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 보면 방어부터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있었다. 아이를 보내고 나서 ‘천만인 서명운동’에 참여 했다. 지인을 통해 서명 받고 싶지 않았다. 다양한 공간에서 남녀노소의 눈을 마주치며 서명의 취지를 설명했다. 지하철안과 역사의 벤치, 전통시장, 도서관, 공원의 벤치, 상점과 식당에서 장애인과 노인을 만났다. 지하철에서는 미국인을 한국 사람으로 착각해 서명을 받으려는 해프닝도 있었다. 시력을 잃어가는 노인은 이승만 정권에 대해 얘기를 했다. 나는 그 노인의 손을 잡았다. 의심 많은 노인과 젊은이, 정책을 불신하는 어르신, 중장년층의 비꼬는 말투, 서명 받는 것은 유권자에게 한 표를 얻는 것과 같았다. 


  시민의 외모나 성격은 개의치 않았다. 준비한 천만인 서명운동 목적과 방법을 꼼꼼히 읽어 보는 상인, 타도시 시민도 흔쾌히 서명했다. 목표치의 100% 서명을 받고 김밥으로 시장기를 때웠다. 금요일 도서관 책상은 넓고 사람은 뜸했다. 빗방울이 후두득 떨어지는 초저녁은 나의 하심이 되었다. 봄비는 그때처럼 내렸다. 내친김에 5.18 사적지 근방 '인문학 카페 노블' 에서 5월부터 개강한 '광주시민인문학강좌' 텍스트를 포스팅 한다. 앙리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 줄리아 카메론 '나를 치유하는 글쓰기'. '15.5.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