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음..다시 하루키입니다.
해변의 카프카는 전작의 소설들과 같은 듯 다릅니다. 주인공은 하루키자신의 모습이지만, 현재의 모습이 아니라 15세의 모습을 한 생령입니다. 전작에서의 주인공들은 하루키 자신이었습니다.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에서의 20살 모습에서, 상실의 시대를 거쳐, 세계의 끝,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와 태엽감는새로..주인공은 작가와 함께 나이를 먹으며, 그만큼의 성장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 작가는 다시 15세 소년으로 돌아갑니다. 결국 자신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완전한 자신의 모습은 아니지요.1인칭 시점으로 줄곧 소설을 써오던 작가이기에 이런 장치는 자칫 작가의 전지전능한 힘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장점이 되기도 단점이 되기도 하겠습니다만, 제경우엔 조금 생소합니다. 하루키 특유의 사적인 느낌이 사라지고 너무 서사적인 느낌이 든다고 할까?
물론, 이번 소설은 그간의 어느 작품보다 밀도있고, 치밀하며 재미있습니다.(실제로 지하철에서 읽다가 내리고 나서도 책덮기가 싫어 걸으면서도 읽었을 정도입니다) 서로다른 두 주인공인 소년 다무라와 노인 나카타의 이야기가 전혀 다른 경로를 거쳐 하나의 지점으로 수렴하는 과정도 재밌고, 호시노상같은 공들인 캐릭터들도 맘에 들고, 키드 A나 대공트리오같은 음악선곡도 여전히 세련되었습니다.(만약 하루키의 주인공이 훌리오이글레시아스나 셀린 디옹을 좋아한다면..정말 참아내지 못할 겁니다.) 이런저런 소설적 재미는 충분합니다..상권을 읽고는 주변사람에게 지금까지 하루키소설중 최고라고 침을 튀겼을 정도니까요. 하지만 마지막장을 넘긴 지금은..
하루키만의 정서..그러니깐 하루키소설로서의 그 무엇이 '훼손'된 느낌입니다. 늘 부재하던 부모의 존재가 갑자기 커진 것도 그렇고(성장소설이라 그렇겠지만), '거리두기'의 미학은 어디로 가고 타인에게 행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간섭인 '살인'을 하고, 심지어는 오디프스 콤플렉스 공식에 맞추어, 근친상간을 하기도 합니다. 모럴을 따지자는게 아니라 어쩐지 하루키답지않다는 생각이 드는겁니다. 아버지를 죽여야만 비로소 자신을 찾을 수 있어서라면, 그간 짐짓 '쿨'하게 부모의 존재, 가족의 존재 자체를 무시하던 태도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 '쿨'함때문에 하루키의 오늘이 있는건데요.
그리스신화나 겐지모노카타리의 메타포에 너무 충실한 것도, 오시마상의 잔소리에 가까운 설명도, 미궁속의 실타래를 따라 출구를 따라가던 결말부분에서 갑자기 템포가 빨라지고, 부랴부랴 마무리를 한 흔적도 맘에 걸립니다.
어쩌면 이런 불평들을 늘어놓는 것도 하루키이기때문에 가능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하루키니깐.. 하긴, 하루키도 50이 넘었군요. 그에게 계속 성장을 멈추고 사춘기적 감수성을 가지고 버티라고 요구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긴 합니다. 그치만 이 지구상에 한명쯤은 그런 일을 성실히 수행해주어도 좋을텐데요..초인적 힘을 다해 '입구의 돌'을 뒤집어줄 사람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