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해사를 나와 선본사를 가려던 계획을 바꿔 원효암만 가기로 했다. 선본사 뒷산 중턱에 있다는 탑과 정상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을 보려면 불굴사랑 환성사는 아무래도 가기 힘들 것 같다.그래서 선본사 가는 길을 따라가다 원효암 진입로를 알리는 표지판을 보고 방향을 틀었다.가파른 산길을 제법 올라가니 평지에 다소곳이 앉은 원효암이 나왔다

 원효암은 문무왕 8년에 창건한 유서 깊은 사찰이지만 조선시대 중창한 건물과 80년대 새로 지은 건물 등은 86년에 난 산불로 모두 타고 지금 있는 극락전,산령각 같은 건물들은 90년대 지었단다.사자루를 지나 경내로 들어가니 조용하다.



(원효암 사자루)



(원효암 극락전 뒤에서 본 풍경)

 극락전 앞 마당이 아닌 화단에는 통일신라 탑으로 추정된다는 자그마한 3층석탑이 화단에 심어논 나무같이 서 있다.



(원효암 3층 석탑)

 옥개석 모서리는 떨어져나갔고 이끼가 잔뜩 끼어있다. 다른 탑들은 사찰 마당 한 자리를 당당하게 차지하고 섰는데 .... 스님이 기거 하시는 요사채 뒷편 마당에는 꽃이 만발한 밤나무 한 그루가 있다.밤나무가 절 마당에 서 있는 까닭은 원효대사 관련 설화와 관련이 있다.


  극락전 뒤편으로 올라가니 통일신라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알려진 마애좌불상이 계셨다.



감실을 얕게 파고 양각으로 새겼는데 얼굴부분은 마모가 심해 표정을 알아 볼 수가 없다. 광배 부분에 무늬가 없어 밋밋하고 연화좌대 무늬도 멋이 없다. 그런데  연화좌대 가운데 줄기인듯한 조각이 새겨져 있다. 그래서 부처님이 연꽃 줄기 끝에 앉아 계신 것처럼 보인다. 

 마애좌불상을 보고 내려 와 공양주 할머니께 커피를 얻어 마시고 불굴사에 갔다. 가는 길에 보니 절 오른쪽에 있는 바위들이 예사롭지 않다



.나중에 보니 그 바위 뿐만 아니라 원효굴 가는 길도 온통 바위 절벽이다. 원효대사와 김유신 장군이 저 굴에서 기도를 하고 원을 이루었다는데.

 

  불굴사 들어서니 인부들이 건물 보수 작업을 하고 있는 약사전이 보인다. 안에 들어가니  약사여래입상이 바닥 바위 위에 서 계신다. 바위에 세워 놓은 약사여래입상을 보호 하기 위해 후대에 약사전을 지은 모양이다. 적멸보궁 아래 마당에는 삼층석탑이 있다.



(약사전 앞에 있는 석등 한 기)


(불굴사 삼층석탑과 주변에 놓인 부재들)

이 탑은 통일신라 시대 탑이란다. 2층과 3층 옥개석 모서리가 떨어져 나간 곳도 있고 1층 기단 모서리부분이 훼손되었지만 단정하고 균형잡힌 탑이다. 탑 옆에는 제 자리를 잃은 부재 몇 개가 놓여있다.  규모가 컸던 사찰이었던 모양이다. 자료를 찾아보니 조선중기까지만 해도 건물이 500동에 이를 만큼 규모가 큰 사찰이었단다. 그런데 유생들의 횡포를 막으려 행한 일로 인해 산사태로 절 건물을 다 잃고 건물 몇 째만 복원, 오늘에 이르렀단다. 

 절 오른쪽에는 원효굴 가는 길이 있다. 절벽 바위 안에 원효대사가 수도하던 곳이자 김유신이 삼국통일을 염원하는 기도를 올렸던 굴이 있다.



지그재그로 놓인 가파른 철제 계단과 난간을 잡고 올라가니 굴 속 바위 가운데 부처님이 앉아계시고 좌우로 금강역사상과 인왕역사상이 계신다. 조성시기는 그리 오래돼 보이지는 않는다.부처님께 인사를 드리고 굴 안에 있는 약숫물을 마셨다. 맛있다. 높은 곳에 위치한 바위 돌틈 사이에 약수가 흘러나오는 것도 신기하다.. 철제 계단을 타고 바위 사이를 헤집고 올라가니 500나한 중 신통력이 가장 뛰어나다는 나반존자를 모신 독성각이 나온다.



(원효굴 위 독서전)

이 곳에서 기도를 하면 한 가지 소원은 꼭 들어주신단다. 

  불굴사를 내려와 환성사엘 갔다. 이곳은 경산에 사는 일행 한 명이 적극 추천해서 가게된 절집이다. 산모롱이 몇 개를 돌아 제법 산 속으로 들어온 듯한 느낌이 들었을 때 환성사 주차장이 보였다. 추천해 준 일행이 환성사라고 했을 땐 생각나는게 없더니만 일주문을 보니 알겠다. 누군가가 ‘복원을 우째 그리 해 놨는지?’ 라고 했던 그 문.


(환성사 일주문,2005년가지 네걔의 돌기둥만 서 있던 것은 이후 복원했다)

일주문에서 수월관까지 오르는 길이 참 좋다.



(환성사 수월관)

  수월관(水月觀)은 쌍계사 팔영루 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은데 도교적인 느낌을 주는 이름 때문인지 정자 같다.


(일주문에서 수월관으로 올라가는 길, 오른쪽에는 이 사찰이 지금처럼 작아지게 된 원인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 오는 연못이 있다)

수월관 밑을 지나 계단을 오르니 대웅전 앞에 독특한 탑 한기와 등잔을 피우던 두 돌기둥이 보인다. 먼저 대웅전에 들어가 삼배를 올리고 절 내부를 돌아봤다.


(환성사 대웅전)

그런데 수미단이 눈길을 끈다. 다양한 조각 작품들을 하나하나 액자에 넣어 전시하듯 둘러놓았다. 그 중에 네모난 판을 들고 약간 쭈그린 상태로 울상을 짓고 있는 사람 모습이 익살스럽다.    

  대웅전을 나와 탑을 살펴보기 전에 안내판을 찾았다.탑에 대한 설명이 없다. 이 탑을 몇 층 석탑이라고 해야 하나?



1층 기단과 2층 기단은 흔히 볼 수 있는 탑 모습을 하고 있는데 탑신부분은 파격적이다. 그런데도 절집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어우러진다.수월관에 앉아 조용한 절 마당을 둘러보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내려왔다. 오는 길에 오른쪽에 있는 부도밭에 들렀다.



약사여래불 옆에 기단부 복련 조각이 이색적인 부도 한 기가 눈에 뛴다. 연꽃잎 조각을 보니 정성들여 멋을 부렸다.


  환성사를 나오니 햇볕이 기운을 잃고 있다.

 * 좋은 사람들과 느긋하게 팔공산 답사를 한 후 경산서 저녁을 먹고 그래도 에너지가 남아서  내려 오는 길에 첨성대랑 안압지 야밤답까지 하고 내려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