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중독 - 나는 왜 아무리 먹어도 배고픈가
케이 쉐퍼드 지음, 김지선 옮김 / 사이몬북스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인간에게 나타나기 쉬운 강력한 3대 중독은 설탕중독, 알콜중독, 감정중독이다. 중독 현상은 반응 동작을 멈추기 힘든 상태를 말한다. 뇌 작용이 반복되는 폐회로를 맴도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특히 감정중독 현상은 점차로 커지는 나선형 소용돌이와 같다. 누군가와 사랑에 빠질 때가 그렇다. 가끔 길거리에 서로 꼭 겨안고 서 있는 모습이 귀엽다. 봄나들이가 시작되었다.


 즐겁게 먹는다는 것 자체가 행복이다. 휴일이면 외식이 잦다. 집밖에는 브랜드화된 음식들이 많다. 이런 공장음식은 (밀)가루와 설탕과 나트륨으로 범벅이 되어 있다. 빵과 과자가 그렇고 피자며 콜라 등, 피해갈 수가 없다. 밀가루와 설탕은 혈당치를 빠르게 상승시켜 당뇨와 고혈압을 일으키며 비만에 이른다. 


 음식과 기분의 상관관계에서, 혈당이 떨어지면 짜증과 신경질과 우울증이 찾아오는데, 이는 사람을 난폭하게 만든다. 음식중독자들이 정제 탄수화물을 비롯해 모든 기분전환용 화학물질들을 끊는 것이 회복의 첫걸음이다. 저자는 비만이란 중독의 증상, 즉 과식이 외부로 표현되는 증상일 뿐이라 지적한다. 저자의 목표는 평생 중독성 있는 음식을 멀리하는 식단을 확립하는 것이다. 국내 TV방송국의 '나는 자연인이다'의 출연자들의 공통점은 '식단'이 바꿔었다는 점이다.


 음식에 집착하는 사람들은 음식을 사고, 요리하고 먹는 것을 끊임없이 생각한다. 끝내 과식한다. 음식중독의 역설은 자기의 기분을 좋게 하려고 먹는데, 자기의 몸을 나쁘게 하는 음식을 먹는다. 니코틴 중독과 마찬가지로, 음식중독 또한 금단증상 때문에 그것을 달래주는 중독적인 음식들로 돌아가는 유혹에 노출된다. 


  음식중독은 유아기에 시작된다. 정제 탄수화물은 다른 중독 물질에 비해 무척 이른 유아기부터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중독은 그 어떤 다른 중독증보다 더 이른 시기에 시작한다. 중독 초기에, 음식은 좋은 기분과 마음을 가져다준다. 프랑스 아이들은 어릴적부터 물마시기를 배운다는 말이 있다(프랑스 여자는 살찌지 않는다, 미레유 갈리아느 저). 


 모든 중독적인 물질은 정제과정을 거친 물질이다. 양귀비에 즙을 내어 그 즙을 정제해 '아편'을 만들고, 그것을 다시 정제해 '모르핀'을 만들고, 마지막이 '헤로인'이다. 설탕 또한 그렇다. 사탕수수 사탕무우로 낸 즙을 정제해 '당밀'을 만들고, 그것을 다시 정제해 '흑설탕'을 만들고 나서 마지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백색 결정체 '설탕'이다. 즉 정제 탄수화물은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의 전달을 증가시켜 희열감을 촉발시킨다. 


 현미밥이 좋다는 것 쯤은 알고 있다. 특히 유기농축산물시대에 통곡식에 대한 영양적인 장점들이 회자되고 있다. 오래 잘게 씹으면 몸에 이롭다. 저작은 어떤 음식에 대한 나의 최종 권한이다. 과식하지 않아 속이 편하면 하심이 절로 생긴다. '방금 당신이 먹었던 음식을 나에게 말하여 준다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가를 말해 주겠다(미각의 지배, 존 앨런 저).'  '15.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