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지속적으로 지적하듯이 우리들 대부분은 조선 시대에 대해서 알고 있는 지식이 교과서를 통해서 얻은 것이 전부 혹은 대부분일 것이고, 그것만으로는 그 기나긴 세월 속의 (하지만 여전히 지금 한국을 지배하는 영향력을 갖고 있는) 왕국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할 수 없는 단편적인 지식만을 혹은 오해만을 갖게 만들기 때문에 이와 같이 조금 더 다른 각도에서 그들을 바라볼 수 있는 작품의 존재는 충분히 의미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며 이 책을 전해준 이에게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을 우선 전하고 싶다.

 

저자는 ‘조선’이라는 왕국이 단순히 무력으로 인해서(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기존 ‘고려’와는 다른 방식으로 국가를 성립시키고 유지될 수 있었으며 그렇게 오랜 기간을 지탱하게 될 수 있는 점 중 ‘책’과 관련된 부분을 빼놓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고, 그런 입장 속에서 조선 사회를 대표하는 여러 지식인(책벌레들)을 언급하고 있다.

 

이런 입장에서 첫 번째로 다뤄지는 인물은 조선 건국의 핵심 인물인 정도전이고 그가 어떤 입장에서 책을 통해서 그리고 인쇄술의 개선을 통해서 자신의 의도에 따는 국가를 건국할 수 있었는지를 그리고 지속되도록 하려고 했는지를 논의하고 있다.

 

책이라는 것은 결국 책을 써낸 사람의 시각과 입장을 읽는 이가 동의하게 되거나 부정하게 되는 과정이라는 생각에 따라 책을 읽을 수 있는 일반적으로 양반으로 불리는 지배 계급 혹은 귀족들이 국가의 독점 속에 출판되는 책들을 통해서 이데올로기적 동의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설득이 되도록 하여 국가 지배를 정당화 하게 하고 지배가 지속될 수 있도록 의도했다는 점(그리고 가부장적 사회가 공고히 되도록)을 통해서 정도전이 책을 통해서 진정으로 혁명을 마무리 한 것이고, 발간되는 책들이 어떤 것들이었는지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야 말로 당시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어떠했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정도전의 입장을 정확하게 이해한 정적 이방원은 정도전을 제거했지만 그가 하려했던 정책은 그대로 진행되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조선의 건국과 그 지배의 지속에 있어서 책이 갖고 있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는 것과 세종의 시대가 돼서 보다 다양한 지식들이 분출하게 되는데 세종 본인의 천재성과 함께 많고 다양한 책들이 소개될 수 있었던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가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조선 시대를 지탱하는데 있어서 책이 갖고 있는 중요성과 함께 조선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되는 주자학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고 있는지와 얼마나 순식간에 그리고 국가의 주도하에 주입되게 되는지를 분석하며 왕-내신의 권력관계 변화를 설명하고 있고, 그 주자학의 보급과 함께 이황과 이이로 대표되는 당대의 탁월한 지식인들이 새로운 지배 이데올로기를 얼마나 깊이 있게 분석하며 음미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어가는가를 설명해준다.

 

이런 논의 후 조선을 지배하던 양반 세력들이 얼마나 책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었고, 책이 당시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 후 그 수많은 책들을 통해서 얻게 된 지식을 정리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대표적인 지식인들을 언급하고 있다.

 

주자학이라는 지배 이데올로기에 충실한 인물들도 등장하고 있고, 그와 같은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조금은 벗어난 입장을 갖고 있는 인물들도 등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저자는 기본적으로 맑스(마르크스)주의로 대표되는 유물론과 지식-권력이라는 입장에서의 푸코와 획일성에서 벗어난 다양성에 대해서 보다 주장하는 최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많이 느낄 수 있지만 그러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기 보다는 다양한 각도에서 조선 시대를 바라보는데 활용하고 있는 것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 같다. 단순히 한국학의 영역에서만 조선을 그리고 당시의 지식인들을 바라보고 있지 않는다는 점에서 무척 흥미로운 입장인 것 같고, 최근 자주 다뤄지고 있는 정조에 대해서 보이는 비판적인 입장과 필요 이상으로 부풀려지는 것 같은 연암 박지원에 대한 설득력 있고 객관적인 평가 그리고 당시 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의 원천인 중국 베이징 서적상의 풍경에 대한 언급들은 전혀 모르던 내용들을 접하게 되었기 때문에 흥미진진한 소설을 읽고 있는 느낌이 들 정도였다.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과 같은 탁월한 지식인들이 단순히 태어나기를 탁월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그렇게 대단한 사람들이 되어버린 것이 아니라 당시 그들이 얻을 수 있었던 지식의 양 또한 지금과 같이 넘쳐날 정도는 아닐지라도 충분히 그들이 원하는 것들을 채워줄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수준에 올랐었으며, 책과 지식에 대해서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관심을 보였던 조선의 양반 사회에 대해서도 긍정과 부정의 입장에서 그들의 모습들을 바라보려고 하고 있다. 즉, 최대한 객관성을 갖으려고 노력하면서도 자신만의 시각을 잃지 않으려고도 애쓰고 있다. 지식인이라면 그리고 교양인이라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조건이지만... 그런 것 갖추고 있는 사람 별로 없는 한국 사회에서는 뒤늦은 발견이라도 한 기분이다.

 

마지막으로 신채호까지 다루면서 지식-권력-교양에 대한 논의들이 점점 더 사라져만 가고 있는 세상에서 그것들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그리고 그저 넋을 놓고 중요성만을 강조하기에는 혹은 잃어가는 것을 바라보기에는 역사적 겪었던 경험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알려주고 있는지를 강조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조선시대의 책을 중심으로 그 시대의 지식인들을 바라보고 있기는 하지만 간간히 수다스러울 정도로 다양한 얘기들을 들려주고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인문학 책이기 보다는 조선시대의 책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조선 시대를 바라보며 여러 얘기들을 꺼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지나칠 정도로 정규 교육 과정을 등한시 했었는지 내용에서 논의되는 대부분이 생소하기만 했고, 처음 접하는 용어들과 이름들이 많아서 읽는데 조금은 어려움이 느껴졌다. 하지만 그것들을 알지 못한다고 해도 충분히 흥미롭기만 한 내용들이며 책들에 빠졌던 조선 사회의 책벌레들을 통해서 부러움을 그리고 반성을 하게 되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