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정한 장소 ㅣ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미셸 포르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이 집은 조용하죠." 글을 쓰는데 반드시 필요한 이곳의 고요함의 색, 이 안에서 사는 아름다움이라고 말하는 작가. 이 집에서 인터뷰가 진행된다. 이 책은 작가를 인터뷰하는 인터뷰집이다. 작가의 책들을 시리즈로 만나고 있다. 그중의 한 권. <진정한 장소> 그녀가 기억 속으로의 하강과 글 속으로의 침수를 허락을 받는 이 집이 집필한 장소라고 이 책에서 전하고 있다.
책표지들이 저마다 인상적이다. 책표지 사진도 개성이 있지만 색채가 책 내용들을 충분히 대변해 준다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 많은 질문들이 주어진다. 그리고 답변들이 담긴 책이다. 인터뷰집을 이렇게 집중해서 흥미롭게 읽은 기억이 없다. 그녀의 작품들이 자주 언급이 되는 만큼 다른 작품들을 먼저 읽고 이 인터뷰집을 읽는다면 좋지 않을 듯하다. 어떤 작품에는 부재가 떠오른다. 질문자도 작가에게 그 작품의 부재를 질문한다. 그리고 작가는 인물의 부재, 소설적인 흐름의 부재에 대해 언급한다. 작품들이 언급될 때마다 그 작품들을 잠시 떠올려본다. 그리고 펼쳐지는 그녀의 작품들은 저마다 다르지만 공통적인 무언가를 떠올리게 된다. 작가도 이 부분에 대해서 이 인터뷰에서 언급한다. 같은 구멍을 파고 있는 느낌이에요. 제 책들을 모두 다르지만 하나로 모으는 무언가가 있죠. 127 이것에 대한 이야기들도 인터뷰집에서는 놓치지 않고 대화를 나누는 대목이기도 하다.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기도 한다. 그들이 그녀의 작품에 흐르는 이유들도 명확하게 그녀는 목소리를 전한다. 글 쓰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분들과 글쓰기를 희망하는 분들에게는 이 인터뷰집도 유용한 내용이 될 듯하다고 느꼈다. 글을 쓰는 이유, 글의 방향성, 문학에 대해서도 그녀의 분명한 철학들이 이야기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사진과 문학, 영화에 대해서도 그녀는 이야기를 나눈다. 구원에 대해서도 잠시 언급하는 내용들도 떠올려보게 된다. 반대라는 굵직한 의미들을 간직한 작품들의 흐름까지도 우리는 작품들을 통해서 읽게 된다. 인터뷰집이라 낯설게 느꼈는데 의외로 진지해졌고 천천히, 음미하면서 여러 번 읽고 고찰하면서 읽게 해준 책으로 기억된다. 그녀의 작품만큼이나 이 인터뷰집도 기억에 남을 책이 된다.
20년 동안의 사회적 불공정함, 생활방식의 구별. 소비의 언어. 자본주의의 언어. 118
부활시켜야 할 권위, 유산의 계승, 목표로 삼아야 하는 성공의 기준이 중심가가의 고등학교에 다니는 일부의 청소년인 것처럼.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