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이고 싶은 아이 2 죽이고 싶은 아이 (무선) 2
이꽃님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꽃님 작가의 소설들을 꾸준히 읽게 되는데 『죽이고 싶은 아이』에 이어서 나온 이야기라 머뭇거림 없이 읽은 소설이다. 학교에서 학생이 벽돌을 맞고 죽은 사건이 일어났다. 범인은 누구일까? 용의자로 주목된 주연이는 사건 당시의 기억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목격자의 진술과 태도를 의심한 형사는 다시 재수사를 시도하게 되면서 우연히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진범이 누구인지 알아내게 된다.

주연의 아버지는 과잉수사라고 소송을 준비하게 되지만 사회는 무죄인 주연을 여전히 죄인 취급하고 비난을 멈추지 않는다. 학교에서도 학생들은 주연을 모질게 취급한다. 학부모도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등교하지 못하도록 피켓시위를 주도하게 된다. 타인의 말과 행동들이 날카롭게 전개된다. 무죄가 확실하지만 사회는 여전히 주연을 힘들게 한다. 주연의 어머니와 아버지도 다르지가 않다. 주연은 말을 하지도 않고 집에서 어떤 음식도 먹지 않는다. 그리고 죽은 서은이를 보기 시작하면서 대화를 하는 상황이다. 주연은 어떻게 살아내야 하는 것일까?

부모도 친척들도 학교 친구들도 곁을 내어주지 않는다. 말을 하지 않게 된 주연은 먹는 것도 거부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학교 담임선생님과 조리사 할머니, 영양사, 3학년 선배의 마음들이 주연을 다시 살아갈 수 있게 한다. 나를 믿는 사람이 한 사람만 있어도 죽을 사람도 살린다는 것을 알려주는 청소년 소설이다. 우리는 어떤 집단의 사람들인지도 자문하지 않을 수가 없다. 뒤에서 욕하고 이상한 소문을 만들어내는 무리의 사람은 아닌지 소설은 매섭게 매질을 하는 대화도 등장한다. 선량함이 사람을 살린다는 것을 여러 사람들을 통해서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귤 하나에도 마음이 전해지고, 두루치기 음식 하나에게도 선함이 악함을 이긴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로가 선하게 손을 잡고 마음을 다할 때 한 사람을 살릴 수 있다는 것을 주연의 안타까운 사연들을 통해서 보여주는 소설이다.

여기 너를 믿는 사람도 있다. 그러면 죽을 사람도 산다. 그것이 사람 살아가는 세상이다. 164

따뜻한 밥을 해먹인다는 것이 얼마나 위대한 일인지 자주 등장하는 작품이다. 시어머니가 주연이에게 밥을 해먹이고 싶다고 의사를 전달한다. 서은이 엄마도 장을 봐서 주연이를 먹이기 시작한다. 학교 담임선생님도 주연이가 밥을 먹을 수 있도록 관심을 계속 이어가면서 대화를 한다. 먹는다는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임을 묵묵하게 여러 사람들을 통해서 보여준다. 성적이 좋고, 능력이 좋다고 주연이가 행복했던 적이 없었다고 어머니에게 고백한다. 다섯 살 이후로 행복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주연의 인생은 얼마나 외로웠을지 짐작해 보지 않을 수가 없다. 명품을 어렸을 때부터 입혀도 아이는 전혀 행복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주연이 잃어버린 삶을 원상복구하고자 주연 엄마는 서은이 엄마에게도 미안함을 표현한다. 심지어 남편에게도 자기 딸을 지키고자 의사를 분명하게 표명한다. 심리치료를 받는 것까지도 거침없이 노력하면서 무너져내린 가족을 회복시키고자 의지를 드러낸다.

무시당하지 않고자 노력한 주연의 아버지가 있다. 반대한 결혼을 성공적으로 살고자 노력한 주연의 엄마도 주연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서서히 변화되기 시작한다. 닮고 싶지 않은 자기 아버지의 모습이 자기에게서 드러나려는 순간 후회한 주연의 아버지의 모습도 있다. 늦지 않도록 다시 되돌릴 수 있는 자구책들이 하나둘씩 드러나면서 주연의 가족들에게는 희망이 보이기 시작한다. 성공만을 향하는 아버지와 명품을 자랑하고 치맛바람과 입바람이 셴 주연 어머니가 무너지면서 다시 노력하는 움직임들로 희망을 주는 소설이다.

서은이도 주연이가 살았으면 하는 바램을 표명한다. 작은 입모양의 말이 무엇이었는지도 작품에서 전해진다. 더불어 서은이 엄마가 딸의 죽음으로 자살을 시도하고자 할 때 주연이가 집을 찾아오면서 시도를 멈추게 한 것도 암시적이다. 서은이는 더 이상 누구도 삶을 포기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살아야 한다는 것, 살아내야 한다는 것.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것은 곧 우리들의 관심과 선함에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뒤에서 욕하는 것, 거짓말과 비방, 편견과 차별로 두 번 사람을 죽이는 것을 멈추어야 하는 것을 이 소설에서도 보게 된다.

댓글 문화도 다르지가 않다. 진실이 아닌 댓글로 비방하고 욕설을 하면서 한 사람을 죽도록 만드는 사회는 결코 온전한 사회가 아님을 여러 사건들로 자살한 사건들을 통해서 거듭 우리는 배우게 된다. 댓글 문화는 사람을 죽이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댓글부대 영화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은 감지된다. 진실이 아닌 거짓이 이기는 것은 멈추어야 한다. 지금도 댓글들을 읽으면 치우침이 느껴지는 글들이 많이 감지되는 세상이다. 자본의 힘으로 움직이는 댓글부대는 지금도 움직이고 있음을 보게 된다. 수군거림으로 거짓이 진실을 이기는 것은 멈추어야 한다는 것을 청소년 소설을 통해서도 확인하게 된다. 사라져야 하는 문화, 다정함이 이기는 사회가 진정한 세상임을 확인하게 된 소설이다.

서은이는 저한테 위로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애였고 ......

사랑을 알려준 유일한 사람이었어요. 171

뒤에서 사람 욕하고 다니고 괜히 이상한 소문에 휩쓸려서 없는 말 지어내고 그런 애들이 문제인 거지. 나는 선량하게 내 할 일 하고 조용히 남한테 신경 끄고 살겠다 이건데, 뭐가 문제냐고. 164

무너진 삶을 회복하고

조각난 가족을 원래대로 맞추는데 필요한 것은

그저 그런 평범한 일상, 그게 다였다. 211


여론과 언론 110

내 자식 밥 걱정해 주는 사람이

정말 고마운 사람이라는 거. 이제 알겠더라구요. 204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일에 마음 쓰지 말고. 195




어쩌다 증오의 사회가 되었을까? 누군가를 헐뜯고 미워하고 욕지거리를 내뱉으면, 악의적인 소문을 퍼뜨리고 어떤 변명도 들어주지 않은 채 몰락하는 모습을 지켜보면, 어둡고 불쾌한 구덩이를 점점 더 크게 만들어 누군가를 파묻고 나면, 그렇게 하면 안식이 찾아오는 걸까.
- P109

사람이 혼자 사는 거 아니다. 다른 사람한테 힘이 되주면 내가 힘들 때 반드시 다른 사람들이 나를 돕는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