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하는데 이유가 필요하나?

 

라며 퉁명스럽게 반문하게 되는 제목인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는 국내에서도 많은 작품들이 번역되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알랭 드 보통의 첫 번째 작품이고 최근의 작품들과는 조금은 다른 방식의 글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첫 번째 작품부터 그다운 글을 보여주고 있기도 한 작품이다. 또한 약간은 뻔하게 느껴지는 제목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해서 역시 알랭 드 보통이라는 말이 나오게 만들기도 하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는 사랑의 시작부터 끝까지 그리고 그 끝 이후의 새로운 시작까지의 내용을 담아내고 있고, 그렇게 담겨진 내용 속에서 알랭 드 보통의 이후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관심들(여행, 건축, 안정을 찾으려는 심리 등)도 조금은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작품이기는 하지만 그가 바라보고 생각하는 ‘사랑’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못할 것 같다.

 

당연한 말이지만... 사랑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생각을 하고 있기 마련이고, 많은 부분은 동의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모든 것을 동의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는 소설의 형식으로 이야기가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방식이라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며, 그저 주인공의 독백과 대사 그리고 생각을 단상으로 적듯이 ‘사랑’이라는 감정을 전달하고 있고, 그 감정을 깊이 있게 음미하고 탐색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한 평가인 것 같은데,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있는 남성 주인공을 통해서 그가 사랑에 빠지게 되는 클로이라는 여성과의 관계와 그 관계로 인해서 사랑을 느끼고, 그렇게 느끼게 되는 과정과 그 과정으로 인해서 생겨나는 다양한 상념들, 그리고 깊어지는 사랑과 관계로 인해서 변해가는 감정과 행동, 주변과 일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을 내밀하고 세밀하게 담아내고 있고, 그 깊이 들여봄으로 인해서 우리 자신들도 그동안 겪었던 사랑들 속에서 우리도 그와 그녀처럼 느꼈지만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느낌들을 기억하게 만들고 다시금 환기시키도록 만들고 있다.

 

우연한 만남과

그 우연한 만남을 통해서 느껴지게 된 사랑

그렇게 다가온 사랑에 빠져 들어가는 과정들과

그 과정으로 인해서 더욱 깊어지는 사랑

그 사랑에 대한 다양한 비유와 은유 그리고 철학적 혹은 형이상학적 통찰력 까지

 

사랑하게 되는 과정과

사랑이라는 감정을 통해서

그와 관련된 그리고 그로 인한 수많은 것들을 이 작품은 정교하게 담고 있고, 그렇게 담아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렇게 뜨겁고 감미롭던 사랑이 얼마나 차갑고 고통과 상처를 만들어내기도 하는지를 그 모든 것의 끝을 어떻게 향하게 되는지를 집요할 정도로 파고들기도 하고 있다.

 

아름답기만 하던 사랑이 점점 이전과 달라지고, 그 달라진 사랑에 당황스러워하는 모습과 함께 변해버린 사랑으로 인한 슬픔까지 따라가며 그 끝 이후의 새로운 사랑으로 향하는 과정까지 찾아가고 있는 이 지나칠 정도로 감정적이면서 사실적인 작품은 어쩌면 필요 이상으로 감정적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건조하게 사랑을 분석하고 바라보고 있기도 한 것 같다. 물론, 그러면서도 사랑이라는 감정에 냉소하기 보다는 충분히 옹호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사랑이라는 감정에 충실하지만 그 솔직함과 정교함에 조금은 거부감을 갖게 되기도 하기 때문인지 알랭 드 보통의 글을 선호하게 되지도 않고 매도하게 되지도 않는 것 같다. 사랑의 모든 것을 담아내려는 목적이 성공한 것 같기는 하지만 그렇게 성공함으로써 오히려 사랑스럽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고 해야 할까?

 

이런 생각과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을 읽으면서 사랑이란 이런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고,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기도 할 것이다.

그렇게 경험했던 사랑이 좋은 결말을 맺었던, 그렇지 않던 사랑이든...

어쨌거나 사랑이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저 사랑일 뿐일 것이다.

 

모든 것에 관심이 시들어지는 요즘이기 때문인지 이렇게 사랑에 대해 충실한 분석을 하고 있는 작품을 읽으면서도 작품의 재미보다는 지루함을 더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충분히 좋은 작품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지루한 마음에 끝까지 읽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기만 하고 있었다.

 

아마도 작품을 작품으로서 읽기 보다는 개인적인 경험을 비춰보며 읽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읽기 보다는 잃은 것들을 읽어가는 것 같다.

그래서 좋은 내용이고 흥미로운 글이라는 생각보다 짜증스럽게만 만드는 것 같다.

 

 

 

참고 : 알랭 드 보통이 다양한 지식을 갖고 있고, 흔히 말하는 교양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그는 그 지식과 교양 중에서 유독 맑스(마르크스)에 대해서만 오해를 하고 있거나 지나치게 혐오를 하고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