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들은 그들만의 이야기를 매일 만들어 가고 있다. 왜 사람들은 지금 이 순간에 보고, 듣고, 느끼는 것으로만 만족하지 못하는 것일까? 저리 터무니 없는 이야기에 집착하는 것일까? 알고보면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세상에 던져진 인간은 현실의 존재자로서 부당하거나 행복해 하는 것들에 대하 지속적인 소통이 부재됨으로서 갑갑할 뿐만 아니라 분통을 느끼게 된다. 청년 전태일도 자기 생활의 갑갑함을 토로 하기 위해 친구 '원섭'에게 편지를 썼다.

 

   모든 집단은 그들만의 존재 집단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감으로서 생존의 정당성을 자각하게 된다. 누구나 지금의 이야기를 넘어 다음 이야기를 쉼 없이 만들어 간다. 그 다음 이야기에는 꼭 행복이 보석처럼 박혀 있기를 소망하며,,,

 

 


댓글(0) 먼댓글(2)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제목이 비슷하여
    from 고립된 낙원 2019-05-11 13:26 
  2. 캐나다 작가 마거릿 애트우드 읽기
    from 고립된 낙원 2019-05-12 15:56 
    플라이스토세에 발생한 인간의 서사 능력이 진화의 주요 동인이었다고 말한다. 이야기 재주가 아니었으면 지금쯤 우리의 언어는 !!! 수준일 것이다. 오늘 우리가 하는 인간 가치관 논의 따위는 가능하지도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