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이 소설은 오디어북으로 처음 만났다. 차분히 읽는 목소리와 책내용에 책을 펼쳐들게 한 소설이다.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소설은 이 소설이 처음은 아니다. 그래서 마음을 단단히 먹고 소설을 펼친 작품이다. 멈추게 하는 문장들을 만날 때마다 묵직한 마음을 진정시키면서 읽게 한 소설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아야 하는 진실들이 있다. 그 진실을 문학으로 만날 수 있는 작품 중의 하나가 된다.
수많은 악행들이 존재하는 역사들을 마주할 때마다 질문을 하게 된다. 얼마나 잔혹할 수 있는지, 죄책감도 느끼지 않을 수 있는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어야 만족하는지 질문하게 된다. 역사는 존재한다. 그리고 역사를 덮고 감추며 숨기려고도 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진실을 바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진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그 과정에 우리가 매년 읽게 되는 소설 중의 하나가 된다. 매년 한 권씩 읽게 되는 관련 도서가 된다. 이 책도 그중의 필독서가 된다. 잊지 않아야 하기에... 잊는 순간 우리는 이 역사를 다시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을 모두가 안다.
소년을 만나는 작품이다. 읽는 내내 아팠다. 깊숙한 아픔으로 전해지는 현장의 이야기이다. 자신의 시신을 바라보는 영혼의 이야기. 떠난 이의 이야기, 남겨진 이들의 이야기들이 전해진다. 모두가 텅 빈 껍데기가 된 그날의 이야기는 역사로 기록된다. 그들에게 희생된 이들에게는 소년들도 존재한다. 그래서 더욱 아프게 그려지는 소설이다.
고문이 가진 잔혹성은 생생하게 그려지고 살을 베이는 고통으로 읽게 한다. <원청> 위화 장편소설에서도 경악을 멈추지 못했던 장면이 떠오른다. 이 소설도 다르지 않다. 멈추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별하게 하는 역사가 된다.
광주시민들을 빨갱이년, 빨갱이놈이라고 말한다. 시민들에게 총검을 향하는 그들은 누구일까? 취조하고 고문한 그들이 누구인가? 그들에게 쓰러져간 그 시민들은 어린 학생들과 임신한 부녀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역사의 흔적으로 오랜 세월을 피해보면서 살아왔을 많은 시민들도 떠올려보게 한다.
숨기고 덮고자 하는 역사가 있다. 왜 숨기려고 할까? 가려지는 것은 결국 자신들의 두 눈일 뿐임을 모른다. 사실과 진실은 고스란히 지각 있는 학부모들에 의해서 거듭 거론되는 역사로 남는 상흔이 된다. 흉터와 같은 역사를 어떻게 지우려고 하는지 궁금할 뿐이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그 현장을 사진으로 남긴 사진기자들도 함께 떠올리게 한다. 죽을 각오까지 하면서 그 현장에서 찍었을 외국인 사진작가가 있었다. 숨겨야 하는 역사가 반복되어서는 안된다고 느끼면서 다시 읽는 소설이다.
그 시대 검열의 기준이 모호해진다. 검열의 기준점은 뭘까. 폭력이 정당화된 시대의 자화상을 세밀하게 마주한다. <이토록 평범한 미래> 김연수 소설에서도 등장하는 검열의 피해자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권력이 가진 힘을 또렷하게 보여주는 작품이 된다. 문학이 가진 힘과 활자의 힘은 대단하다. 지울 수가 없는 상흔으로 남겨지는 문학은 진실을 전해주는 주요한 매개체가 된다. <1984>와 <시녀 이야기>에서도 책을 두려워하는 권력자들이 등장한다. 이 소설은 더욱 주요한 의미를 띠는 작품으로 남겨진다.
명령과 복종이 존재한다. 또 다른 형태의 피해자들도 떠올려보게 한다. 생각하지 않기. 복종하기. 명령이 가지는 절대성에 반문해 보게 된다. <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에서도 주인공은 명령과 복종으로 직장 생활을 한다. 그리고 그러한 가르침에 복종한 후임자에게 고스란히 당하는 사건이 벌어지게 된다. 무엇을 놓친 것일까? 명령과 복종이 가지는 군대 문화의 맹점을 드라마를 통해서, 이 소설을 통해서도 대면하게 된다. <고도를 기다리며> 소설에서도 생각 없는 하인이 등장한다. 그 참담함은 하인에게만 일어나지 않는다. 이 소설의 직접적인 가해자들이 되기도 한다. 명령과 복종은 그렇게 위험한 선을 넘는 것이 된다.
에필로그에 소개되는 집필과정도 기억에 남는다. 책에 나오는 인물들 하나하나가 기억속에 자리잡는 작품이 된다.
군중의 도덕성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무엇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흥미로운 사실은, 군중을 이루는 개개인의 도덕적 수준과 별개로 특정한 윤리적 파동이 현장에서 발생된다는 것이다. 어떤 군중은 상점의 약탈과 살인, 강간을 서슴지 않으며, 어떤 군중은 개인이었다면 다다르기 어려웠을 이타성과 용기를 획득한다.
베트남전. 제주도. 관동과 난징. 보스니아. 모든 신대륙에서 그렇게 했던 것처럼, 유전자에 새겨진 듯 동일한 잔인성으로.
체르노빌의 피복이 지나간 것이 아니라 몇십년에 걸쳐 계속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빨갱이년. 간첩 지령을 받았다는 각본완성.(중략) 당신이 하혈 끝에 의식을 잃을 때까지 그들은 멈추지 않았다.
누가 나를 죽였을까, 누가 누나를 죽였을까, 왜 죽였을까.
생각할수록 그 낯선 힘은 단단해졌어.
왜 태극기로 시선을 감싸느냐고, 애국가는 왜 부르는 거냐고 동호는 물었다. (중략)
태극기로, 고작 그걸로 감싸보려던 거야.
우린 도륙된 고깃덩어리들이 아니어야 하니까,
필사적으로 묵념을 하고 애국가를 부른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