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 꿈 정신분석 - 정신분석학총서 1
레온 래트먼 / 민음사 / 1995년 8월
평점 :
한동안 정신분석이(특히 라깡을 중심으로) 큰 유행처럼 번지다가 지금은 좀 잠잠하게 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정신분석에 관한 서적들이 출판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지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신분석에 대해서 의심스러운 시선을 많이 갖고 있고 정신분석을 이론적으로만 받아들이거나 문화 혹은 사회를 분석하는 틀로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물론... 이렇게 말하는 내 자신도 위의 비판에서 벗어나기는 힘들지만.
이런 상황에서 임상 / 분석 사례 위주의 책인 레온 앨트먼의 ‘성 ․ 꿈 ․ 정신분석’ 이론 위주의 출판에서 이례적이면서도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아쉽게도 그 내용물은 그 정도로 충실하지는 않지만.
간만에 정신분석에 관해서 다시 관심을 갖기 시작해서 되도록 이론적이지 않은 책을 고르다가 선택한 책. 쉽게 읽으려고 했지만... 그다지 쉽지는 않은 책이다.
‘성 ․ 꿈 ․ 정신분석’을 읽어내기 위해서는 혹은 보다 깊이 있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저자와 역자가 모두 말하듯이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정도는 읽어두었거나 꿈을 통해서 정신분석을 하는 과정과 그 이유를 이해하고 있어야 저자가 분석하는 의미가 정신분석으로서의 해석으로 다가오지 그렇지 않고 읽어나간다면 꿈 해몽과 별다를 바 없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다. 조금은 성적인 이유로 몰아가는 이상한 책으로 비춰질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만약 점성술처럼 꿈 해몽으로서 정신분석을 받아들이게 된다면... 꼭 이 책을 읽어야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다양한 임상 사례들 중에서 ‘꿈’을 중심으로 분석을 풀어내는 ‘성 ․ 꿈 ․ 정신분석’은 그동안 정신분석에서도 홀대를 받았던 ‘꿈’을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오면서 기존의 프로이트의 분석에 비해 보다 예리하게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분석 과정의 전후관계를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즉 프로이트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하지 않고 환자들의 ‘꿈’만 다루고 있기 때문에) 조금은 두서없게 느껴지기도 하고 그 꿈의 의미를 저자의 분석에 의존해서 이해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었다.
그럼에도 ‘성 ․ 꿈 ․ 정신분석’의 매력은 그동안 자주 다뤄지지 않고 있었던 ‘꿈’을 전면에 끌어올리고 다양한 분석을 보여주며 꿈과 무의식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드와 자아 그리고 초자아의 일종의 합의에 의한 결과물로서 다뤄지는 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변수가 있는지와 그 변수들 속에서 분석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정신분석이라는 것이 단순히 이론적으로 다뤄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정신적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며 그러한 환자들을 겪으며 이론과 분석기법이 발전한 것이라는 것을 확연하게 말해준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