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쾌락 - 세계의 고전 사상 7-001 ㅣ (구) 문지 스펙트럼 1
에피쿠로스 지음, 오유석 옮김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9월
평점 :
흔히 알려지기로는 ‘쾌락주의자’라는 식으로 오해하기 딱! 좋은 방식으로 알려진 에피쿠로스이지만 그의 글을 읽어본다면 그가 말하는 ‘쾌락’이라는 것이 우리들이 말하는 그런 것과는 많은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잠언들과 편지를 엮은 이 책은 단순히 ‘쾌락주의자’라는 식으로 평가하기 힘든 에피쿠로스의 사유를 엿볼 수 있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짧은 분량이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 철학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었지만 나와 같은 짧은 지식으로 인해 읽고자 하는데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도 부담없이 읽어낼 수 있을 것 같다.
니체에 대한 글들을 읽으면서 몇몇 연구자들이 그의 글과 에피쿠로스와 일정부분 공유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책을 읽으며 어느 정도의 유사점도 찾아낼 수 있었다. 어떤 것이라고 정확하게 지적하며 말하기는 힘들겠지만 니체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의 글을 통해서 어떻게 니체가 영향을 받았는지 조금씩 찾아낼 수 있을 것 같다.
제목은 ‘쾌락’이지만 내용을 읽으면 어떻게 감정의 과잉을 자제하고 평정심을 유지하며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 있는 잠언들과 삶에 대한 통찰력을 접할 수 있을 것 같고, 그가 고통과 불안 제거하고 평안을 찾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은 절제와 ‘지식’이라는 것에 한편으로는 이해하게 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만든다.
그리고 행복을 위해서 우리는 항상 철학을 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공감하게 되기도 하지만 이제는 그렇게 주장하기에는 세상은 너무 많이 변한 것은 아닐까? 라는 자조적인 질문도 하게 만든다.
초반에는 그의 삶에 대한 통찰력을 엿볼 수 있는 잠언들이 수록되어 있다면, 중반부터는 그가 보낸 편지들로 내용이 채워져 있는데, 그 편지에 있는 내용들은 잠언과 유사한 삶에 대한 통찰력을 엿볼 수 있기보다는 그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었던 원자론과 자연학 그리고 천체에 대한 논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어째서 그가 자연학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었을까?
당시 시대의 철학자들은 많은 부분에서 부족한 지식으로 인해(지금과 비교해서는 얼마나 많은 부분에서 과학적 지식이 부족했겠는가?) 세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모든 현상들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각자의 대답을 찾아내고 있었고, 에피쿠로스도 다른 철학자들의 논의들과 자신의 차이를 지적하고 자신은 어떻게 삶과 자연 그리고 천체가 운행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그것은 단순히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자신만의 해답을 제시했다는 것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에피쿠로스 철학의 핵심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철학을 통해서 내면의 안정과 행복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생각하면서 외부에 대해서는 자연학과 원자론등의 과학적 지식을 통해 신에 대한 미신(신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모든 것이 신의 뜻으로 된다는 식의 생각에는 부정하는)에서 벗어나 우리가 보는 것 그리고 우주와 천체의 운행과 자연의 흐름을 적절히 이해하게 되어 행복을 깨달을 수 있다는 믿음을 이해한다면 후반부에 있는 논의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자연으로 통칭되는 외부에 대해서 지식과 이성으로 미신을 걷어낼 수 있다고 믿었던 ‘계몽주의’와 일정부분 공유하고 있는 부분이 있지는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하게 되는 것 같다.
다만, 그런 부분에서 아도르노의 시각으로 그를 본다면 그는 (부정적인 의미에서의) 근대인으로 볼 수 있기도 할 것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결국 지식이라는 것은 ‘지배’와 떼어놓고는 보기 힘들 것이니까.
하지만 그런 부분으로 논의를 진행시키기에는 너무 앞서나가는 것 같고, 단순히 쾌락주의자로 설명할 수 없는 에피쿠로스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좋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으로 마무리 하는 것이 옳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