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 (양장)
백온유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하루를 보냈는지 생각하게 한다. 잘 살기 위해 노력하였을 하루에는 타의에 의해 노력한 흔적은 어느 정도였는지도 생각해 본다. 유원이라는 여학생의 하루는 자의에 의한 노력들보다는 타의에 의해 노력하였던 날들이 더 많아 보인다. 기억도 나지 않는 사건이 있다. 화재사건의 현장에 있었던 유원은 언니에 의해 아파트 11층에서 던져진다. 던져진 유원은 어린 나이라 기억이 거의 나지 않는다. 지금까지 주변인들에게 들었던 사건, 생존자, 자신을 받아준 아저씨가 있었다는 것, 언니는 생존자가 되지 못했다는 사실과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긴 끈처럼 묶여진 삶을 살게 된다. 그 사건과 자신은 보이지 않는 끈이 되어서 꼬리표처럼 언제나 붙어있는 삶을 살게 된다.


사회는 자신에게 호의적이었다. 다행히 무난한 삶으로 이어진다. 겉으로 보이는 삶과 내면의 삶은 다르다. 유원은 진짜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다. 죽은 언니의 죽음을 잊지 않으면서 언니가 살아온 날들처럼 살아내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언니가 싫고, 자신을 구해준 아저씨의 방문의 의미를 알아버린 지금은 분노하는 감정도 혼자서만 간직할 뿐이다. 끝나지 않을 아저씨의 방문과 돈을 요구하는 뻔뻔함은 지속된다. 자신의 목숨값이 이렇게 기나긴 세월 함께 하고 있음을 유원은 알게 된다. 충분한 보상을 받았던 아저씨의 발걸음이 지금도 계속된 이유도 드러난다.


자식의 죽음을 견뎌낸 부모. 

어느 한 부분이 폭삭 늙어버린 부모. 147


유원의 부모가 거절하지 못하는 반복된 아저씨의 요구와 방문을 유원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었을까? 11층에서 떨어지는 아이의 무게가 무거웠을 것이라는 말과 지금 자신이 느끼는 아저씨의 무게를 언급한다. 유원의 솔직함과 용기가 필요하였을 순간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유원은 아저씨의 검은 속내에 계속 이용당하면서 부모와 마찬가지로 살고 있었을 것이다. 방송 출연을 요구하고 거짓된 영상물을 조작하자는 제안까지도 하는 아저씨이다. 사회가 말하는 선행을 한 아저씨가 진짜 모습이었는지 보여주는 소설이다.


떨어지는 아이를 받지 말았어야 했다고 말하는 아저씨의 딸의 말에는 어떤 진의가 숨겨진 것인지 전해진다. 무책임한 아저씨의 삶의 역사가 전해진다. 유원의 집에서 머무는 날들의 여러 모습들에서도 드러난다. 치킨 사업을 하면서도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 않는 태도와 일맥상통하는 모습이다. 아저씨의 아내와 자녀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진짜 아저씨의 삶은 고스란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수현과 수현의 남동생 정현의 치열한 삶의 모습도 인상적이다. 아버지처럼 살지 않는 자녀들이다. 불행하였던 이유들을 제대로 보았던 남매이다. 유원을 속일 수 없었다고 말하면서 드러내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비밀도 반전이 된다.


다양한 봉사. 단기 알바. 정치기사 댓글.

내가 나로 이루어지게 된 어떤 이유들처럼,

수현도 어떤 기점이 있을까. 그게 궁금했다. 128


꽤 흥미롭게 읽은 소설이다. 살아남았으니까 죽은 사람의 몫까지 두 배로 살아야 한다는 주변인들의 말의 의중을 감당하려고 노력한 유원의 흔적이 무거워 보인다. 등에 무거운 것을 매달고 살아온 날들을 정리하고 오롯이 자신의 이름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도록 목소리를 내는 소설이다. 무거웠던 아저씨의 무게도 정리하고 자신을 보면서 죽은 언니를 떠올리는 많은 사람들의 움직임과 눈길까지도 정리해야 한다는 것을 전하는 소설이다. 유원이 멀리 바라보고 있는 것들, 미래의 날들, 현재의 순간들은 자신의 이름으로 발걸음을 걸어나가게 주변인들이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을 전한다. 그렇게 자신의 이름, 유원으로만 살아가도록 모두가 응원하여야 하는 이유가 열거되는 작품이다.


거기에 내가 넘어져서 끌리고 베여도 화를 내는 게 무의미한 거야. 내가 돌멩이를 이해하려는 노력도 무의미한 거고, 돌멩이가 내 감정을 이해해 주지 않을까 기대하는 것도 무의미한 일... 사람들이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는 인물... 행동의 의미가 도무지 이해가 안 되어서 오히려 백가지로도 천 가지로도 해석될 수 있는 그런 인물 270


악인을 연기하고 싶다는 정현의 기나긴 생각들과 이유들도 인상적이다. 수현이 릴레이 시위를 하면서 참고 견딘 더위와 도시의 열기를 잊지 않게 한다. 생명을 살리는 것에는 다양한 움직임들이 감지된다. 사소한 봉사, 사소한 몸짓이지만 이 행위가 누군가를 살리는 것임을 잊지 않는다면 지속할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이다. 사회문제에 열심히 움직이는 수현의 의지와 열정은 분명히 빛이 날 것이라는 희망을 가져보게 된다. 유원이 카페 에어컨과 시원한 음료, 디저트까지 먹으면서 릴레이 시위하는 수현의 모습과 응원하는 행인의 관심까지도 작가는 소설을 통해서 담아낸다. " 나는 조금 더 내 삶을 양보하지 못했다. 그럴 자신이 없었다." (131쪽) 더불어 아저씨와 카페에 들어갔을 때 노트북을 하고 있던 여자가 도움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수신호하는 모습도 놓치지 않게 한다. 타인이지만 등을 돌리고 눈을 감지 않고 도움을 주고자 하는 관심과 호의, 시위하는 한 사람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않고 문구를 읽고 응원하는 말 한마디는 관심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부모가 하지 못한 용기를 유원은 아저씨에게 전하게 된다. 아저씨의 무리한 요구들을 들어줄 수 없다는 의중을 분명하게 전하는 모습에 박수를 보내게 된다. 삶에는 용기도 필요하다. 무리한 요구를 하는 상황에서 유원이 홀로 해결한 모습에 대견함이 느껴진다. 수현과 정현도 다르지가 않다. 부모가 하지 못한 것들을 수현과 정현, 유원은 스스로 자신의 삶으로 살아내는 모습이 전해진다. 스스로 하나씩 해결해 가는 모습에 응원하게 된다. 꿈꾸는 세상을 응원하게 된다. 죽은 언니의 투명인간 소설이 코믹하지만 묘하게 슬퍼지고 처연하고 말한다. 언니의 세상을 이해하는 언니보다 한 살 더 많은 동생 유원이 생각하는 것도 보여주는 소설이다.

그 일을 계기로 아빠랑 따로 살게 됐으니까... 

내가 너한테 고마워. 훨씬 사람답게 살았거든. 221


언니 투명인간 소설. 

적당히 행복하기도 힘든데, 

어떻게 두 배나 행복하게 살라는 거야. 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