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 아침부터 워드 칠 것을 잔뜩 쌓아놓고 자료를 정리하고 있는 데 어머니께서 마트에 물건 사러 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가까운 황령산에 올랐다가 오는 길에 마트에 들러기로 했다.

  가는 길에 부산 시장 관사에 들러 둘러보고 황령산으로 올라갔다.  올라가는 길에 보니 차를 입구에 세워놓고 등산복 차림  걸어 올라가는 사람들이 많다.  가족들과 몇 번 와 본 적은 있지만 주로 중간 쯤 올라와 야경을 구경하며 차를 마시다 내려가는 정도여서 황령산을 낮에 본 기억이 거의 없다. 그래서 속으로 '이 산이  등산복까지지 입고 오를 만큼 높은 산인가' 이러면서 길을 따라 올라갔다. 그런데 황령산 봉수대 밑까지 가는데도 한참을 올라갔다. 어디로 이어지는지 알 수 없지만 앞으로 길이 계속 닦여져 있었다.

  봉수대 밑에 차를 세워두고 방송국 송전탑 뒤를 지나 봉수대를 올랐다.

    "와! 가까운 곳에 이런 곳이 있었네'

    봉수대에 올라보니 광안리 바다가 한 눈에 보인다. 사방을 빙 둘러 보니 영도도 보이고 ,초읍 어린이 대공원도 보이고  저멀리 회동 수원지까지 보인다.부산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인다.앙코르 유적지 프토바켕의 야트마한 야산이 생각이 난다. 헐떡거리며 올라간 언덕 위에서 사방을 둘러보니 끝없이 이어지던 밀림 사이로 저 멀리 복산이 보이던. 캄보디아에서 처음 산을 보고 얼마나 신기해 했던지. 그런데 부산은 산과 산 사이 사이에 집들이, 건물들이 또아리를 틀고 앉았다. 그래서 툭 튄 동쪽 빼고는 온통 산이다.  참 다른 풍경이다.프놈바켕은 프놈바켕대로 황령산은 황령산 대로 매력적이다. 

  황령산 봉수대는 고려시대부터 사용했던 통신시설로 갑오경장 이후 봉수대가 기능을 상실하기 전까지 부산포를 지키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한다.  평상시에는 한 번, 적이 나타나면 2번, 근접하면 3번, 범경하면 4번, 접전하면 5번의 봉화를 순차적으로 올렸단다. 그런데 지금은 아이들은 놀이터로 등산 오신 분들은 다리 걸치고 다리 운동하는 곳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휴일이라 많은 사람들이 황령산으로 등산을 왔다. 사방을 둘러보니 길이 여러 갈래겠다. 진구에서 오르는 길, 남구에서 오르는 길, 수영구에서 오르는 길. 황령산은 거친고개라는 뜻이라는 데 온 김에 이 거친 고개 너머 동네로 나들이를 가려다가 봄에 한 번 더 오기로 하고 내려 왔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걸어서 산을 올라오고 있다. 그러고 보니 남구 지역 사람들의 가벼운 등산지로 이 만한 산은 없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