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남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2 ㅣ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한국문학수업 도서를 만나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책이다. 먼저 여성작가편을 읽었고 남성작가편을 읽은 시간. 익숙한 한국문학 남성작가도 목차에 보이고 낯선 한국문학 남성작가분들도 보인다. 알고 있는 남성작가분들의 한국문학 수업부터 골라서 읽어본다. 문학을 좋아하는데 한국문학은 많이 만나지는 못했기에 이 기회에 여러 작가들과 작품들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고른 책이다. 역시나 그 기대는 많이 충족되었고 작품과 작가만을 알고 있었던 것에 많은 곁가지들이 하나둘씩 엮어갈 수 있어서 나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시간으로 기억된다.
막연하게 신문기사를 통해서 알게 된 한 작가분에 대해서 이 책은 많은 것들을 들려주는 책이었다. 그가 가진 성향을 살아온 환경들까지 펼쳐주면서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다. 작가의 아버지의 선택과 남겨진 가족들의 생활과 삶까지 짐작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작가로서의 활동과 작품, 인터뷰의 내용들까지도 작가의 작품과 작가의 이야기들을 차곡히 채워갈 수 있었다. 광화문의 촛불집회를 바라보는 그만의 시선과 관점까지도 잠시 멈추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렇게 작가의 작품과 작가의 행보를 한국문학 수업을 통해서 많이 알아가는 시간들이 되었다.
또 다른 남성 작가분도 곧이어 읽는 시간. 역시나 작품에서 느꼈던 문체의 분위기는 많은 사람들이 모두가 느끼는 듯했다. 이 책의 저자분도 그렇게 작가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었다. 작가만을 알고 있었는데 작가의 아버지와 성장배경까지도 이 책은 소개해 줘서 더욱 도움이 된 시간.
한 번도 이와 같은 책을 만나본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은 수업을 들은 적도 지금까지 없었다. 이과 수업만을 듣고 교양과목 정도만 들었기에 문학과 가까운 수업은 처음이었다. 새롭고 낯설기도 했다. 이렇게 작가를 만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던 책이다. 처음에는 작가의 작품만을 읽지만 책을 점점 좋아하다 보면 작가의 또 다른 저서들을 찾게 된다. 그리고 만나게 된 문학수업에 관한 책도 만나본 날들. 책을 좋아하는 분들, 문학을 좋아하는 분들, 특히 한국문학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게는 더욱 도움이 될 책이 아닐까 싶다.
성향은 누구에게나 있다. 저자분의 시선에서 그려지는 한국문학의 작가들을 향한 목소리를 들어본 날들이었다. 치우침이 어느 방향을 더 향할 수도 있다. 여성작가편을 먼저 읽었고, 남성작가편을 읽으면서 느긋하게 두 책을 다시금 떠올려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세계문학작품들과 그 작품들로 유명한 작가들까지도 하나둘씩 떠올려보는 순간을 가져본다. 한국문학만의 분위기가 있다. 그들만의 삶이 있고, 시대가 있다. 저마다 작가들의 작품들은 시대를 말하고 인생을 말하는 단편이 되기도 한다.
한국문학을 더욱 가까이에서 떠올려보게 한다. 시대의 이야기, 여성의 이야기, 남성의 이야기들이 되고 우리들의 이야기가 한국문학에 흐르고 있음을 한국문학 작가들을 통해서 떠올려보게 한다. 이 책 덕분에, 2권의 시리즈 덕분에 한국문학에 더 밀착할 수 있게 경청하는 시간을 가졌던 것 같다. 흥미를 보이면서 읽게 될 작품도 알게 되었고, 작가에 대해서도 알게 된 책이다.
한 시대를 살아온 작가 부모의 삶은 고스란히 작가에게도 적잖은 영향력을 준다는 사실까지도 함께 떠올려본다. 이념의 격돌, 남겨진 자들의 원망은 그들이 삶의 지표가 되어 작품과 인터뷰에도 한 사람을 표식하게 된다. 열망하는 것들과 가족의 이야기들이 문학이 되기도 한다. 작품을 작가들의 이야기들과 접목해서 읽어갈 수 있을 것 같았다.
1960년 최인훈에서 2000년대 김훈까지
역사의 그늘로부터 건져 올린 한국소설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