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11월
평점 :
품절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여러 곳에서 언급되기도 했고, 제목이나 내용이 눈길을 끌어서 읽게 됐다.
“대학 졸업 후 <뉴요커>에 취직하여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보이는 뉴욕 한복판에서 치열하게 커리어를 쌓아가던 저자 패트릭 브링리. 사랑하는 친형이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나게 되면서 깊은 무기력감과 상실감에 빠진다. 시끄러운 세상이 아닌, 아름답고 고요한 공간인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가 경비원이 되어 가장 단순한 일에 몰두해 보기로 한다.
이 책은 저자가 경비원으로서 보낸 10년을 회고하며 기록한 에세이지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그림, 조각, 소묘, 사진, 도자기, 퀼트, 모자이크, 판화, 장식 예술 등 넓은 스펙트럼의 작품 세계로 안내하는 한 권의 예술서로도, 사랑하는 사람을 상실한 이후 슬픔에만 갇히지 않고 서서히 앞을 향해 나아가는 한 사람의 치유서로도 읽힌다. 경비원의 ‘특권’으로 오롯이 작품을 마주할 수 있는 시간을 보내며, 또, 각각의 사연을 지닌 동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삶과 죽음, 예술에 대해 깊이 사유해 나가는 과정이 유려하고도 지적인 문장으로 펼쳐진다. 미술관에서 보낸 시간을 통해 넓은 세상으로 다시 나아갈 힘과 용기를 얻게 된 마지막 장면을 끝으로 책장을 덮고 나면 이 책의 가치를 한 번 더 깨닫게 된다. “디테일로 가득하고, 모순적이고, 가끔은 지루하고 가끔은 숨 막히게 아름다운 일상. 우리는 삶을 살아가야 하고, 삶은 우리를 내버려 두지 않는다.” 저자의 이 말이 오래도록 기억될 것 같다.
갑작스러운 죽음-상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견뎌낼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이다.
한편으로는 슬픔과 상실에 대한 애도의 시간을 어떤 식으로 보냈는지에 관한 내용이고.
그렇게만 꾸며진 내용이었다면 남다르진 않았을 것이다. 이 책은 길고 긴 시간 끝에 “삶을 살아가야 하고, 삶은 우리를 내버려 두지 않”음을 말해주기도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슬픔을 털고 다음 단계로 향해가야 한다는 걸 말해주고 있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대한 온갖 수다를 쏟아내고 있기도 하다. 미술관에 모셔져 있는 다양한 미술품들에 대한 애정과 함께 그 공간 자체를, 그리고 유령처럼 배회하거나 허드렛일을 하는 사람들 혹은 허수아비처럼 지나쳤을 사람들을 골똘히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을 우리들에게 안내해주고 있다.
“가족의 죽음으로 고통 속에 웅크리고 있던 한 남자가 미술관에서 10년이라는 시간을 보내며 상실감을 극복하고 마침내 세상으로 나아갈 힘을 얻는 여정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바삐 살아가는 세상에 적당하게 적응을 잘해서일까? 어떤 내면의 슬픔과 상실 혹은 상처를 긴 시간동안 간직하고 조심스럽게 치유하려는 생각을 하기 보다는 빨리 떨구고 잊으려고만 했었기 때문인지 저자가 보낸 길고 긴 애도의 시간이 꽤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을 것 같다. 그리고 그 상처가 아물어가는 과정과 새로운 시작을 담담하게 말해주는 모습에서 내가 겪었고 겪을 상실과 슬픔을 미리-괜히 생각해보게 되기도 한다.
“일상은 모순적이고 가끔은 지루하며 가끔은 숨 막히게 아름다운 것”임을, “삶은 군말 없이 살아가며 고군분투하고, 성장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모르고, 모르다가도 알고 있는 그 깨달음을 잊으려고(만) 하지 말고, 생각과 마음 속 어딘가에는 남겨둬야 할 것 같다.
#나는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경비원입니다 #경이로운세계속으로숨어버린한남자의이야기 #패트릭브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