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훔친 소년 주니어김영사 청소년문학 7
이꽃님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문학으로 만난 이 소설은 오랫동안 기억 속에 남는 작품이 된다. 삼일절을 보내면서도 사회는 시끄러웠다. 역사관을 제대로 배워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지는 발언이었다. 이 책은 그래서 더욱 중요한 의미가 되는 소설이다. 감흥이 깊었던 책이다. 역사를 바로 배워야 하는 이유를 짚어주는 작품이다. 깊어지는 독서로 한 걸음 나아가게 하는 생각이 깊어지는 이야기가 전개되는 작품이다. 삶이라는 한 글자가 주는 의미를 여러 각도에서 비춰보는 책이 된다. ​​

1940년 6월. 경성의 거리. '창씨개명을 금하라'는 전단이 사방으로 뿌려졌다는 이 글귀가 한 페이지를 가득히 채우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첫 시작부터 긴박함으로 빠르게 사건이 전개된다. 지루할 틈이 없이 이야기는 흐른다. 등장인물들을 만날 때마다 그 인물들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그려지면서 그들의 인생철학까지도 짐작할 수 있었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시대적인 아픔이기도 하지만, 개개인의 아픔이 가슴 깊이 저며드는 소설이기도 하다. 나라를 잃은 슬픔이 전해지고 있는 이 작품은 깊은 한숨과 애타는 마음으로 읽어가게 한다. 인물들을 통해서 던지는 질문들이 많아지게 하는 소설이다. 반추하는 시간을 가지게 하는 이야기를 만나게 된다.

이름을 잃으면 전부를 읽는 거라는 사실을 주인공 친구는 뒤늦게 알게 된다. 진정 지키고자 했던 것이 삶이었음을 깨닫기 시작한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그들이 창씨개명을 그렇게 밀어붙였던 이유도 직시하게 해준다. 그들은 우리 민족의 삶을 송두리째 빼앗으려는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작품이다. 지각있는 인물들이 목숨까지 바치면서 지키고자 한 것들의 무엇인지 이야기의 인물들이 서서히 깨닫기 시작하기 시작한다. 자기 나라의 말과 이름을 빼앗긴다는 것은 전부를 잃는 것임을 이 작품을 통해서 배우게 되는 역사적인 소설이 된다. 모던보이가 좋아 보였던 그 시대. 그들이 흉내 내고 따라 했던 그 문화가 얼마나 크게 우리 삶을 흔들게 되는지 차분하게 보여주고 있는 소설이기도 하다. 이름의 의미를 되찾고 삶의 의미를 깊이 있게 찾아가는 소설이다.


길들여진다는 것이 가지는 의미를 살피게 한다. 권력에 길들여지고, 폭력에 길들여지는 사회. 두려움에 길들여지는 것을 작품의 인물들을 토해서 하나씩 짚어보게 된다. 지금 우리 사회의 모습들도 다르지 않게 투영되는 시간이 된다. 무엇에 길들여지고 있는지 하나씩 열거해 보는 것도 의미 깊은 시간이 된다. 한글 파괴, 영어와 한자로 물들여지면서 한글이 흐려지는 사회, 한글이름보다는 한자이름과 영어 이름을 자주 부르는 부모들의 모습도 떠올려보게 된다. 우리의 것을 잘 지켜가고 있는지 질문해 보게 하는 작품이다.

전당국, 책보 등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말도 등장한다. 그 의미도 친절하게 설명해 주면서 어떠한 심정으로 인물들이 전당국을 이용했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질문이 되기도 한다. 가방이 바뀌는 사건이 일어난다. 그 가방에 무엇이 들어있었느냐는 질문에 아이는 절대로 답하지 않으면서 온갖 추측이 난무해지기 시작한다. 그 추측들은 서서히 비밀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언제나 아버지는 옮다고 믿었던 아이이다. 그 아이가 아버지를 세밀하게 들여다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아이는 아버지로 인해 아파하게 된다. 아버지의 선택과 행동이 얼마나 크나큰 후회가 될지 않았던 아이는 그 사실들을 무서워하게 된다. 부끄러운 어른의 선택과 아파하는 아이의 모습이 그려지는 소설이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창씨개명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서 징용되지 않고자 관리받고 감시받지 않으려고 선택하는 것이 창씨개명이었다. 창씨개명이 무엇인지 의미를 찾아주면서 목숨까지도 두려워하지 않는 14살, 15살 야학 소녀들이 끌려가는 모습에 이름 없이 사라져간 수많은 그 시대의 아름다운 이들이 떠오르는 작품이기도 하다. 그들이 지키고자 한 것을 제대로 직시하는 시간이 되어준 소설이다.

부당한 창씨개명을 알렸던 기자가 순사들에게 끌려가고 신문은 폐간된다. 창씨개명을 찬양하는 기사를 올리지 않았던 신문사는 압박당하기 시작한다. 일제의 잔재가 아직도 남아있는 사회임을 잊지 않게 한다. 고뇌하고 번민하는 언론인의 모습을 더욱 조명하게 하는 작품이 된다.


한복과 양복 그리고 기모노가 뒤섞인 옷들.

조선말과 영어,

일본말과 한자가 뒤섞인 간판들. 온 세상이 뒤범벅

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값나가는 물건이나 집문서 같은 ... 담보로 맡기고,

맡긴 것의 값어치보다 적은 돈을 빌리는 곳...

가난한 조선인들의 등골을 빼먹는 곳...

이자가 높아 한번 발을 디디면

다시 빠져나올 수 없는 진창길이라고...

조선인으로서 살면서 잃어버렸던 수치심이 살아났다.

그런다고 뭐가 달라질 것 같아?

그래도 해... 그게 내가 선택한 삶이니까.

어쩌면 이미 변화가 시작되었는지도 몰랐다.

부당한 창씨개명을 알렸던 기자는

순사들에게 끌려갔고, 신문은 폐간되었다...

총독부는 창씨개명을 찬양하는 기사를 보내지 않는 신문사를 압박하기 시작...

이름을 잃으면 전부를 잃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