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은 그동안 다루지 않던 전문적인 영역에 대해서도 기존에 갖고 있었던 자신의 시각과 입장에서 쉽고 간결하게 써내려간다는 점에서 뛰어난 글쟁이일 것이다. 그리고 그가 그동안 다루지 않고 있었던 ‘건축’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는 ‘행복의 건축’도 건축에 관한 그의 생각과 입장을 전문적인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어렵게 느껴지기는 해도 포기하지는 않도록 만들며 전달하고 있다.

 

물론, 그 분야의 전문가들에게는 조금은 엉뚱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건축과 관련된 전문가들도 나름대로 그가 생각하는 건축에 대한 입장을 충분히 공감할 것이고 그가 주장하듯이 건축이 무엇을 담아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그의 생각에 일정부분 공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알랭 드 보통은 난해한 건축 이론이나 어떤 건축이 가장 탁월한 건축인지와 같은 진부한 논의에 빠져들지 않고 있고, 건축이 갖고 있는 시각적, 공간적, 정신적, 철학적 측면에 대해서 논의를 펼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논의는 총론적인 입장일 것이고, 어떤 방향과 지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는 그런 측면과 함께 건축이 갖고 있는 역사적 혹은 시대에 대한 반영적인 측면에 대해서 파고들고 있는데, 그런 논의를 통해서 알랭 드 보통은 근대건축에 있어서 끝없이 논의되고 있는 ‘르 코르뷔지에의 근대 건축에 대한 주장’에 대한 이해와 공감 그리고 반박을 하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알랭 드 보통은 건축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과 내용에 대한 변화를 설명하며 그 미학적 관심의 변화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가 그리고 교감이 이뤄지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고, 건축의 외적인 부분과 함께 그 내부의 공간이 만들어내는 안정감과 감수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 논의를 통해서 알랭 드 보통은 아름다운 건축이란 그리고 행복의 건축이란 결국 건축을 통해서 시대가 그리고 사람들이 요구하는 시각적 요소와 기능적 측면에 대한 절묘한 균형감각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함몰되어 있을 뿐인 건축에 대해서도 비판을 하고 있고, 시각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건축에 대해서도 비판을 하고 있다. 그리고 문제의식의 탁월함과 함께 지향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통찰력과 설득력은 뛰어나지만 아쉽게도 그렇게 만들어내고자 하는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대한 입장이 고려되지 않고 있었던 과거의 것들을 모조리 지워버리고 모든 것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는 르 코르뷔지에와 같은 입장을 갖고 있는 근대건축가의 입장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알랭 드 보통은 건축에 있어서 좋은 건축과 나쁜 건축의 구분이란 결국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얼마나 그들의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을 채워주고 있는지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고, 어떻게 주변 그리고 다양한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식의 절충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건물이 갖고 있는 외양을 통해서 그리고 그 내부에서 행복이 담겨지게 되는 것이고, 그 행복의 채워짐(건축)은 사람들이 그동안 이뤄졌던 삶을 고려하며 만들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어떠한 입장을 지지하기 보다는 절충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고, 하나의 이론적 입장과 논리적 결론이 아닌 다양한 검토 속에서 이뤄진 결론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알랭 드 보통의 글의 성격에서는 크게 벗어나지는 않고 있고, 소재가 ‘건축’이라는 이전에 비해서는 독특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전작인 ‘불안’과 같이 현대 사회에서의 삶에서 보다 (정신적 / 육체적) 안정을 누릴 수 있는 삶을 추구하는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는 이전과 별다른 차이를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건축이 갖고 있는 외적이고 시각적인 부분과

내부의 공간이 만들어내는 부분에 대해서 별도의 구분 없이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고, 그 논의들에 대한 결론도 큰 인상을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은 아쉬움이 남기는 하지만 전문적인 영역에서도 자기 자신의 문제의식과 글쓰기를 흔들리지 않고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는 알랭 드 보통의 노력도 보통은 아니었을 것이다.

 

전문가가 놓칠 수 있는 부분을 그는 놓치지 않고 얘기를 하고 있고,

그는 그 부분을 자신이 갖고 있던 기존의 입장과 연관시켜서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

그의 글이 갖고 있는 이런 일관성 덕분에 그의 다양한 관심이 산만하게 느껴지지 않게 되는 것 같다.

 

 

참고 : ‘행복의 건축’은 영화 ‘500일의 썸머’에서도 잠시 언급되는데, 책을 읽기 전에 영화를 보았기 때문에 영화에서 책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는 부분이 무덤덤하게 느껴졌지만 책을 읽게 되니 조금은 그 장면이 보다 선명하게 다가오게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