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 MBC 느낌표 선정도서
김주영 지음 / 문이당 / 2001년 4월
평점 :
절판


김주영’님이 전하는 과거로의 여행이 시작된다. 현기영님의 <바다와 술잔>이 검푸른 바다색의 소년기였고, 박완서님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가 농촌에서 도시로 이어진 샛노란 색 소녀기였다면 이번에 읽는 김주영님의 유년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아직 김주영님의 글을 읽어본 적이 없기에 쉬 점칠 수는 없지만 책표지를 장식하는 ‘느낌표’라는 붉은 스티커로 봐선 ‘과거’가 지니는 공공의 정서와도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는 생각도 해본다.

소설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거울 위의 여행>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신기하리마치 잘 쫓아하던 ‘거울’과의 첫 만남처럼 김주영님의 글에 반사된 어린 날의 일화들이 잔잔하게 펼쳐진다. 특히 고집스런 울보면서도 든든한 놀이상대가 되곤 했던 동생의 모습이라든가 날품팔이 현장에서 맞닥뜨린 어머니와의 씁쓸한 대면이 인상 깊다. 남의 집 아들을 더 많이 업어야했던 어머니의 눈물 훔치던 모습이 그 시절(50년대)의 생활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 했다.

<땟국>에 등장하는 자물쇠 채워진 다락방은 아이들에겐 그저 금기시되어온 미지의 세계였지만 어머니 몰래 올라간 다락방에는 조금씩 모아둔 곡식 항아리가 전부였다. 어쨌든 그 항아리의 존재 덕분에 가난했지만 왠지 모를 자부심으로 포만해했던 유년기를 회상한다.
마치 나의 기억 속으로 돌아가 우리 집 다락방을 오르는 것 같았다. 아마 그 때 발견한 것은 조그맣게 만들어진 수많은 산타클로스 모형이었는데 그것이 왜 우리 다락방에 있었는지는 아직도 의문이다. 아무튼 그 새로운 장난감과 주변의 여러 가전집기를 들척이면서 느꼈던 신기함으로 순간이나마 소설속의 주인공이 된 듯 했다.

<괘종시계>에서는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을 시계포 주인 최씨와 이에 상극처럼 우격다짐으로 맞서는 삼손(장석도)을 통해 표현된다. 화가 난 삼손이 시계포로 들어가 괘종시계를 박살내 버렸던 것처럼 유년의 시간들은 하나 둘 사라지고 새로운 시간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듯한 허전함도 든다.
문득 마루 중앙을 위치했던 괘종시계에 무슨 큰 규칙이라도 있는 양 매일같이 밥(태엽)을 주던 기억이 난다. 그 부옇게 빛바랜 괘종소리는 지금 어디로 사라졌을까...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에선 5,60년대를 휘감은 ‘빨갱이’라는 색깔론이 등장한다. 그러면서 삼손과 어머니가 경찰서로 끌려가게 되고 결국 삼손은 삶을 터전이 되어왔던, 반편이라 놀리던 이웃을 뒤로하고 마을을 떠난다.
“그러나 정작 그가 떠나가 버리고 나자, 그 떠나간 자리의 공허는 너무나 크게 남은 것이었다. 그리고 그가 두 번 다시는 마을로 돌아오지 않을 사람이란 심증을 굳히고부터 그가 비우고 가버린 공간의 허탈은 더욱 컸다.”
마치 이문열님의 <아가>에서 언제나 성가신 애물단지지만 막상 없으면 허전한 당편이처럼 우리 유년시절의 한 귀퉁이를 채우고 있는 사람, 마치 쉬 꺾여버릴 것 같은 갈대 같은 사람들을 연상하게 된다. 과연 우리가 그들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단순히 가십거리로만 무시했었던 건 아닌지...

교과서에 등장하는 소설처럼 조금은 정형화된 결말이었지만 김주영님의 글을 통해 오늘 하루를 먼지 낀 옛 사진을 정리하는 듯한 아련함에 젖을 수 있었다.
마당 한 편에서 아이스크림을 움켜진 체 어색하게 웃던 옛 사진속의 장면이 마치 어제 일처럼 선명해진 느낌이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