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너』, 『오베라는 남자』,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베어타운』,『불안한 사람들』, 『나보다 소중한 사람이 생겨버렸다』, 『우리와 당신들』,『브릿마리 여기 있다』, 『일생일대의 거래』 소설들의 작가인 프레드릭 베크만이 있다. 몇 권의 소설들을 읽었기에 관심이 가서 읽은 이 소설은 다른 소설들보다는 두께감도 얇았던 작품이다.

그의 작품들을 둘러보면서 읽었던 소설들을 다시 펼쳐보게 된다. 꾹꾹 눌러서 밑줄을 그은 문장들을 음미하는 소중한 시간을 가진다.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지 질문하고 답하는 장면이 있다. 함께하지만 혼자인 듯 인생을 보내는 사람들이 생의 마지막 순간 마지막 숨을 쉬면서 인생을 무엇이라고 정리할지도 궁금해진다.

영원한 이별을 준비하는 하루하루는 어느 때보다도 가치있는 시간들이 될 것이다. 영원히 살 것처럼 살아가면서 삶의 의미를 진중하게 생각하지 않을 때 이 소설은 큰 의미가 되어줄 것이다. 느린 독서를 하면서 책장을 천천히 넘기게 해줄 소설이다.



"장은 완벽한 원형이다."라고 추억하는 할아버지가 있다. 그가 기억하는 광장은 매일 좁아지는 공간이 된다. 좁아지는 광장의 의미는 하루하루가 소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광장은 할머니와 처음 만났던 곳이며 바쁜 아빠와 어린 아들의 모습도 보이며 노아라고 하는 너무나도 사랑하는 할아버지의 손자와 나눈 대화와 추억의 공간이라는 의미를 전하게 된다. 이러한 다중적인 의미를 지닌 광장이 서서히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수학과 손자를 사랑했던 할아버지이다. 할아버지의 광장은 삶이었고 인생이었으며 간직하고픈 추억이었음을 알려준다.

젊은 날 사랑한 이야기, 바빠서 아들에게 친절하지 못했던 이야기, 손자와 밤낚시를 하면서 텐트에서 지낸 이야기, 우주에 대한 이야기들로 들려준다. 신을 믿지 않았던 할아버지와 신을 믿었던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도 전해진다. 너무나도 보고 싶은 먼저 떠난 할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천국이 있다는 믿음을 보이는 할아버지의 마음들이 할머니가 들려준 이야기들과 함께 어우러진다. 죽음을 앞둔 외할아버지가 죽음 앞에서 신을 믿었던 외할머니가 보여준 신앙생활을 떠올리며 종교적 질문과 함께 기적 같은 믿음을 보여준 것이 이 소설의 할아버지의 모습과도 유사해진다.

기억에 남는 장면은 할아버지와 손자가 나누는 대화이다. 할아버지 기억 속에 존재하는 광장에는 어린 손자 노아가 있지만 현실의 노아는 학교 선생님이다. 학교 교육이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대화 내용이 인상적이다. 물고기를 잡는 법, 큰 생각을 두려워하지 않는 법, 밤하늘을 쳐다보며 그것이 숫자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하는 법을 가르쳐 준 노인이 있었다는 것을 노아는 기억한다. 큰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 생존을 위한 방법을 터득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침을 받고 가르침을 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도 소설을 통해서 만나게 된다.

어른은 화만 내고 웃는 사람들은 어린이와 노인들뿐이라고 말하면서 어른이 되면 어린아이로 사는데 집중하고 싶다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 화만 내면서 사는 어른들보다 웃으면서 사는 어른이 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도 작가는 강조한다. 다투고 싸우고 분쟁하고 고함지르며 빼앗고 빼앗기는 어른들의 흉폭한 모습을 우리는 지금도 목도하고 있다. 어른이라고 말하는 그들의 선택과 집중, 혐오와 대립은 지치게 한다. 소란과 소음들이 난무하면서 화해와 용서, 사랑과 평화는 좀처럼 찾아볼 수가 없는 것이 어른들의 세상이다. 요즘은 노인들까지도 웃는 어른으로 기억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할지, 어떤 노인으로 늙어가야 할지 하루하루가 이별인 우리들의 남은 인생에 진중한 질문과 선택을 던지는 작품이다.

어른이 돼서 뭐가 되고 싶은지 쓰라고 하셨어요. ... 먼저 어린아이로 사는데 집중하고 싶다고 썼어요. 아주 훌륭한 답변이로구나.... 저는 어른이 아니라 노인이 되고 싶어요. 어른들은 화만 내고 웃는 건 어린이들이랑 노인들뿐이잖아요. 71


어른이 돼서 뭐가 되고 싶은지 쓰라고 하셨어요. ... 먼저 어린아이로 사는데 집중하고 싶다고 썼어요. 아주 훌륭한 답변이로구나.... 저는 어른이 아니라 노인이 되고 싶어요. 어른들은 화만 내고 웃는 건 어린이들이랑 노인들뿐이잖아요. - P71

노아는 물고기를 낚는 법과 큰 생각을 두려워하지 않는 법과 밤하늘을 쳐다보며 그것이 숫자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하는 법을 가르쳐 준 노인의 손을 잡는다. - P79

인생의 의미가 뭐라고 생각하는지 쓰라고 한 적도 있어요...함께하는 거요. - P1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