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 속의 영화 - 영화 이론 선집 현대의 지성 136
이윤영 엮음.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읽어내기가 버거울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다. 피하면 되는 걸 굳이 잡게 됐다.

 

 

1장 영화의 원리와 표의문자(1929) |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2장 영화와 현실(1932/1957) | 루돌프 아른하임

3장 영화에서 양식과 매체(1934/1947) | 에르빈 파노프스키

4장 기계복제 시대의 예술작품(1936) | 발터 벤야민

5장 영화의 심리학 개요(1939) | 앙드레 말로

6장 영화와 새로운 심리학(1945) | 모리스 메를로-퐁티

7장 사진적 이미지의 존재론(1945) | 앙드레 바쟁

8장 영화기호학의 몇몇 문제(1966) | 크리스티앙 메츠

9장 봉합(1969) | -피에르 우다르

10장 영화/이데올로기/비평(1969) | -루이 코몰리 & 장 나르보니

11장 기본적 영화장치가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적 효과(1970) | -루이 보드리

12장 반영화(1973) | -프랑수아 리오타르

13장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1987) | 질 들뢰즈

14카포의 트래블링(1992) | 세르주 다네

14-1장 천함에 대하여(1961) | 자크 리베트

 

 

글쓴이들의 이름만 들어도 책을 펼치기를 미루고만 싶어질 뿐이고. 그래도 영화라는 것에 조금은 의미를 두고 있는 사람인지라 이해하진 못하더라도 읽어보고 싶다는 마음이 커서 책장을 넘겨보게 됐다.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루돌프 아른하임, 발터 벤야민, 질 들뢰즈 등 20세기를 대표하는 내로라하는 지성들이 영화에 대해, 영화를 통해 치밀한 사유를 전개한 글들을 묶어 펴낸 책이다. 모두 열네 편의 글로 이루어진 이 책은 영화 이론의 고전을 묶은 앤솔러지이자 인문학적 사유에 깊이를 더해주는 풍요로움의 기록이다.”

 

영화를 통해서 사유를 혹은 철학적 뭔가를 생각해내는 사람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 책이 될 것 같다. 그러기가 어려운-부족한 사람으로서는 그냥 읽은 것으로 만족하게 될 뿐이고.

 

영화라는 것이 어디까지 생각을 향하게 할 수 있는지 조금은 지켜본 것으로 만족해야 할 것 같다. 아직은 이 글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삼켜내기에는 부족한 것 같다. 아마 앞으로도 그러진 못할 것 같다.

 

아쉽다. 안타깝고. 어쩔 수 없지.

 

 

#사유속의영화 #영화이론선집 #이윤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