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다산책방. 2017

오베라는 남자의 작가

작품에 대한 예감이 느껴지는 책 제목부터가 눈길을 끈다. 작가의 책이 처음이 아니었기에 이 작품은 기존에 읽은 작품들보다는 짧은 소설이다. 단숨에 읽을 수 있을 듯한 느낌으로 펼친 책이었는데 의외로 천천히 몇 날 며칠을 읽어간 책이었다. 일부러 발걸음을 느리게 읽어간 책이다. 하루하루를 충분히 느끼며 이별을 예감하면서 읽어간 시간들.

광장은 완벽한 원형이다. 완벽하다는 표현은 쉽게 말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이 책에서는 할아버지의 기억이 펼쳐진 머리의 추억들이 광장에 그려진다. 그리고 매일 좁아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것을 의식한다는 것은 씁쓸하기도 하고 잊히지 않도록 간직하고픈 광장이기도 하다. 그 광장에는 할머니와 처음 만났던 곳, 바쁜 아빠와 어린 아들의 모습도 그려낸다. 때로는 너무나도 사랑하는 노아라는 손자와의 추억들과 대화들도 가득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들이 간직한 추억들도 잠시 떠올려보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우리가 사랑하고 실수 투정이지만 서툰 사랑들을 떠올려보게 한다.

수학과 손자를 사랑한 할아버지. 그 할아버지의 젊은 시절의 사랑 이야기, 아이를 키우며 살았던 시절의 이야기, 바빠서 아들에게 친절하지 못했던 이야기, 손자와 밤낚시를 하면서 텐트에서 지냈던 이야기들, 우주에 대한 이야기들도 전한다. 신을 믿지 않았던 할아버지와 신을 믿었던 할머니와 손자에 대한 이야기도 책은 전한다. 삶의 끝자락임을 알고 너무나도 보고 싶고 함께 하고픈 먼저 떠난 할머니와도 손을 놓고 싶지 않은 할아버지. 사실 마음 깊은 곳에는 천국이 있기를 바라며 그곳에서 늘 함께 하고 있었다는 할머니의 이야기를 믿고 싶은 마음도 전해지는 이야기다.

묵직한 이야기지만 떠올릴 수 있는 추억과 사랑이 있다는 것도 함께 떠올리며 읽어간 책이다. 뇌가하는 일들을 이 책에서도 작가의 시선에서 바라보게 된다. 어린 손자는 어느새 훌쩍 자라 선생님이 되었고 아이도 있지만 할아버지의 광장에는 아직도 어린 손자 노아노아일 뿐이다.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할아버지와 노아가 주고받는 대화들이다. 특히 학교라는 곳의 교육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부분이며 노아가 학교 선생님이 서술한 내용들이 매우 인상적이다. 노아가 대답한 글들을 기억 속에 오랫동안 간직하고픈 책이기도 하다.


책 중에서

노아는 물고기를 낚는 법과 큰 생각을 두려워하지 않는 법과 밤하늘을 쳐다보며 그것이 숫자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하는 법을 가르쳐준 노인의 손을 잡는다.(79쪽)

어른이 돼서 뭐가 되고 싶은지 쓰라고 하셨어요. ...먼저 어린아이로 사는데 집중하고 싶다고 썼어요. 아주 훌륭한 답변이로구나.... 저는 어른이 아니라 노인이 되고 싶어요. 어른들은 화만 내고 웃는 건 어린이들이랑 노인들뿐이잖아요.(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