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3
J. D. 샐린저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홀든 콜필드. 이 책의 주인공은 아마 작가가 살던 시기인 20세기 중반 즈음의 미국 고등학생이다. 결코 평범한 고등학생이 될 수 없었던 그는 4번째 학교에서 퇴학당한 뒤 집으로 돌아오기까지의 며칠 동안 뉴욕 시내를 방황한다. 홀든이 방황하는 그 며칠 간의 이야기가 이 책의 내용이다. 대강의 줄거리만 흘려듣고 이야기한다면 그저 미국의 고등학생이 겪는 성장의 아픔, 사춘기 따위에 관한 성장소설이라고 간단히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홀든 자신의 목소리로 담담히 때로는 격정적으로 들려주는 사흘 간의 이야기는 단순한 성장기로 기록되기에는 울림이 너무나 크다.

  내가 이 책에 빠져들 수 밖에 없었던 첫 번째 이유는 이 책의 화자가 주인공 자신이기 때문이다. 물론 주인공의 입장에서 서술되는 소설은 많고 많지만, 홀든의 이야기는 좀 다르다. "지독히 외로웠다"거나 "매우 슬펐다"라고 자신의 감정을 조금도 숨김없이 얘기하는 가 하면, "정말이다", "정말 사실이다", "정말 그렇다"라는 말로 자신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에 공감해주기를 바라며 자꾸만 자신의 이야기를 확신하려 들고 때로는 "이건 꼭 보아야 한다", "이건 정말 보여주고 싶다"라는 말을 통해 간접적인 이야기를 통해서는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안타까워 하기까지 한다. 홀든의 이야기는 이렇게 듣는 사람을 꼭 붙들고 결코 놓아주지를 않는다.

  또 하나. 친구들로부터 고독하고 변덕스러운 아이로 기억되는 작가 J.D. 샐린저가 자신의 모습을 홀든 콜필드를 통해 재창조해 냈듯이 학창 시절 혹은 지금 이 순간 홀든의 외로움과 공허감을 느꼈던, 느끼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얘기에 빠져들 수 밖에 없다. 내성적이고 고독을 즐기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어느 우울한 날 모든 것이 무의미해보이고 지독히 외로우나 자신을 이해해주는 사람이 없는 순간이 있을 것이다. 그럴 때는 사회의 모든 부조리와 가식적이고 인위적인 인간의 온갖 작태들이 여기저기에서 순식간에 자기자신을 압도해버리는 것이다. 그런 경험을 해 본 사람이라면, 길모퉁이를 돌 때마다 자신이 땅 밑으로 영원히 사라져버리지나 않을까 불안해하던 홀든의 심리를 마음으로 이해할 것이다.

  홀든이 겪은 사흘 간의 이야기가 너무 빨리 지나가버려서 가슴이 조금 먹먹하다. 그래도 힘들 떄 다시 한 번 보고 싶은 소설이 한 권 더 생겼으니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해진다.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써 주는 사람들에게 감사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