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여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0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좋아한다. 한국소설보다는 세계문학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이 책에 실려있는 한국의 여성작가들의 한국소설들을 몇 편 정도만을 읽었을 뿐이라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한국소설을 더 읽어보는 계기가 될 것 같아서 고른 책이다. 시대별로 나뉘면서 여성작가들의 작품들과 그들의 이야기들까지도 소개되고 있다. 읽었던 작품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와서 그 작가들에 대한 글들부터 읽었던 책이다. 문학을 전공하지 않았고, 작품을 읽는 독자로서의 위치에서만 느끼고 흐름을 느끼는 한 사람이라 조목조목 문학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들까지 분석하는 저자의 글들은 낯설었다. 작품을 읽고 내가 느꼈던 그때의 감정들과 감상들이 흩어지는 듯해서 아쉽기까지 했다. 호의적이지 않은 글들이 많아서 당혹스러웠고, 당황하면서 불편함이 가득하게 읽은 그들이 많았던 책이다.

한국소설이 가지는 분위기와 외국소설이 가지는 분위기는 저마다 다르다. 그 시대를 살아간 여성작가들이 작품으로 통해서 그들 자신만의 소설을 작품으로 독자들과 교류하는 것 자체만으로 바라보면서 작품을 읽게 된다. 배제되고 부족함이 보일지라도 독자로써 우리 문학을 그렇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 그 시대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 시대의 가족의 이야기이며 어머니의 이야기였고, 개인의 이야기이기도 하기에 비판보다는 있는 그 자체를 들여다보는 시대의 자화상 같다고 느꼈다. 이 책은 전문적으로 작품과 작가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부족함들을 분석하고 있다. 그래서 앞으로 한국소설을 집필하고 준비하는 소설가들에게는 방향등같은 역할을 해주는 책이 될 것 같다고 느꼈던 책이다.

여성작가 편부터 읽었다. 다른 한 권인 남성작가편도 읽을 시간이 기다려진다. 남성작가편은 어떠한 관점에서 여러 작가들의 작품들이 이야기될지 기대된다. 여성작가 편에서는 아직 읽어보지 않은 작품을 번역한 번역가에 대한 글이 매우 끌렸다. 그 작가가 번역한 책들부터 한 권씩 읽어보아야겠다고 느꼈다. 그리고 다시금 이 책을 펼쳐서 작품과 소개된 여성작가들을 접목해보면서 작품을 떠올려보려고 한다. 문학수업을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었다. 이러한 책도 처음이라 많이 당혹스럽기까지 했다. 글을 작품으로 쓰는 작가들에게는 작가라는 길은 결코 쉽지 않은 길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던 책이기도 했다. 집필을 하고자 고독을 찾고, 외로운 집필의 공간을 찾아들어가는 작가들의 그 시간들과 공간들을 다시금 떠올려보게 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