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체 3부 : 사신의 영생 - 완결
류츠신 지음, 허유영 옮김 / 자음과모음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웅장한 시간과 공간적인 확대까지 상상하면서 읽은 소설이다. 삼체의 의미까지와 탈수된 문명과 너희는 벌레다!라고 강력한 메시지를 남긴 순간까지도 강열하게 남는다. 위기의 순간에 인류가 선택하고 대립하는 모습들을 다양한 군중 집단에서 살펴보게 된다. 우주 함대라는 공간의 긴박한 사건에는 생존이라는 유일한 선택의 순간에 사체를 처리한 방식과 섭취한 이야기도 3부에서 만나게 된다. 생존을 향하는 시대적 이야기가 흐를수록 인류가 순간의 선택을 어떻게 결정하는지도 다양한 인물들을 통해서 보여준다. 치안군이 된 이유와 그들이 악마의 모습이 되어 이민을 머뭇거리는 사람들을 어떻게 처리하였는지도 기억하게 한다.

오작동으로 경보가 울려서 인류가 혼동의 순간을 경험할 때 엄청난 화염에 타는 사람들도 잊히지 않는 장면으로 남는다. 죽음도 불평등한 사회적 모습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전쟁은 언제나 소수의 결정에 의해 수많은 낮은 계급층이 죽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장면이 된다. 대립하는 집단, 대중의 편중된 흐름에 비난을 받기도 하고 무시를 당하기도 한 뤄지와 청신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전혀 낯설지가 않는 상황이 된다. 뤄지의 고집스러운 모습은 과묵한 모습과 늙어가는 모습과 소중한 가족들을 떠나보낸 이야기에서도 느껴지게 된다.

남성적인 모습을 찾을 수 없는 시대의 모습과 다시 옛 시대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모습까지도 인물들이 동면에서 깨어나서 목격하게 된다. 말을 잃은 모습으로 늙어간 뤄지의 모습과 대이민 기간에 저항운동의 정신적인 지도자 역할을 하였다는 뤄지를 어느 누구도 찾지 못했다는 기묘한 상황까지도 이야기된다. 200살이 된 뤄지를 만나는 청신과 AA가 3차원과 2차원에 대해 나누는 대화 장면과 뤄지가 그리워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도 우리는 짐작하게 된다. 윈텐밍이 들려준 동화들이 함축한 의미와 이해하지 못한 바늘귀에 대한 그림에 대한 내용도 흥미롭게 전개된다. 들려준 동화는 지금 이 시대에게도 의미심장한 이야기가 된다. 부지런함과 검소함, 현명함과 착함, 정직함과 유능함이 평온한 사회를 이룬다는 것을 전달한다.

백성들 부지런하고 검소.

현명한 국왕. 착한 왕비.

정직하고 유능한 신하들. 평온 401

봉쇄. 이것은 학살이다. 267

자아를 버리고 한 집단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집단에 속한 세포나 부품처럼. 138

뤄지가 버튼을 청신에게 넘긴 후 공격당하는 상황도 긴박하게 전개되면서 호주로 대이민을 강행한 삼체 문명과 그곳에 거주한 다수의 이민 생활은 전쟁과 난민을 떠올리는 장면이 된다. 박물관을 인류의 묘비이며 이 모든 것이 묘비라고 말하는 뤄지의 모습도 기억에 남는다. "많은 걸 놓쳤다고 생각하니? 앞으로 다시는 놓치지 마라" (667쪽)고 말해주는 뤄지 노인의 말이 긴 여운을 남긴다. 중국 시인 쉬위눠의 시에서 작은 등불과 모든 것에 만족하는 인류의 모습을 떠올려보게 한다. 인류는 진정 작은 등불에 만족하고 기뻐했는지, 모든 것에 만족하였는지도 질문하게 하는 시이다. 순간의 선택이 우주의 운명을 판가름하기도 한다. 우주에 떠다니는 핵폐기물의 잔해와 쓰레기들도 묵시할 수가 없다. 청신이 마지막까지 윈텐밍을 아느냐고 묻는 이유까지도 짐작하게 된다.

해가 떨어졌다

산, 나무, 돌, 강

모든 위대한 건축이 그림자에 파묻혔다

인류는 작은 등불을 켜고 기뻐하며

눈앞의 모든 것에 만족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찾고 싶어한다

_ 중국 시인. 쉬위눠 568

오작동으로 3명만 탑승이 가능한 상황에서 청신이 아이들에게 퀴즈 문제들을 내는데 어느새 그 문제를 풀고 답을 맞히는 독자가 되기도 한다. 봉쇄는 학살이라고 명료하게 말하는 작품이다. 자유가 존재하지 않는 사회와 세계는 학살과 다름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역사적 사건들을 매만지면서 SF소설로 승화된 작품은 군대, 권력, 조직, 불평등, 환경파괴, 생존 등이 이야기되는 소설이다. 넷플릭스로 먼저 만난 후 읽은 소설이다. 끈이론과 우주 함대원들의 정신질환 증세와 폐쇄공포증에 대해서도 언급된다. 우주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넓은 공간을 연구하지만 정작 현실은 작은 공간에 익숙해지는 연습이 필요한 일이라는 것도 인지시킨다.

자아를 버리는 것과 집단의 일부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도 예리하게 짚어낸다. 얼마나 빠르게 동화되어 부품이 되는지 소설에서도 거론된다. 이 세상을 아끼고 보호해야겠다고 다짐하는 청신과 지자가 잘 부탁드립니다라고 말하는 장면은 의미심장한 소설의 명장면이 된다. 귀결되는 것은 하나이다. 『침묵의 봄』이 1부에서 등장하였듯이 작품은 독자들에게도 신중하고 관심을 가지면서 지구를 사랑하라고 말하는 작품이다.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 내용도 등장한다. 안락사를 권하는 누나와 청신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카프카 작품은 인물이 안락사를 선택하는 적절한 이유가 된다.




백성들 부지런하고 검소.
현명한 국왕. 착한 왕비.
정직하고 유능한 신하들. 평온 - P401

자아를 버리고 한 집단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집단에 속한 세포나 부품처럼. -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