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의 미학 - 죽음과 소외를 기억하는 동시대 예술, 철학의 아홉 가지 시선
한선아 지음 / 미술문화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다르게 죽는다는 간결한 문장이 심오하다. 관철되는 다른 죽음들은 어떤 의미를 함축하는지 살펴보게 하는 내용이다. 인간의 삶을 요약하면 두 가지 질문으로 나누어진다고 말하면서 어떻게 살 것인지, 어떻게 죽을 것인지 독자들에게도 던지는 질문으로 남는다. 평범한 것 같지만 결코 단순한 질문이 아님을 알기에 크게 호흡을 들어마시면서 더 한 걸음 걸어들어가게 하는 책이다.



죽음과 소외를 기억하는 예술과 철학을 만나게 된다. 총 9가지 시선들이 구성된다. 이민과 이주, 성폭력과 전시 강간, 동성애와 인류애, 장애와 불능화, 인권과 인간성, 대량 학살과 재현, 아동 학대와 돌봄, 미디어, 취약성과 비폭력에 대한 저자의 예술 에세이이다. 



반복되는 사회적 문제들을 무관심한 시선으로 흘려보내지 않아야 하는 이유부터가 명확하게 설명되는 서문의 글이 전해진다. 약자의 목소리를 오래 응시하는 사람을 만날 때 반가워진다.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채식주의자』, 『작별하지 않는다』, 『디 에센셜 한강』의 단편소설들과 시들이 다시 떠오르면서 이 책에서도 인용된 한강 작가의 『희랍어 시간』의 문장도 취약성과 비폭력에 대한 내용과 어우러지게 된다. 





학살을 모의하고 인권을 외면하는 폭력성이 사회를 불안하게 할수록 상대적인 비폭력의 가치는 더욱 극대화된다. 상실의 전환적 힘에 대해 언급한 미국 정치 철학 사상가 주디스 버틀러의 위태로운 정치라는 고유 이론 체계가 소개된다. 위태로운 삶과 애도 불가의 죽음을 탐구하면서 일관된 지적 실천을 보여준 그녀가 그 누구도 비참한 삶을 살지 않도록 보호하는 비폭력 세계를 그려낸 인물이라는 것을 책에서 만나게 된다.



일관된 지적 실천을 보여준다는 것은 큰 획이 된다. 철학적이고 예술의 접목을 저자의 에세이를 통해서 하나씩 만나게 될수록 현대 예술을 이해하는 진폭은 더욱 넓어지는 계기로 이어진다. 현대 예술가 작품 <공기 속에서> 은 멕시코 출신 테레사 마르골레스의 작품이다. 비눗방울이라는 현대 예술작품을 관람객은 아름답다고 느끼며 작품을 향한 설명을 작가에서 듣게 되면서 작품은 아름다운 비눗방울이 아닌 이면에 도사린 죽음을 연관시키는 비눗방울임을 알게 되면서 비눗방울이 터지는 순간은 미세한 분진이며 뼛가루라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비눗방울 =하나의 신체 = 부검할 시신을 닦는 물


심오하고 예술적인 작품으로 파열된 죽음을 예술로 표현한 현대미술을 소개받는다. 위태로운 삶과 애도 받지 못한 죽음들이 무엇이었는지도 추가적으로 더 설명해 주는 내용이 전해진다. 한강 소설에 등장하는 죽음들과 학살된 수많은 생명들이 비눗방울로 연상된다. 오래 응시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이유를 이 에세이를 통해서도 보여준다. 





죽음마저도 상대적이다. 지위와 권력, 사회적 조건에 의해 누군가의 죽음은 극대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구조는 죽음까지도 차별적이다. 위태로운 삶의 소외는 가속하면서 재생된다는 저자의 글에 극심한 심각성을 느끼면서 그들의 단단함을 확인하는 시간의 연속성까지도 느끼게 된다. 



그들이 지금 누리고 있는 극대화된 기회에는 죽음까지도 차별적이라는 것을 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예술과 철학이 확장되도록, 현실에서도 우리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주제들을 던져주는 저자의 책은 새로운 자극이 되어준 내용들이다. 현대예술을 더 깊게 이해하려면 철학적인 식견을 더 단단하게 구축해야 한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던 책이다.



‘결코 일어나서 안 되는 일’을 ‘결국 일어나지 않은 일’로 대치하고, 그 누구도 이유를 설명할 수 없는 비극이 일어났음에도 바로 그 설명 불가능성을 근거 삼아 진상 규명의 노력을 무력화하는 존재들. 그들에 의해 피해자는 더 큰 아픔을 껴안은 채 홀로 고통받아야 했다. 149




위태로운 삶의 소외는 가속하여 재생된다. - P16

취약성은 상대적이다. 지위, 권력, 사회적 조건에 따라 누군가의 취약성이 최소화되는 반면 누군가의 것은 극대화된다. - P15

‘결코 일어나서 안 되는 일’을 ‘결국 일어나지 않은 일’로 대치하고, 그 누구도 이유를 설명할 수 없는 비극이 일어났음에도 바로 그 설명 불가능성을 근거 삼아 진상 규명의 노력을 무력화하는 존재들. 그들에 의해 피해자는 더 큰 아픔을 껴안은 채 홀로 고통받아야 했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