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 신화
하워드 슐츠 외 지음, 홍순명 옮김 / 김영사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부터 하나둘 문을 열기 시작한 스타벅스를 보면서 첨 생각한 것은 이거였습니다 “도대체 누가 5천원을 내고 종이컵에 담긴 커피를 사먹는단 말야?” 하지만 스카벅스 스토어의 개수는 점점 늘어났고, 내 예상은 보기좋게 빗나갔습니다. (물론 나자신도 그 5천원씩이나 하는 커피를 좋아하게 되었구요) 골목어귀마다 들어서있던 커피전문점과, 카페가 그리 즐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가 한국에서 성공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그 해답의 열쇠는 이 초록색 책한권에 들어있습니다. 스타벅스는 커피를 파는 것이 아니라 커피를 매개로 한 컬쳐상품을 팔고있었던 것입니다. 가지런히 진열된 커피원두와, 알수없는 이태리식 이름을 가진 카푸치노들, 전문가적으로 보이는 에스프레소 기계들, 정성스럽게 거품을 담아주는 점원들의 모습, 그리고 실내에 흐르는 잔잔한 재즈음악은, 커피한잔을 사먹는일로 마치 고급문화의 일부로 편입된 듯한 착각을 고객으로 하여금 불러일으켜 커피매니아뿐 아니라 많은 젋은이들을 끌어들였습니다.

장담하건대, 스타벅스 커피의 깊은 맛에 매료되어 스타벅스를 찾는 이가 몇이나 될까요? 스타벅스란 이름자체가 고급스런 커피를 즐기는 신세대의 코드가 되었고, 사람들은 이런 코드를 공유하고 싶어한 것입니다. 이런 브랜드 이미지는 초창기부터 철저하게 의도하여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불과 십몇년 만에 세계적인 커피왕국을 이룬 것은 결코 행운이 아니라, 비전을 볼줄아는 혜안과, 그비전을 실행하게 만든 뜨거운 열정, 그리고 그 열정을 공유한 파트너들이 만든 필연적인 결과였던겁니다.

'불행은 누구에게나 갑자기 찾아올수 있지만, 행운은 준비한 사람에게만 찾아온다' 책상머리에라도 써놓을까 합니다. 물론 끊임없이 이어지는 자화자찬식 성공담이 아니꼬울수도, 기업에 대한 외부 비난을 피해가려는 변명이 거슬릴 수도 있긴 하지만, 부자의 성공담을 이런 고충도 없이 날로 들을순 없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