당해 이런 저런 일들 수습하느라 그 날은 생일 축하 메시지만 보내고 토요일 저녁에 만나 밥을 먹었다. 그리고 외국 갔다 올 때 사왔던 립스틱 케이스를 포장해서 생일축하 편지와 함께 건네 주었다. 늘 하던대로 의례적인 축하였다. 그런데 저녁을 먹고 돌아와 잠자리 누워 읽은 짧은 글 한 편이 ‘선물’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신세대 철학교수로 불리는 이주향씨가 쓴 글이었다. 두고두고 읽어도 좋을 만한 글이어서 전문을 그대로 싣는다


  선물은 관계의 척도이면서 선물하는 사람의 성향이나 성격을 그대로 드러낸다. 꽃을 주는 남자가 있는가 하면 소고기를 선물하느 남자도 있고, 선물이 거추장스럽다고 아무 것도 선물하지 않지만 관계 자체가 선물이 되는 아름다운 인연도 있다. 재 자체가 선물일수록 굳이 선물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선물로서 그 사람의 향기가 퍼질 때 ‘이게 사는 거지’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내 동생과 결혼한 지 8년된 올케를 볼 때면 그런 생각이 더 자주 든다.

  “옛날에는 선물을 줄 때 뭔가 남길 수 있는 것, 받는 사람이 오래 간직할 수 있는 걸 찾았어요. 이제는 한 끼의 식사, 따뜻한 눈길이 있는 차 한잔의 정담처럼, 그렇게 흘러가는 게 좋아요.”

  올케는 토요일 저녁 국수나 삶아 먹자며 식구들을 초대했다. 메뉴는 잔치 국수였다. 멸치. 다시마와 간장으로 시원하고 구수하게 우려낸 국물 위에 송송 썬 묵은 김치와 김가루를 얹은 잔치국수는 따뜻하고도 소중했다. 모처럼 모인 가족들은 넉넉한 잔치국수만큼이나 기분 좋은 인심에 기분 좋게 풀어져 달큰하면서도 흐뭇한 시간을 보냈다.

  어린 조카들은 어린 조카들대로 놀고, 어른들은 어른들끼리 이 얘기, 저 얘기를 하면서 훈훈했다. 식사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가족들에게 올케는 하나씩 가져가라며 뭔가를 건네주었다. 그것은 오늘 먹은 국수였다.

  “이 소면이 너무 맛있어서 많이 샀어요. 가끔씩 끓여 드세요.”

  초대를 받을 때만 해도 몰랐는데 알고 보니 그 잔치국수는 올케의 생일 국수였다.

  “생일날 많은 사람과 국수를 나누어 먹으면 장수한다고 하잖아요. 그러니까 그냥 맛있게 드셔 주면 돼요.”

  이렇게 되면 우리는 또 얼마나 미안한가. 그렇지만 우리를 미안하게 한 올케가 얄밉다든가 한 것은 절대 아니었다. 올케는 편안해보였다. 믿음직스럽기까지 했다. 존재 자체가 선물인데 뭐!


  존재 자체가 선물인 인연, 이 얼마나 멋진 관계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