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 에센셜 『정의의 사람들』 중의 에세이 <부조리한 인간>은 흥미롭게 읽은 내용이다. 읽을수록 『시지프 신화』와 에세이 『안과 겉』, 소설 『이방인』을 상기하게 된다. 페이지 여백의 메모들을 확인하면서 작가의 유명한 소설과 에세이를 다시 펼쳐보지 않을 수가 없었다. 단단한 연결고리가 되면서 철학적 사고의 깊이가 더욱 단단해지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소설 『페스트』의 인물들 중에 죽음을 다르게 받아들인 의사 어머니의 삶을 다시 회상하는 독서릴레이로 이어진다.
위대한 소설가는 철학적 소설가라고 『시지프 신화』에서 언급된다. <부조리한 인간> 에세이를 통해서 소설의 바탕이 되었던 알베르 카뮈의 철학을 거듭 확인할 수 있다. 롤링 부인의 '호소문'을 언급한 괴테의 <잠언집>에서 괴테는 롤링 부인은 무시되었다는 사실이 각주를 통해서 설명된다. 롤링 부인은 프랑스에서 살롱을 열고 남편을 내무장관으로 만들었던 여인이었지만 과격파의 미움을 받아 교수형에 처하게 된다. 후세에 의지한 롤링 부인이 후세에 외면받았음을 카뮈는 언급한다.
부조리한 인간이 용납할 수 있는 도덕은 단 하나 신에게서 분리되지 않는 도덕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부조리한 인간은 신 밖에서 살고 있다고 단언한다. 종교 전쟁과 자기변명과 무죄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 무죄는 무서운 것이라고 설명된다. '모든 것이 허용된다'는 나름의 부조리이며, 해방과 기쁨의 외침이 아닌 하나의 쓰라린 확인을 의미하는 무죄임을 확인시킨다.
책임지는 사람은 있을 수 있으나 죄인은 없다는 내용이 의미심장하다. 부조리는 해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묶어 잇는 것으로 모든 것이 허용된다는 것은 아무것도 금지된 것이 없다는 뜻이 아님을 설명한다. 부조리는 행위의 결과에 한결같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부조리는 후회에 본래의 무용성을 회복시킨다는 것과 어쩌다 기분이 내켜서 덕이 높은 사람이 될 수도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짚어낸다.
부조리의 정신으로 추론한 결과는 윤리적 규칙들이 아니다. 발견한 것들은 인간의 삶을 구체적으로 보여준 예증들임을 작가의 여러 소설들과 에세이를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한 인간의 패배의 예증을 소설을 통해서 확인하게 되었고 심판의 대상이 된 것은 패배한 상황이 아닌 패배한 인간 자신이었음을 『이방인』 소설을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정황은 현재에도 심심찮게 찾을 수 있다. 모순되는 논리로 심판을 하고자 하는 모습들을 떠올리면서 읽은 부조리한 인간에 대한 내용이다.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미래를 박탈당한 어떤 세계에 대한 글이다. 희망을 불어넣고 인간을 분주하게 일하게 하고 있는 세계를 직시하게 한다. 희망을 떠올리며 달렸던 무수히 많은 계단들이 있다. 숨이 턱에 차올랐던 순간들은 회색빛으로 분주하게 움직이는 세계만을 맛보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작가는 단 한 가지 거짓되지 않은 사고는 열매를 기대하지 않는 불모의 사고라고 확언한다. 미래가 박탈당한 세계, 미래가 없는 시대는 누구인지 멈추어서 둘러보아야 한다. 마음껏 숨 쉴 수 없는 희뿌연 독성을 가득히 품고 있는 공기, 더 높은 높이와 성장만이 희망이라고 착각하는 세계, 발암물질 범벅인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하고 있는 소비의 실체 등 걷고 있지만 왜 걷는지도 모르는 노예들의 출퇴근길의 움직임들이 떠오르는 내용이다. 『고도를 기다리며』 희곡도 떠올리게 되는 부조리한 인간을 사유할 수 있었던 내용이다.
영광이란 모두 덧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깊이 고찰하도록 이끄는 내용들이다. 모든 영광 중에서 가장 덜 거짓된 것은 스스로 체험하는 영광이며 중요한 것은 인생에서 얼마나 동일화되었는지에 대해 강조한다. 노력과 사명이 무엇이었는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마음을 다하여 여러 존재가 되고자 전력투구하라고 전한다. 자신을 되찾기 위해 자신을 잃어야 하는 이유가 된다. 더불어 침묵도 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셰익스피어의 리어왕 비극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모든 것을 성취하고 모든 것을 살고자 하는 저 인간, 저 헛된 시도, 저 부질없는 고집, 그것은 부조리의 모순 그 자체라고 말하면서 운명에서 노래 부르는 피리가 되지 않는 사람들은 복 있을 거라고 말한 햄릿의 말을 인용한다. 질문이 많은 세계에 대해 숙고하게 하는 힘을 불어넣어 주는 내용들이며 작가의 작품들을 다시 재독하게 해준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