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투 쏜살 문고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리 지음, 조주관 옮김 / 민음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의 작가는 모두 고골의 <외투>에서 나왔다."라는 도스토옙스키의 찬사 때문에 펼친 소설책이다. 강열한 책표지와 단편소설 3편인 <코>,<외투>,<광인일기>는 강열함을 고스란히 전달하게 된다. 러시아의 종교와 시대적 상황을 감안하면서 작품성을 더욱 조밀하게 음미하였던 소설들이다. <코>,<외투>에 이어서 마지막 소설 <광인일기>을 살펴보면 글을 정확하게 쓸 수 있는 것은 귀족뿐이며 귀족들의 글은 대체로 기계적이라고 한다. 쉼표도, 마침표도 없으며 문체도 엉망이라고 설명한다. 그러한 상황에 편지를 쓰는 개가 등장한다.

이상한 관습도 언급되는데 이 관습의 의미를 전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실로 어리석고 의미 없는 관습을 악습이라고 말하면서 지금까지 폐지되지 않은 이유를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전한다. 악습을 유유히 이어간 왕들의 경솔한 태도까지도 화자를 통해서 작가는 꼬집는다. 광인의 엉뚱한 이야기에서 비판하는 사회적 관습과 귀족의 글까지도 예리하게 주목하는 문장을 예의주시하게 된다. 투기에 빠진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빈둥거리는 상황과 직업에 전혀 열의가 없는 상황까지도 낯설지 않은 기시감을 주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지 진지해지기 시작한다.


영국과 프랑스에 대해서도 풍자하면서 언급되는 문장도 기억에 남는 문장이다. 수직적 계급사회에서 신분이 높은 사람들은 자기들만 애국자라고 떠들어대면서 임대료를 원하는 이들이라고 전한다. 돈을 벌기 위해서 무엇도 할 수 있는 그들임을 보여준다. 천한 노동자들이 일하는 환경은 매연을 뿜어내기에 신사들은 그곳을 산책할 수 없다고 말한다. 기업의 공장 굴뚝이 쉬지 않고 뿜어내는 연기의 유독물질의 위해성을 안심시키는 전광판을 심심찮게 볼 수 있는 도시들이 있다. 그 공기를 마시는 노동자들과 수직 계급사회에서 상류집단이 마시는 공기의 질은 거주 지역에서부터 차이를 가진다. 거짓을 이기는 것은 더 큰 거짓말이라는 <돌풍>드라마의 대사가 생각난다. 국민이 원하는 정책은 뒷전으로 미루고 숨기고 감추는 것을 너무나도 많이 보게 된다.



고골은 소설을 집필하면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노동자들과 신사들을 응시했는지 광인일기를 통해서도 보여준다. 상인은 사기꾼이며 상인의 자식들은 난폭한 행동에 추태를 부린다고 전한다. 신문쟁이와 작가에 대해서도 풍자를 하고 농사꾼들은 극장에 가지 않는다는 사실도 날카롭게 명시한다. 현대사회에서도 그들만이 풍류를 누리는 방식들이 있고, 땀을 흘리며 노동하는 노동자들은 그곳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한다. 이 소설에서 언급되는 극장이 오늘날에는 어느 곳을 지칭하는지도 떠올릴수록 고골이 광인일기에서 풍자하는 상황들은 더욱 매력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광인도 출세하고 싶지만 재산이 없어서 불행하다고 말한다. 낡은 외투를 가진 광인의 사회적 위치와 연미복을 걸친 계급들이 어떤 별장을 빌려서 사용하는지도 설명된다. 거만한 태도를 지닌 수직적 계급사회가 광인을 통해서 묘사되는 소설이다. 그가 미쳐서 착각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소설은 흥미롭게 기록되기 시작한다.


부의 대물림과 가난의 대물림을 광인일기를 통해서도 묵직하게 확인하게 된다. 영리하게 자신의 계급과 부를 유지하고 더 많은 부를 늘리는 집단과 문제를 제대로 직시하지 못하는 집단이 반복적으로 역사 속에서 더 가난해지는 이유를 이 소설의 광인을 통해서도 확인하게 된다. "어리석은 농노" (107쪽) "국장. 눈에 위엄과 거만함이 깔려 있다. 국가적인 인물. 책들은 프랑스어나 독일어" (106쪽) 비유를 통해서 드러나는 상황들이 현대사회까지 조명하게 된다.

여자가 반하는 이들은 연미복 속에 숨은 악마라고 소설은 말한다. 여자는 악마의 아내가 되어버렸다고 표현하면서 악마에 눈이 멀어버린 시대와 사회를 소설을 통해서 이야기한다. 소설 속의 어리석은 농노와 거만한 국장, 상인과 상인의 자식들, 신문쟁이와 작가들, 농사꾼과 극장의 의미, 국장 딸의 옷 색깔의 의미, 출세와 재산의 상관관계까지 흥미롭게 떠올릴 수 있었던 소설이다.

천한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매연과 연기를 마구 뿜어내기 때문에,

점잖은 신사는 그곳을 지나 산책할 수 없다. 113




여자는 악마만을 사랑한다.
보라! 악마는 그 남자의 연미복 속으로 숨어 버렸다.
그녀는 악마의 아내가 되어 버린다. - P128

신분이 높은 그자들의 아버지들은... 궁중에 드나드는 패거리들이다.
각자 자기들만이 애국자인 양 떠든다.
이 애국자들은 임대료를 원한다. 야심가요, 배신자들이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머니나 아버지, 아니 하느님까지도 팔아넘긴다! - P129

극장에 갔었다... 어떻게 검열에 통과되었는지 놀라웠다. 상인은 다 사기꾼이고, 그 자식들은 난폭한 행동에 추태를 일삼고... 신문쟁이들... 그들은 욕설만 퍼붓고 있으며, 작가는 독자에게 자기를 보호해 달라고 한다는 것이다... 우리네 관리들 중에는 돼지 같은 놈들이 있다. 농사꾼들은 극장에 가지 않는다... - P1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